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니케아 神經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니케아 神經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니케아信條 에서 넘어옴)

니케아 神經 (-信經, 라틴語 : Symbolum Nicaenum )은 325年 第1次 니케아 公議會 에서 아리우스파 를 비롯한 異端 을 斷罪하고 正統 基督敎 信仰 을 守護하기 위해 基督敎會가 採擇한 信仰 고백문 이다.

현대 基督敎會에서 니케아 神經 은 1次 니케아 公議會 神經이 아니라 改正本 니케아 신경인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을 主로 意味한다.

採擇 經緯와 內容 [ 編輯 ]

第1次 니케아 公議會 에서는 2篇의 神經 이 提出되었는데, 아리우스파 니코메디아 의 에브歲비오스가 提出한 것은 廢棄되고, 팔레스티나 共同體의 '洗禮神經'을 基礎로 聖父 · 聖者 同質性 (同質性)에 關한 語句를 補完한 케사리아 에브歲비오스 가 提出한 神經이 採擇되어 이것을 基準으로 니케아 神經이 制定되었다. 이 神經은 性 三位一體 에 對한 믿음을 簡潔하게 表現하고 있는데, 特히 聖者의 同一實體(同一實體), 그의 降生 , 죽으심 , 復活 을 强調하며, 그 끝에 아리우스파 에 對한 波紋 宣言을 덧붙였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과의 區別 [ 編輯 ]

381年 第1次 콘스탄티노폴리스 公議會 에서 이 神經을 補完하여 制定한 것으로 傳해지는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을 略稱하여 니케아 神經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神學과 學術的인 意味로 325年 制定된 本來의 니케아 神經科 381年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은 區別하여야 한다.

現在 基督敎會에서 一般的으로 通用하는 用語로 니케아 神經 은 381年 神經의 改訂版人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原文 [ 編輯 ]

Πιστε?ομεν ε?? ?να Θε?ν Πατ?ρα παντοκρ?τορα
π?ντων ?ρατ?ν τε κα? ?ορ?των ποιητ?ν·
κα? ε?? ?να Κ?ριον ?ησο?ν Χριστ?ν
τ?ν Υ??ν το? Θεο?,
γεννηθ?ντα ?κ το? Πατρ?? μονογεν?
τουτ?στιν ?κ τε? ο?σ?α? το? Πατρο?
Θε?ν ?κ Θεο?,
Φ?? ?κ Φωτ??,
Θε?ν ?ληθιν?ν ?κ Θεο? ?ληθινο?,
γεννηθ?ντα, ο? ποιηθ?ντα,
?μοο?σιον τ? Πατρ?,
δι’ ο? τ? π?ντα ?γ?νετο
τ? τε ?ν τ? ο?ραν? κα? τ? ?ν τ? γ?,
τ?ν δι’ ?μ?? το?? ?νθρ?που?, κα?
δι? τ?ν ?μετ?ραν σωτηρ?αν,
κατελθ?ντα,
κα? σαρκωθ?ντα,
κα? ?νανθρωπ?σαντα,
παθ?ντα,
κα? ?ναστ?ντα τ? τρ?τ? ?μ?ρ?,
?νελθ?ντα ε?? το?? ο?ρανο??,
?ρχ?μενον κρ?ναι ζ?ντα? κα? νεκρο??.
κα? ε?? τ? ?γιον Πνε?μα.
Το?? δ? λ?γοντα? ?ν ποτε ?τε ο?κ ?ν,
κα? Πρ?ν γεννηθ?ναι ο?κ ?ν,
κα? ?τι ?ξ ο?κ ?ντων εγ?νετο,
? ?ξ ?τ?ρα? ?ποστ?σεω? ? ο?σι?? φ?σκοντα? ε?ναι
? κτιστ?ν
? τρεπτ?ν
? ?λλοιωτ?ν τ?ν Υ??ν το? Θεο?,
το?του? ?ναθεματ?ζει ? ?γ?α καθολικ? κα? ?ποστολικ? ?κκλησ?α.

韓國語·英語 飜譯 [ 編輯 ]

다음은 로마 가톨릭교회 系統에서의 한글 및 英文 飜譯이다. 한글 飜譯은 後베르투스 드로브네르( Hubertus R. Drobner )의 《Lehrbuch der Patrologie》의 하성수의 한글 飜譯本 《敎父學》에 나오는 飜譯이며, [1] 英文 飜譯은 필립 샤프 ( Philip Schaff )의 《Creeds of Christendom (基督敎 神經)》에 나오는 飜譯이다. [2]

아래의 飜譯에서 니타난대로, 니케아 神經은 聖父 (God)  · 聖者 (Son of God)  · 聖靈 (Holy Spirit)의 三位一體 에 對한 믿음 을 밝히는 3部分의 神學 敵 陳述들과 聖者 예수 에 對해 가톨릭교회 와는 다른 見解를 가진 이들(特히, 아리우스파 )의 見解를 사도 敵 傳統의 見解 卽 正統的 見解 또는 바른 見解로 認定치 않는다는 神學 敵 陳述의 總 4部分으로 이루어져 있다. 니케아 神經에서 三位一體 聖者 예수 에 對한 神學 敵 陳述이 거의 大部分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니케아 神經 成立 當時에 三位一體 聖者 에 對한 見解 卽 그리스도論 基督敎 神學 에서 가장 重要한 部分이었고 또한 가장 論難이 되는 部分이었다는 것을 意味한다. [3]

그리고 4番째 部分 卽 異端 波紋 에 對한 神學 敵 陳述은 元來 最初의 니케아 神經에는 없었던 것이나, 後에 追加된 것이다. [4]

니케아 神經 (325年) Nicene Creed (325)
우리는 한 분이신 하느님을 믿는다.

그분은 全能하신 아버지이시며, 有形無形한 萬物의 創造主이시다.

We believe in one God ,

the Father Almighty, Maker of all things visible and invisible.

그리고 우리는 한 분이신 主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

그분은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아버지에게서 나셨으며,
곧 아버지의 本質에서 나셨다.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시며,
아버지와 本質에서 같으시다.

And in one Lord Jesus Christ,

the Son of God ,
begotten of the Father [the only-begotten ;
that is, of the essence of the Father,
God of God], Light of Light, very God of very God, begotten, not made,
being of one substance with the Father ;

그분으로 말미암아 萬物이,

하늘에 있는 것들이나 땅에 있는 것들이 생겨났다.

By whom all things

were made [both in heaven and on earth];

그분은 우리 人間을 위하여,

우리의 救援을 위하여 내려오시어 肉身을 取하시고,
사람이 되셨으며,

Who for us men, and for our salvation ,

came down and was incarnate and was made man;

苦難을 받으시고,

사흗날에 復活하시고,
하늘로 올라가셨으며,

He suffered,

and the third day he rose again,
ascended into heaven;

산 이와 죽은 이들을 審判하러 오실 것이다. From thence he shall come to judge the quick and the dead.
그리고 우리는 聖靈을 믿는다. And in the Holy Spirit.
[“그분이 存在하지 않은 時代가 있었다.”, “나시기 前에 存在하지 않았다.”하고 말하는 사람들을,

또는 非存在에서 생겨났다거나, 다른 히포스타시스(hypostasis) 또는 우시아(ousia)에서 存在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또는 하느님의 아들은 創造되었으며, 變할 수 있으며,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普遍되고 使徒로부터 이어오는 敎會에서 波紋한다.]

[But those who say: 'There was a time when he was not;' and 'He was not before he was made;'

and 'He was made out of nothing,' or 'He is of another substance' or 'essence,'
or 'The Son of God is created,' or 'changeable,' or 'alterable'?
they are condemned by th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ubertus R. Drober , 하성수 驛, “敎父學”, 분도출판사, 2001, 345~346쪽
  2. Philip Schaff .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The History of Creed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2年 2月 14日에 確認함 .  
  3. Schaff, Philip; Wace, Henry, eds. (1890).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cond Series. 14,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Grand Rapids, Michigan, U.S.A.: Eerdmans Pub Co.. 39쪽. ISBN   0-8028-8129-7 .  
  4. cf. Philip Schaff 's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 The Nicene Creed" and "Creeds of Christendom: § 8. The Nicene Cr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