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단경왕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단경왕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단경왕후
端敬王后
朝鮮 中宗의 整備
在位 1506年 9月 2日 ~ 9月 9日 (陰曆)
前任 廢妃 신氏
後任 장경왕후 尹氏
이름
異稱 神秘(?妃) · 廢妃(廢妃) · 廢妃 신氏(廢妃 ?氏)
시호 단경(端敬)
揮毫 공소순熱(恭昭順烈)
身上情報
出生日 1487年 2月 16日 ( 1487-02-16 ) (陽曆)
死亡日 1558年 1月 6日 ( 1558-01-06 ) (70歲) (陽曆)
家門 居昌 신氏
父親 益窓府院君 신수근
母親 請願夫婦인 한은광
配偶者 中宗
子女 없음
陵墓 溫陵 (溫陵)
京畿道 楊州市 장흥면 일영리 13-2

단경王后 申氏 (端敬王后 愼氏, 1487年 2月 16日 ( 陰曆 1月 14日 )~ 1558年 1月 6日 ( 陰曆 1557年 12月 7日 ))는 朝鮮 中宗 의 整備(正妃)이다. 朝鮮의 歷代 王妃 中 第一 짧은 7日의 在位 期間을 保有하고 있으며, 中宗反正 直後 逆賊의 딸로 連坐되어 廢黜된 後 230餘年 後인 英祖 臺에 父母와 함께 復權되었다. [1]

生涯 [ 編輯 ]

誕生과 家計 [ 編輯 ]

本貫은 居昌 (居昌)이며, 1487年 (成宗 18年) 1月 14日, 아버지 신수근 (愼守勤)과 어머니 한은광(韓銀光)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太宗 의 現손들로, 祖母인 중모현週 世宗 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 의 딸이자, 연산군 의 王妃인 廢妃 신氏 의 어머니이다. 外祖母인 政府인 金氏는 太宗 의 둘째 딸인 경정공주 의 外孫女이다.

外祖父인 한충인은 仁粹大妃 의 四寸 오빠이기도 하다.

1499年 (燕山君 5年) 13살의 나이에 當時 眞聲帶軍에 봉해져 있던 中宗 과 結婚하여 夫婦인(府夫人)이 되었다. 단경왕후와 中宗은 太宗과 한영정을 共通 祖上으로 한다.

        ┌───→ 世祖 德宗 成宗 中宗
     ┌─→ 世宗
      太宗               └───→     임영대군     중모현週 신수근
    단경왕후    
     └─→     경정공주     조氏夫人    金氏夫人       請願夫婦인   
     ┌─→ 韓確     仁粹大妃     成宗 中宗
    한영정    
     └─→    韓電    한충인    請願夫婦인        단경왕후    

王妃 冊封과 廢位 [ 編輯 ]

1506年 (中宗 1年) 9月 2日, 中宗反正 이 成功하면서 男便 盡誠대군( 中宗 )이 王位에 오르자 王妃가 되었다. 그러나 申氏의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 의 妻男인 데다가 反正에 加擔하지 않은 關係로, 反正 勢力들에 依해 王妃가 된지 1週日만인 9月 9日 廢位되었다. [2] 當時 中宗은 어떻게 糟糠之妻를 버릴 수 있냐며 躊躇하였지만, 反正 功臣들의 壓迫에 이기지 못해 申氏를 廢黜하였다. [2]

 

柔順, 김수동, 유자광 , 박원종 , 유순정 , 성희안 , 金勘, 이손, 權鈞,
한사문, 송일, 朴建, 神俊, 정미수 및 六曹 參判 等이 같은 말로 아뢰기를,

"擧沙할 때 먼저 신수근 을 除去한 것은 큰 일을 成就하고자 해서였습니다.
 只今 수근의 親딸이 宮闕 안에 있습니다.
 萬若 窮困(宮?, 王妃 )으로 삼는다면 人心이 不安해지고
 人心이 不安해지면 宗社에 關係됨이 있으니,
 恩情(恩情)을 끊어 밖으로 내치소서." 하니,

(왕이) 傳敎하기를,

"아뢰는 바가 甚히 마땅하지만, 그러나 糟糠之妻인데 어찌하랴?" 하였다.

모두 아뢰기를,

"新 等도 이미 料量하였지만, 從事의 大系(大計)로 볼 때 어쩌겠습니까?
 머뭇거리지 마시고 쾌히 決斷하소서." 하니,

傳敎하기를,

"從事가 至極히 重하니 어찌 사사로운 情을 생각하겠는가.
 마땅히 여러 사람 議論을 좇아 밖으로 내치겠다." 하였다.

얼마 뒤에 傳敎하기를,

"速히 하성위(河城尉) 정현조 (鄭顯祖)의 집을 修理하고 掃除하라.
 오늘 저녁에 옮겨 나가게 하리라."

하였다.


? 《 中宗實錄 》 1卷,
中宗 1年(1506年 名 定德(正德) 1年) 9月 9日 (乙酉)

申氏의 廢黜 以後 새롭게 中宗의 王妃가 된 장경왕후 1515年 (中宗 10年) 死亡하자, 潭陽 府使 等이 申氏의 復位를 諫하는 上疏를 올리기도 하였다. [3] 하지만 復位를 反對하는 重臣들에 依해 霧散되었다. 後날 단경왕후의 復位를 간한 사람들은 流配刑에 處해졌다.

中宗은 높은 山에 올라 그女가 居處하고 있던 史家를 바라보는 일이 많았고, 그 事實을 안 그女의 史家에서도 中宗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그女가 자주 입던 붉은 치마를 펼쳐놓았다는 野史가 傳해져 온다.

1544年 (中宗 39年), 中宗 의 臨終 直前에, 中宗이 申氏를 그리워하여 宮闕 內에 들였다는 所聞이 돌기도 하였다. [4]

1545年 (人種 1年), 人種 은 申氏가 居處하는 곳에 肺匕弓(廢妃宮)이라는 이름을 주고 生活에 補助를 하기 始作했다. [5]

 

庭園(政院)에 傳敎하였다.

" 中宗 의 廢妃(廢妃) 신氏(愼氏)가 사는 私製(私第)에
 前에는 內棺을 差出夏至 않고 아랫사람이 地空(支供)하는 도움도 없었으므로 내가 매우 未安하니,
 이제부터는 肺匕弓(廢妃宮)이라 부르고 모든 일을 慈壽宮(慈壽宮)의 例와 같이 하라.
 여러 後宮에게 支供하는 일도 前대로 하고 줄이지 말라고 類似(有司)에 말하라."

使臣은 論한다.

夫婦는 人倫이 비롯되는 것이므로,
《詩經》은 官邸(關雎)를 첫머리에 두고 《易經》은 건(乾) · 곤(坤)을 첫머리에 두었다.
大槪 件(乾)에 짝하는 자리는 옛사람이 重히 여긴 것이니,
從事에 罪를 지은 것이 아니면 廢位할 수가 없는 것인데,
當時에 勇士(用事)하던 사람이 임금의 德에 누가 되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
敢히 스스로 保全할 計策을 하여, 坤位(?位, 王妃 )의 敝笠(廢立)이 그 손에서 나왔으니,
이것을 차마 할 수 있는데 무엇인들 차마 할 수 없었겠는가.
多幸히 이제 四王(嗣王, 人種 )의 至極한 孝誠이 여기에 미쳤으니,
宣祖(先朝)의 뜻을 능히 본받았다고 할 만하다.

? 《 仁宗實錄 》 2卷,
仁宗 1年(1545年 名 家庭(嘉靖) 24年) 4月 6日 (戊戌)

死亡 [ 編輯 ]

1557年 (明宗 12年) 12月 7日, 71歲의 나이로 死亡하자 明宗 은 申氏의 葬禮를 王妃의 父母의 예(例)에 따라 이등례(二等禮)로 初喪을 치렀다.

 

廢妃 신氏(廢妃 愼氏)가 졸하였다.

長生殿(長生殿)의 棺槨(棺槨)을 내리게 하고 또 特別히 賻儀를 보내게 했다.
【申氏는 中宗 의 潛邸(潛邸) 때의 배慰勞서 바로 신수근 (愼守謹)의 딸이다.
 수근은 廢朝(廢朝, 연산군 )에 政丞이 되어 연산군 을 慫慂하여 殺戮을 많이 하였다.
 그러므로 反正 (反正)할 때 임사홍 (任士洪)과 같은 날에 죽임을 當했다.
  中宗 이 卽位하자 비(妃)도 定位(正位)에서 賀禮를 받았다.
 그리고 나서 박원종 (朴元宗) · 유순정 (柳順汀) · 성희안 (成希顔) 等이
 罪人의 딸은 正位는 不當하다고 廢하기를 奏請했고,
  中宗 은 糟糠之妻는 버릴 수가 없다 하여 굳게 맞서 允許하지 않았다.
 元宗 等이 繼續해서 굳게 固執하자 中宗도 하는 수 없이 따랐다.
 그러나 廢妃가 無罪한 것을 생각하고 恒時 불쌍하게 여기며 잊지 못하였다.
 이때에 卒瑕疵 上( 明宗 )이 長生殿 梓宮(梓宮)을 特赦하여
 王后의 고비(考妃)의 禮에 依하여 殮襲을 하게 하고 1等禮로 豪爽하게 하였다.
 그러나 非(妃)가 廢黜당한 것은 本來 그의 罪가 아니었는데
 모든 致傷(治喪) 節次를 자못 厚하게 갖추지 아니하니,
 當時의 사람들이 모두 슬퍼하는 마음이 있었다.
 賞은 廢妃의 親庭 조카인 別坐 신사원 (愼思遠)에게 特別히 喪主가 되어 그 祭祀를 받들도록 命하였다.】

使臣은 論한다.

元宗 等은 그 아비를 죽이고 그 딸을 그대로 王后로 둔다면
禍가 미칠까 두려웠기 때문에 强制로 軍部(君父)를 威脅하여 申氏를 廢黜했다.
어찌 罪가 있어서 그랬겠는가.
歷史에 依據하여 살펴본다면 元宗 等의 罪惡은 自然히 드러날 것이다.

使臣은 論한다.

丙寅年(1506年) 反正 때에 박원종 等은 먼저 수근을 죽이고 後患이 있을까 두려워 곧 그 딸을 내쳤으나,
실은 廢黜해야 할 아무런 罪가 없었다.

? 《 明宗實錄 》 23卷,
明宗 12年(1557年 名 家庭(嘉靖) 36年) 12月 7日 (甁술)

事後 復權 [ 編輯 ]

事後 230餘年 後인 1739年 (英祖 15年) 3月 28日, 김태남 等의 建議로 王后로 追崇되면서 단경 (端敬)이라는 諡號와 함께 공소순熱(恭昭順烈)의 尊號를 받았다. [1] 이때 아버지 신수근 은 益窓府院君(益昌府院君)으로, 前어머니 權氏는 靈駕夫婦인(永嘉府夫人)으로, 親어머니 한은광은 請願夫婦인(淸原府夫人)으로 追贈되었다. 陵은 京畿道 楊州市 장흥면 일영리에 位置한 溫陵 (溫陵)이다.

家族 關係 [ 編輯 ]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애니메이션 [ 編輯 ]

各州 [ 編輯 ]

  1. 英祖實錄 》 49卷, 英祖 15年(1739年 靑 乾隆(乾隆) 4年) 3月 28日 (甲戌)
    神秘 (愼妃) 를 단경왕후로 追崇하다
  2. 中宗實錄 》 1卷, 中宗 1年(1506年 名 定德(正德) 1年) 9月 9日 (乙酉)
    신수근의 딸을 宮밖으로 내치다
  3. 中宗實錄 》 22卷, 中宗 10年(1515年 名 定德(正德) 10年) 8月 8日 (壬戌)
    廢妃 申氏의 復位를 간한 潭陽 府使 박상 等의 上疏文
  4. 中宗實錄 》 105卷, 中宗 39年(1544年 名 家庭(嘉靖) 23年) 11月 15日 (庚戌)
    廢妃 申氏를 宮에 들였다는 所聞이 나다
  5. 仁宗實錄 》 2卷, 仁宗 1年(1545年 名 家庭(嘉靖) 24年) 4月 6日 (戊戌)
    庭園에 廢妃宮을 돌볼 것을 傳敎하다
前任
廢妃 신氏
朝鮮 歷代 王后
1506年 陰曆 9月 2日 ~ 1506年 陰曆 9月 9日
後任
장경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