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니드호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니드호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위그드라실 을 갉아먹는 니드호그

니드호그 ( 古代 노르드어 : Niðh?ggr )는 北유럽 神話 에 나오는 드래곤 이다. 世界樹 위그드라실 의 뿌리 附近에 살면서 죽은 者의 肉體와 위그드라室을 갉아먹고 살며, 世界의 終末인 라그나로크 가 오면 죽은 者를 태우고 하늘을 날아다닌다.

어원 [ 編輯 ]

標準化된 노르드어 綴字法으로 니드好그는 Niðh?ggr 또는 Niðh?ggr 로 쓰지만, ' ? '는 便宜上 理由로 현대 아이슬란드語의 'o' 로 자주 代替되어 使用된다.

英語로는 Nidhogg , Nidhoggr , Nithhogg , Nidhogg , Nidhoggr , Nithhoggr , Nidhoggr , Nithhoggr , Nidhhogg , Niðhogg , Niðhoggr , Niðhoggr , Nidhogg , Hidhaegg , Nidhhoggr 等으로 쓰고, 現代 아이슬란드語 로는 Niðhoggur Niðhoggur 라고 쓰인다. 덴마크語 에서는 Nidhug 또는 "Nidhøg" 같은 表記도 보인다.

文獻上 出戰 [ 編輯 ]

고 에다 [ 編輯 ]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 Grimnismal )에 보면 이그드라실 나무에 살고 있는 많은 存在들이 나타나 있다. 世界樹는 이 存在들 때문에 여러가지로 困難을 겪고 있다. 여기서 니드好그는 나무를 아래에서부터 갉아먹고 있으며, 라타토스크 가 나무 밑바닥의 니드好그와 나무 꼭대기의 이름을 알 수 없는 修理 사이를 왔다갔다 움직이면서 서로에게 메시지를 傳達해 준다.

巫女의 豫言 〉( Voluspa )에는 니드好그가 두 番에 걸쳐 登場한다. 처음 登場하는 것은 나스트론드 를 描寫하는 部分이다.

巫女가 서서 邸宅을 보매
太陽에게서 떨어져 있으며
屍體의 海岸가에 서 있도다.
그 門은 北쪽으로 나 있는데.
거기서 지붕의 구멍을 따라
毒液이 방울방울 떨어지고
邸宅의 뼈대는 배암의
등뼈를 엮어 만들었네.

巫女가 거친 시냇물을 헤치며
걸어가 거기서 보매
僞證을 저지른 詐欺꾼들
늑대 같은 殺人魔들
그리고 다른 이의 信賴받는 아내를
誘惑해 꾀어낸 者들
거기서 니드好그가 삼키는 것은
죽은 者의 屍體요,
늑대는 사람을 찢는도다.
그대 아직도 앎을 願하는가? 그리고 무엇을 알려는가?

그리고 〈巫女의 豫言〉 마지막 部分에 다시 登場하여 니드好그가 龍이며 또 뱀이라는 事實을 알 수 있다.

거기서 그늘진 存在가 多價오매
날아다니는 龍이요,
번쩍거리는 뱀이로다.
니다푈 에서 솟아올라
팔다리 묶인 屍體를 날개 위에 싣고
들판 위를 날아다니는
그 存在는 니드호그로다.
이제 巫女는 가라앉아야 하느니.

이 句節의 解釋에 關해서는 意見이 紛紛하다. 가장 一般的인 解釋은 니드호그의 到來는 라그나뢰크 의 大破局을 豫告하고 있으며, 故로 詩句가 不吉한 警告의 句節로 끝난다는 것이다.

니드好그는 그 外의 古代 文獻에서는 登場하지 않는다.

新 에다 [ 編輯 ]

스노리 스투를루손 의 《 新 에다 》( Prose Edda )의 〈 길被疑 속임數 〉( Gylfaginning )에 따르면, 니드好그는 이그드라실 의 세 뿌리 中 하나를 물어뜯고 있다. 이 怪物이 이그드라室의 뿌리 때문에 갇혀서 世上으로 나오지 못하고 있다는 解釋도 存在한다. 니드好그가 물어뜯는 뿌리는 니플헤임 에 걸쳐 있으며, 니드好그는 이 뿌리를 아래로부터 갉아먹고 있다. 또한 “ 라타토스크 라는 다람쥐가 위아래로 뛰어다니며 修理 와 뱀(니드호그) 사이에 싸움을 붙인다”는 말도 쓰여 있다. [1] 스노리의 니드好그에 對한 描寫는 前述한 〈그림니르의 비가〉 및 〈巫女의 豫言〉에서 따온 것으로 생각된다.

詩語法 〉( Skaldskaparmal )에 보면 스노리는 니드好그를 다음 生物들과 함께 뱀으로 分類하고 있다.

뱀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드래곤 (dragon), 파프니르 (Fafnir), 요르門間드 (Iormungand), 아데르(adder), 니드호그 (Nidhogg), 배암(snake), 살무사(viper), 故人(Goin), 모인(Moin), 그라프비트니르(Grafvitnir), 그라바크(Grabak), 오프니르(Ofnir), 스바프니르(Svafnir), 假面을 쓴 者(masked one). (Faulkes translation, p.137)

〈詩語法〉의 또다른 部分에서 스노리는 ‘니드호그’를 刀劍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用語와 이름 中 하나로 包含시키고 있다. [2]

各州 [ 編輯 ]

  1. Gylfaginning XVI, Brodeur's translation. "[t]he squirrel called Ratatoskr runs up and down the length of the Ash, bearing envious words between the eagle and Nidhoggr [the snake]."
  2. Faulkes translation, p.159

參考 資料 [ 編輯 ]

  • Asgeir Blondal Magnusson (1989). Islensk orðsifjabok . Reykjavik: Orðabok Haskolans.
  • Bellows, Henry Adams (trans.) (1923) The Poetic Edda . New York: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 Available online in www.voluspa (org) .
  • Brodeur, Arthur Gilchrist (trans.) (1916). The Prose Edda by Snorri Sturluson . New York: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Available at Google Books .
  • Dronke, Ursula (1997). The Poetic Edda : Volume II : Mythological Poems . Oxford: Clarendon Press. In particular p. 18 and pp. 124?25.
  • Eysteinn Bjornsson (ed.). Snorra-Edda: Formali & Gylfaginning : Textar fjogurra meginhandrita . 2005. Available online .
  • Eysteinn Bjornsson (ed.). Voluspa . Available online .
  • Faulkes, Anthony (transl. and ed.) (1987). Edda (Snorri Sturluson). Everyman . ISBN   0-460-87616-3 .
  • Finnur Jonsson (1913). Goðafræði Norðmanna og Islendinga eftir heimildum . Reykjavik: Hið islenska bokmentafjelag.
  • Finnur Jonsson (1931). Lexicon Poeticum . København: S. L. Møllers Bogtrykkeri.
  • Lindow, John (2001). Handbook of Norse mythology . Santa Barbara: ABC-Clio. ISBN   1-57607-217-7 .
  • Thorpe, Benjamin (tr.) (1866). Edda Sæmundar Hinns Froða: The Edda Of Sæmund The Learned . (2 vols.) London: Trubner & Co. Available online in the Norroena Society edition at Google Book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