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뉴리더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뉴리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뉴리더 ( ニュ?リ?ダ? )는 日本 自由民主黨 總裁 나카소네 야스히로 의 退任을 앞두고 後繼者 자리를 노렸던 黨內 實力者들인 다케시타 노보루 , 아베 신타로 , 미야자와 기이치 세 사람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세 사람의 앞 글字를 하나씩 따서 安置쿠구 ( 安竹宮 )라고도 하며, 뉴리더라는 表現에는 세 사람 外에도 나카가와 이치로 , 와타나베 미치오 等이 包含될 때가 많다.

다나카 가쿠에이 內閣 이 樹立되면서 三角大伏中 이 자민당 內의 實力者로 浮上했다. 그리고 비슷한 時期에 다케시타, 아베, 고사카 도쿠사부로 等은 이미 將來의 總裁 候補로 꼽혀왔는데 이들을 當時 安置쿠쇼(安竹小)라고 불렀다. 하지만 고사카는 다나카파 所屬이긴 했어도 무派閥 出身이었으며 運輸大臣을 歷任할 때 國鐵 改革의 一環인 國鐵分割民營化 에 消極的이란 理由로 도코 도시오 等 財界로부터의 支援을 잃었다. 特히 國鐵分割民營化는 나카소네가 推進했던 것인데 고사카가 微溫的인 움직임을 보이자 나카소네의 憤怒를 샀고 政界에서의 影響力도 함께 줄어들었다. 結局 고사카를 代身하여 스즈키 젠코 內閣 에서 關防長官을 지낸 미야자와가 뉴리더로 불리게 되었고 안치쿠쇼도 安置쿠구로 代替되었다.

1987年 나카소네가 總裁職에서 물러날 當時 다케시타, 아베, 미야자와는 이미 派閥을 繼承받은 名實相符한 次期 리더로 자리잡았으며 나카소네가 물러날 當時 後任 總裁 選擧에 立候補한 사람도 뉴리더 세 名뿐이었다. 하지만 度量이 작다, 세 名 사이에 두드러진 差異가 없다라며 三角大伏中과 자주 比較되곤 했다. 이토 마사요시 는 뉴리더를 긴타로 아메(金太?飴)에 比喩했으며 고토다 마사하루 는 "다케시타는 總裁 100點·總理 0點, 아베는 總裁 50點·總理 50點, 미야자와는 總裁 0點·總理 100點"이라며 多少 빈정거리며 評했다.

다케시타는 다나카派의 後繼者로 指目되었지만 록히드 事件 의 裁判 結果 最終的으로 無罪를 宣告받은 다나카 가쿠에이 가 總裁職 復歸를 노리고 있어 派閥 承繼가 늦어졌다. 結局 다케시타는 다나카에게 反旗를 들었고 이에 衝擊받은 다나카가 쓰러져 政治的 影響力이 急激히 줄어들자 1987年 事實上 다나카파를 承繼받게 된다. 以後 다케시타는 나카소네의 後任 總裁로 就任하지만 리쿠르트 事件 에 휘말려 2年만에 總裁職을 내려놓는다.

아베는 뉴리더 中에선 가장 일찍 派閥 後繼者로 指目받는 等 '總裁 자리에 가장 가까운 男子'라는 評을 받았지만 角服戰爭 의 惡影響을 가장 많이 받은 人物이기도 했다. 1982年부터 4次例에 걸쳐 外務大臣을 歷任해 '外交의 아베'로 불리던 아베는 1986年 후쿠다派를 繼承받아 派閥 領袖가 되었지만 1987年 나카소네 財政 을 통해 다케시타에게 總裁 자리를 讓步했다. 하지만 以後 리쿠르트 事件에 휘말리면서 다케시타의 後任 總裁를 노리기 어려워졌고 外務大臣을 歷任할 때 長期間의 激務로 病을 얻어 結局 1991年 5月 病死했다.

미야자와는 1970年代부터 總裁 候補로 자주 擧論되었지만 黨內 最大 派閥인 다나카派에서 미야자와를 꺼려하는 政治人이 많아 總裁 就任이 늦어졌다. 1986年 스즈키파를 물려받았으며 다케시타가 退陣하고 아베가 病死한 뒤 1991年 가이후 도시키 가 總裁職에서 退陣하자 總裁로 就任했다. 하지만 黨內 最大 派閥인 다케시타派의 分裂과 政治改革의 遲延 等이 原因이 되어 미야자와 內閣 은 2年만에 崩壞하고 이는 55年 體制 의 마지막 자민당 內閣이 되었다.

와타나베 亦是 리쿠르트 事件에 連累되어 總裁 選擧에 出馬하지 못했으며 고모토는 리쿠르트 事件에 直接 連累되진 않았지만 네오 뉴리더 人 가이후에게 總裁 候補職을 讓步했다.

2014年 第2次 아베 新潮 內閣 (改造) 當時 아베 신타로의 아들인 아베 新潮 가 內閣總理大臣을, 다케시타 노보루의 동생인 다케시타 와타루 가 復興大臣을, 미야자와 기이치의 조카인 미야자와 요이치 가 經濟産業代身을 맡으면서 뉴리더들의 다음 世代들이 한 內閣에 모이는 모습이 演出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