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腦脊髓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腦脊髓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腦脊髓液의 脈動을 보여주는 MRI 寫眞
腦脊髓液은 脊髓 周圍의 거미膜밑 空間 을 循環한다.
腦室系統(CSF syster): 腦脊髓液(Cerebral Spinal Fluid),腦(Brain),頭蓋骨(Skull),側腦室(Lateral Ventricles), 第3腦室(Third Ventricles),第4腦室(Fourth Ventricles)

腦脊髓液 (腦脊髓液, cerebrospinal fluid , CSF )은 輸液 이라고도 부른다. 腦와 脊髓를 둘러싼 軟質막 蜘蛛膜 (거미膜) 사이에 있는 空間인 蜘蛛膜 下降(거미膜밑 空間)과 腦室 을 채우고 있는 液體 를 말한다. 腦의 고랑과 水槽, 隻手의 中心管에 들어 있는 液體도 腦脊髓液이다. 腦와 脊髓를 腦脊髓强 內에 富裕시켜서 腦 皮質을 物理的·免疫學的人 衝擊으로부터 保護하는 緩衝 役割을 한다. 大腦 血流를 自家調節하고, 腦와 脊髓의 組織液 을 代身하는 機能을 하기도 한다. 腦의 脈絡얼기 에서 生産되고, 無色·透明하며 約 알칼리성 으로 全體의 量은 100∼150 mL이다. 조성은 림프 와 거의 같으나 蛋白質 은 매우 적다.

救助 [ 編輯 ]

生産 [ 編輯 ]

腦脊髓液은 하루에 約 500 ml [1] (約 0.4 ml/分 [2] )가 生産되고, 일정하게 再吸收되어 量은 100-160 ml로 維持된다.

脈絡얼기 腦室막 細胞 가 全體 腦脊髓液의 2/3 以上을 生産한다. 脈絡얼기는 제4뇌실에 있는 靜脈얼기 로, 腦脊髓液으로 가득 찬 빈 空間이다. 나머지 腦脊髓液은 腦室의 表面과 거미膜밑 空間 周圍의 表面에서 生産된다. [3]

腦室막 細胞는 가쪽腦室로 나트륨 이온을 能動的으로 分泌한다. 이에 따라 渗透壓 이 形成되어 腦脊髓液이 있는 空間으로 물이 流入된다. 陰電荷를 띠는 鹽化物 은 陽電荷를 띠는 나트륨 이온과 함께 움직이면서 電氣的으로 中性을 維持한다. 따라서 腦脊髓液은 血漿보다 나트륨과 鹽化物의 濃度가 높고, 칼륨 , 칼슘 , 葡萄糖 蛋白質 의 濃度는 낮다. [3] [4]

循環 [ 編輯 ]

腦脊髓液은 腦室系統을 따라 循環한다. 腦室은 腦에 있는 빈 空間이다. 大部分의 腦脊髓液은 두 個의 가쪽腦室 에서 生成되어 腦室사이구멍( interventricular foramina of Monro )을 지나 第3腦室 로 移動하고, 이어서 中間腦水道管( cerebral aqueduct of Sylvius )을 거쳐 第4腦室로 移動한다. 第4腦室 腦줄기 의 뒤쪽에 있는 부푼 部分이다. 第4腦室에서 腦脊髓液은 세 구멍을 지나 거미膜밑 空間으로 들어간다. 가운데로는 鄭重구멍( foramen of Magendie )을, 良 가쪽으로는 가쪽구멍( foramen of Luschka )을 지난다. 거미膜밑 空間은 腦와 脊髓를 덮고 있다. [3]

腦脊髓液은 搏動하면서 移動하고, 流速은 約 0.77 ml/분이다. [5]

再吸收 [ 編輯 ]

腦脊髓液은 거미膜顆粒 을 통하여 경질막靜脈굴 로 들어가서 血管系로 돌아간다는 說이 支配的이다. 한 硏究는 腦脊髓液이 腦神經을 따라 흐르고 脊髓神經뿌리가 腦脊髓液을 림프로 들어가게 한다고 報告하였으며, [6] 이렇게 흐르는 腦脊髓液이 거미膜顆粒이 發達하지 않은 新生兒 의 腦脊髓液 再吸收에 特히 重要한 役割을 한다고 主張하였다. 또한 腦脊髓液은 머리뼈 바깥의 림프관, 特히 體板( cribriform plate )을 통하여 코의 粘膜밑 림프관으로 大部分 吸收된다. [7]

構成成分 [ 編輯 ]

머리뼈 안에 있는 腦脊髓液, 血液, 實質( parenchyma )의 부피 分布
各 部分에 存在하는 腦脊髓液의 부피

腦脊髓液은 標本 採集 位置에 따라 血漿蛋白質 의 約 0.3% 或은 15-40 mg/dL을 包含한다. [8] 腦와 脊髓를 둘러싼 거미膜밑 空間에는 135-150 ml이 들어 있을 수 있으므로 많은 量이 거미膜밑 顆粒 을 통하여 위시上靜脈굴 의 血液으로 流出된다. 腦脊髓液은 하루에 3.7番, 或은 6-7時間마다 한 番씩 交換된다. [1] 腦脊髓液이 連續的으로 靜脈 으로 흐르면서 腦와 腦脊髓液로 透過되는 큰, 脂質에 溶解되지 않는 分子의 濃度를 낮춘다. [9]

腦脊髓液의 壓力은 腰椎穿刺 를 통하여 잴 수 있다. 옆으로 누워 있는 사람은 10-18 cmH 2 O (8-15 mmHg 或은 1.1-2 kPa ), 앉아 있는 사람은 20-30 cmH 2 O(16-24 mmHg 或은 2.1-3.2 kPa )이다. [10] 新生兒는 8-10 cmH 2 O(5.9-7.4 mmHg 或은 0.78-0.98 kPa )이다. 腦脊髓液의 壓力이 變化하는 原因은 大槪 기침 을 하거나 목靜脈 의 內部 壓力 變化 때문이다. 누운 姿勢일 때 腰椎穿刺로 推定된 腦脊髓液 얍力이 머리속壓力 ( intracranial pressure )과 類似하다.

腦脊髓液에 있는 蛋白質의 量은 相異하다. 一般的으로 腰椎나 水槽에 있는 腦脊髓液에 비하여 腦室에 있는 腦脊髓液에 求刑 蛋白質과 알부민 이 더 적다. [11] IgG 量을 測定하는 IgG 指數는 [12] 와 같이 求한다. IgG 指數 基準値는 0.73으로, 값이 더 높으면 多發性 硬化症 이 있음을 나타낸다. [12]

腦脊髓液에 있는 이온 金屬 標準範圍
腦脊髓液 內의 이온 과 金屬의 標準範圍 [13]
物質 最低 [13] 最高 [13] 單位 血漿에 包含된 量 對備 百分率 [13]
渗透質濃度 [14] 280 300 mmol/L
나트륨 [14] 135 150 mmol/L
칼륨 [14] 2.6 3.0 mmol/L
鹽化物 [14] 115 130 mmol/L >100%
칼슘 [14] 1.00 1.40 mmol/L ~50%
마그네슘 [14] 1.2 1.5 mmol/L >100%
0.2 0.4 μmol/L
腦脊髓液에 있는 其他 分子의 標準範圍
腦脊髓液에 있는 其他 分子의 標準範圍
物質 最低 最高 單位 血漿에 包含된 量 對備 百分率
葡萄糖 [14] 50 [15] 80 [15] mg/dL ~60% [13]
2.2, [16] 2.8 [13] 3.9, [16] 4.4 [13] mmol/L
蛋白質 [14] 15 [13] [15] 40, [8] 45 [13] [15] mg/dL ~1% [13]
알부민 7.8 [17] 40 [17] mg/dL 0 [18] - 0.7% [18]
젖酸 1.1 [13] 2.4 [13] mmol/L
크레아티닌 50 [13] 110 [13] μmol/L
0.4 [13] 0.6 [13] μmol/L
要素 3.0 [13] 6.5 [13] mmol/L
二酸化炭素 20 [13] 25 [13] mmol/L
腦脊髓液에 있는 其他 構成 物質의 標準範圍
腦脊髓液 기타 構成 物質의 標準範圍
物質 最低 最高 單位 血漿에 包含된 量 對備 百分率
赤血球 n/a [15] 0 [15] / negative cells/μL or
cells/mm 3
白血球 0 [15] 3 [15] cells/μL
cells/mm 3
pH [14] 7.28 [13] 7.32 [13] (-log M)
PCO 2 [14] 44 [13] 50 [13] mmHg
5.9 [19] 6.7 [19] kPa
PO 2 40 [13] 44 [13] mmHg
5.3 [19] 5.9 [19] kPa


發生 [ 編輯 ]

發生 3週 頃에 胚芽는 세 葉으로 分化한다. 胚芽의 등쪽 表面을 덮고 있는 細胞層을 內胚葉 이라고 한다. 등쪽 表面의 가운데에 있는 直線型 構造를 척삭 理라 한다. 內胚葉이 增殖하면서 척삭은 發生하는 胚芽 가운對로 이끌려오고, 神經管으로 發達한다. [20]

는 胚芽 發生 4週 째에 나타나기 始作한다. 이 時期에는 머리가 생길 神經管 周圍가 여러 군데 부풀고, 以後에 各各 中樞神經系 의 構成要素로 分化한다. 이 時期의 腦는 앞腦 ( prosenchephalon ), 中間腦 ( mesencephalon ), 마름腦 ( rhombencephalon ) 세 部分으로 나뉜다. [20]

發生하는 電腦는 神經管( neural cord )을 감싸고 있다. 神經管은 窮極的으로 가쪽腦室 이 된다. 腦室의 안쪽 表面을 따라서 얇은 腦室 壁이 있고, 脈絡얼기 가 發達하여 腦脊髓液을 放出한다. 腦脊髓液은 재빨리 神經管( neural canal )을 채운다. [20]

機能 [ 編輯 ]

浮力 [ 編輯 ]

사람의 腦는 質量 이 藥 1400 g 程度이지만, 腦脊髓液에 떠있는 腦의 무게 는 25 g까지 減少한다. [21] 腦는 中性富力 狀態로 存在하면서 스스로의 무게에 눌리지 않고 密度를 維持한다. 腦脊髓液이 없으면 腦의 아래쪽 部分에는 血液 供給이 원활하지 않고 뉴런 壞死 할 것이다. [22]

保護 [ 編輯 ]

腦脊髓液은 急激한 움직임이나 打擊으로부터 腦 組織을 保護한다. 交通 事故나 스포츠 負傷 等 특수한 狀況에서 腦脊髓液이 頭蓋骨 에 加해지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出血 이나 腦 損傷을 일으키고 甚하면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22]

化學的 安定 [ 編輯 ]

腦脊髓液은 腦室系統 안을 흐르고 血液腦障壁 을 지나 血流로 다시 吸收되면서 中樞神經系 에서 생기는 大使 副産物을 除去한다. [23] 이를 통하여 神經內分泌 人者 分布의 恒常性 調節이 이루어진다. 神經內分泌인자는 若干의 變化로도 神經系 機能에 問題를 일으키거나 損傷을 줄 수 있다. 例를 들어, 글라이신 濃度가 높으면 體溫 血壓 調節 機能이 攪亂되고, 腦脊髓液 pH 가 높으면 어지럼症 이 생기거나 失神 하기도 한다. [22]

老廢物 除去 [ 編輯 ]

마이켄 넨더가드 ( 덴마크語 : Maiken Nedergaard )는 腦室의 글림프계 ( glymphatic system )가 腦脊髓液을 통해 腦細胞의 活動 및 代謝 結果 生産된 毒素와 老廢物을 腦 組織의 細胞 사이膣額에서 除去하는 役割을 한다고 硏究結果 이를 報告한바있다. [24] 글림프계의 活性은 睡眠 中에 增加한다. 睡眠 中에, 신경아膠細胞 의 收縮으로 統制되는 細胞外 채널이 열려서 腦脊髓液이 腦 사이사이로 稠密하게 流入될수있게 된다. [25] 이를 통하여 覺醒 狀態에서 腦의 活動으로 生産된 臺詞 老廢物, 例를 들면 베타 아밀로이드 , 타우 蛋白質 等을 睡眠 中에 除去하는 데에 腦脊髓液이 큰 役割을 한다고 推測할 수 있다.

臨床的 重要性 [ 編輯 ]

腦脊髓液 壓力이 높아지면 腦의 血流가 制限될 수 있다. 腦脊髓液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면 腦脊髓液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두個脊髓 順應도( craniospinal compliance )와 頭蓋骨內 血流에도 影響을 미쳐 뉴런과 神經阿膠細胞를 脆弱하게 한다. 또 靜脈系統圖 여기에 關與한다. 幼兒와 어린이는 特히 腦脊髓液 壓力과 腦室 크기 사이의 關係가 豫想을 벗어나는 境遇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靜脈壓 變化에 一部 起因한다. [26]

몇몇 哺乳類 에서 腦脊髓液과 림프계桶 이 連結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豫備 調査 結果에 따르면 子宮 에서 脈絡얼기 가 腦脊髓液을 分泌하는 能力이 形成되는 時期에 腦脊髓液-림프 連結이 形成된다. 水頭症 을 包含하는 腦脊髓液 障礙와 非正常的인 腦脊髓液-림프 輸送 사이에 어떤 關係가 있다. [26]

水頭症 [ 編輯 ]

水頭症 은 말 그대로 머리(腦)에 물이 찬 狀態로, 腦脊髓液 흐름이나 再吸收가 正常的이지 않거나 過多하게 많은 腦脊髓液이 生産되어 생긴다. 腦에 있는 빈 空間인 腦室 에 腦脊髓液이 非正常的으로 蓄積되어 頭蓋骨內 壓力(ICP)李 높아질 수 있다. 水頭症이 發生 中에 發生하면 頭蓋骨 이 커질 수도 있다. [27] 흔히 精神的 障礙를 同伴하며, 痙攣性 發作( convulsive episode )이나 터널시야를 同伴하기도 한다. 水頭症은 빨리 矯正하지 않으면 危險할 수 있으며, 嬰兒와 나이가 많은 어른에게서 頻度가 더 높다.

腰椎穿刺 [ 編輯 ]

사람의 腦脊髓液

腦脊髓液은 多樣한 神經系疾患 을 診斷하는 데에 使用되며, 腰椎穿刺를 통하여 蒐集한다. [28]

腰椎穿刺는 無菌 條件에서 거미膜밑 空間, 大槪는 세 番째와 네 番째 허리뼈 사이에 바늘을 넣어 實施한다. 바늘을 통해 蒐集된 腦脊髓液에 있는 細胞의 數를 세고 蛋白質과 葡萄糖 濃度를 檢査한다. 이러한 指標만으로도 거미膜밑 出血 中樞神經系 感染( 髓膜炎 等)을 診斷하는 有用한 道具이다. 腦脊髓液 培養 檢査를 통하여 感染의 原因이 된 微生物 을 얻을 수 있다. 올리고클론띠( oligoclonal band ) 等 더욱 精巧한 方法으로는 進行中인 炎症 狀態(例를 들면 多發性 硬化症 )를 알 수도 있다. 베타-2 트랜스페린 分析은 腦脊髓液 漏水를 感知하는데 매우 敏感하고 特異的인 分析法이다. [29]

頭蓋骨內 壓力 을 測定할 때에 腰椎穿刺를 行하기도 한다. 特定한 水頭症의 境遇 頭蓋骨內 壓力이 높아지기도 한다. 頭蓋骨內 壓力이 腫瘍 等으로 인하여 높아진 것으로 疑心될 때에는 腰椎穿刺를 實施해서는 안 된다. 腦 헤르니아 를 일으켜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9]

腰椎穿刺를 받은 사람의 1/3은 頭痛 을 經驗한다. [29]

比重 [ 編輯 ]

腦脊髓液은 痲醉科學에도 重要한 要素이다. 比重( baricity )은 사람의 腦脊髓液 對備 物質의 密度(濃度)이다. 痲醉 를 할 때에 比重을 통하여 特定한 藥물이 卿막내 空間에 퍼지는 程度를 알 수 있다.

알츠하이머病 [ 編輯 ]

腦脊髓液에 있는 蛋白質 表紙者 세 個를 통하여 알츠하이머病 이 있는지 알 수 있다는 報告가 있다. 蛋白質 表紙者는 各各 腦脊髓液 아밀로이드 베타 1-42과 腦脊髓液 內 銃 타우 蛋白質 및 P-τ 181p 이다. 蛋白質 表紙者를 통한 檢査에서 敏感度는 높았지만 特異度는 낮았다. [30] [3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Netter FH (2000年 3月 10日). CIBA 原色도해의학총서 編纂委員會 篇, 編輯. 《CIBA原色도해의학총서》. 1(Part 1). 圖書出版 情談. 31쪽. ISBN   8980850980 .  
  2. David N. Irani (2008). 〈Chapter 3 CSF Secretion, Recirculation, and Resorption〉. 《Cerebrospinal Fluid in Clinical Practice》 . Elsevier Health Sciences. 12쪽. ISBN   1-4160-2908-7 .  
  3. Guyton AC, Hall JE (2005).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板. Philadelphia: W.B. Saunders. 764쪽. ISBN   978-0-7216-0240-0 .  
  4. Saladin, Kenneth (2012). 《Anatomy and Physiology》 6板. McGraw Hill. 519?20쪽.  
  5. Brinker T; Stopa E; Morrison J; Klinge P (2014). “A new look at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 《Fluids Barriers CNS》 11 : 10. doi : 10.1186/2045-8118-11-10 . PMC   4016637 . PMID   24817998 .  
  6. Zakharov A; Papaiconomou C; Djenic J; Midha R; Johnston M (2003). “Lymphatic CSF absorption pathways in neonatal sheep revealed by sub arachnoid injection of Microfil”. 《Neuropathol. Appl. Neurobiol.》 29 (6): 563?73. doi : 10.1046/j.0305-1846.2003.00508.x . PMID   14636163 .  
  7. Johnston M (2003). “The importance of lymphatics in cerebrospinal fluid transport”. 《Lymphat. Res. Biol.》 1 (1): 41?4. doi : 10.1089/15396850360495682 . PMID   15624320 .  
  8. Felgenhauer K (1974). “Protein size and CSF composition”. 《Klin. Wochenschr.》 52 (24): 1158?64. doi : 10.1007/BF01466734 . PMID   4456012 .  
  9. Saunders NR; Habgood MD; Dziegielewska KM (1999). “Barrier mechanisms in the brain, I. Adult brain” . 《Clin. Exp. Pharmacol. Physiol.》 26 (1): 11?9. doi : 10.1046/j.1440-1681.1999.02986.x . PMID   10027064 .  
  10. Dimitri Agamanolis (2013年 1月). “Chapter 14 - Cerebrospinal Fluid :THE NORMAL CSF” . 《Neuropathology》. Northeast Ohio Medical University . 2014年 12月 25日에 確認함 .  
  11. Merril CR; Goldman D; Sedman SA; Ebert MH (1981年 3月). “Ultrasensitive stain for proteins in polyacrylamide gels shows regional variation in cerebrospinal fluid proteins”. 《Science》 211 (4489): 1437?8. doi : 10.1126/science.6162199 . PMID   6162199 .  
  12. Hische EA; van der Helm HJ; van Walbeek HK (1982年 2月). “The cerebrospinal fluid immunoglobulin G index as a diagnostic aid in multiple sclerosis: a Bayesian approach” . 《Clinical Chemistry》 28 (2): 354?5. PMID   7055958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3. PATHOLOGY 425 CEREBROSPINAL FLUID [CSF] Archived 2012年 2月 22日 - 웨이백 머신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nd Laboratory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By Dr. G.P. Bondy. Retrieved November 2011 [ 깨진 링크 ]
  14. 깨진 링크를 代身하여 아래 文獻을 參考할 수 있다.
  15. Normal reference range Table Archived 2011年 12月 25日 - 웨이백 머신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at Dallas. Used in Interactive Case Study Companion to Pathologic basis of disease. [ 깨진 링크 ]
  16. Department of Chemical Pathology at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Archived 2015年 1月 5日 - 웨이백 머신 , in turn citing: Roberts WL et al.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Clinical Laboratory. In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4th edn. Burtis CA, Ashwood ER and Bruns DE eds. Elsevier Saunders 2006; 2251 - 2318
  17. Lab Manual for SFGH > PROTEIN, CSF - IgG INDEX Archived 2015年 1月 5日 - 웨이백 머신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Last updated 10/4/2010.
  18. Standardization of procedures and methods in neuroimmunology Archived 2013年 10月 21日 - 웨이백 머신 [ 쪽 番號 必要 ] from the Italian Association of Neuroimmunology. Retrieved January, 2012
  19. Derived from mmHg values using 0.133322 kPa/mmHg
  20. Schoenwolf GC, Larsen WJ (2009).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Cranial Nerves〉. 《Larsen's human embryology》 4板.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ISBN   978-0-443-06811-9 .   [ 쪽 番號 必要 ]
  21. Noback, Charles; Norman L. Strominger; Robert J. Demarest; David A. Ruggiero (2005). 《The Human Nervous System》. Humana Press. 93쪽. ISBN   978-1-58829-040-3 .  
  22. Saladin, Kenneth (2007). 《Anatomy and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McGraw Hill. 520쪽. ISBN   978-0-07-287506-5 .   ,
  23. Allan H. Ropper; Robert H. Brown (2005年 3月 29日). 〈30〉. 《Adams and Victor's Principles of Neurology》 8板. McGraw-Hill Professional. 530쪽.  
  24. Iliff JJ; Wang M; Liao Y; 外. (2012年 8月). “A paravascular pathway facilitates CSF flow through the brain parenchyma and the clearance of interstitial solutes, including amyloid β” .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4 (147): 147ra111. doi : 10.1126/scitranslmed.3003748 . PMC   3551275 . PMID   22896675 .  
  25. Xie L; Kang H; Xu Q; 外. (2013年 10月). “Sleep drives metabolite clearance from the adult brain”. 《Science》 342 (6156): 373?7. doi : 10.1126/science.1241224 . PMID   24136970 .  
  26. “Hydrocephalus: Myths, New Facts, Clear Directions” .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H . 2011年 3月 10日. 2015年 1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月 5日에 確認함 .  
  27. “Hydrocephalus Fact Sheet” .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14年 4月 16日. 2016年 7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月 5日에 確認함 .  
  28. Seehusen DA; Reeves MM; Fomin DA (2003年 9月). “CSF analysis” . 《Am Fam Physician》 68 (6): 1103?8. PMID   14524396 . 2008年 5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月 5日에 確認함 .  
  29. Colledge NR; Walker BR; Ralston SH, 編輯. (2010).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21板.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1147?8쪽. ISBN   978-0-7020-3084-0 .  
  30. De Meyer G; Shapiro F; Vanderstichele H; 外. (2010年 8月). “Diagnosis-independent Alzheimer disease biomarker signature in cognitively normal elderly people” . 《Archives of Neurology》 67 (8): 949?56. doi : 10.1001/archneurol.2010.179 . PMC   2963067 . PMID   20697045 .  
  31. Herskovits AZ, Growdon JH (2010年 8月). “Sharpen that needle”. 《Archives of Neurology》 67 (8): 918?20. doi : 10.1001/archneurol.2010.151 . PMID   20697041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