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성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대성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대성군 (大城郡)은 後新羅 時期에 只今의 慶尙北道 淸道郡 慶州市 東部 一帶에 만들어진 行政區域이다. 屬縣으로는 約장현과 動機情이 있었다.

領域 [ 編輯 ]

三國史記 에 따르면 대성군은 球淘省 境內의 率易山城, 가산현, 吾道山性을 뜻한다고 한다. [1] 이 3性은 只今의 慶尙北道 淸道郡 에 屬해 있다. 以外에도 대성군에 屬한 곳으로는 慶州의 東部 一帶와 只今의 安康邑 , 강동면 一部가 있다. 대성군에 屬한 慶州 地域으로는 吐含山 [2] , 衡山 [3] , 삼기 [4] 等이 있었다. 統一新羅 時期에도 월경지 의 存在가 確認되는 만큼, 大聲軍도 淸道郡을 中心으로 東쪽 慶州 一帶를 월경지로 거느렸을 可能性이 크다.

文化財 [ 編輯 ]

  • 穴禮山

習比部 의 儺禮, 임孤軍 의 骨化와 함께 大使(大祀)를 지내던 新羅三山 中 하나이다. [5] 淸道에 있는 吾道山이 穴禮産일 것이라고 推測된 바 있지만 正確한 位置는 알 수 없다. [6]

只今의 慶州市 河東, 진현동, 덕동, 황용동, 文武大王面에 걸쳐있는 山이다. 新羅 五岳 中에서 東岳으로서 中士(中祀)를 지냈던 곳이다.

當時의 名稱은 北衡山 (北兄山)이었다. 北衡山 外에 兄산이 붙는 地名으로 只今의 선도산人 庶兄산이 있었기 때문이다. 只今의 慶州 강동면 국당리 에 있다. 三國史記에 따르면 5악 外에 中士를 擧行하던 山이었다고 한다.

  • 금곡山

當時의 名稱은 삼기(三岐) 或은 삼기山 (三岐山)이었다. 新羅의 素砂(小祀)를 擧行하던 地域이었다. 世俗오계 를 펼친 圓光法師 의 不渡를 모신 금곡社가 있다. 원광법사가 젊은 時節에 數學했던 곳이다. [7] 只今의 安康邑 두류리 에 所在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대성군》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2.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中士로 지내는 5악》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3.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中士로 지내는 其他 地域》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4.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掃射로 지내는 地域》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5.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大使로 지내는 地域》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6. “穴禮 - 文化콘텐츠닷컴”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  
  7. “韓國史데이터베이스” . 《殊異傳의 원광법사展》 . 2021年 10月 4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