腦줄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施賞(thalamus), 고삐(受講,habenula), 솔방울샘 (松果體, pineal body), 위둔덕(商邱2個, Superior colliculus), 아래둔덕(하구2개, inferior colliculus), 腦幹(brainstem)

腦줄기 (brainstem 또는 brain stem) 또는 腦幹 (腦幹)은 에서 大腦 半球 小腦 를 除外한 나머지 部分을 總稱하는 말이다. 解剖學的 構造上으로는 脊髓와 大腦 사이에 줄기처럼 連結된 腦의 部分으로 中間腦 , 다리腦 , 숨腦 로 이루어져 있다. 學者나 分野에 따라서는 사이腦 小腦 를 腦줄기에 包含시키는 境遇도 있다. 大腦 半球나 小腦가 意識的인 여러 活動이나 調節에 關係하고 있는 데 비해 腦줄기는 無意識的인 여러 活動, 例를 들면 反射的인 運動이나 內臟 機能 等의 中樞가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腦줄기는 '살아가는' 데 있어 必須的이지만, 大腦 半球나 小腦는 '보다 잘 살아가기' 위한 構造라고 할 수 있다.

사이腦 [ 編輯 ]

사이腦 또는 間腦 (間腦, diencephalon)는 大腦 半球 안쪽에 位置해 있고 따라서 大腦 半球에 둘러싸여 있으며, 電腦 , 中腦 , 後腦 의 順序上에서 解剖學的으로 腦줄기 中에서 가장 먼저 始作되는 部分으로 보기도 한다.

사이腦의 一部인 '視床(視床)下部'는 여러 腦 領域에 걸쳐서 重複的으로 包含된다. 視床下部 는 內臟·血管 等의 作用에 있어 最高 中樞로, 自律 神經系 및 大司成 內分泌 機能을 直接 支配하며, 이로써 온몸에 있는 機關의 作用을 生命 維持를 위해 統一된 調節을 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 以上이 생기면 體溫 調節·臺詞·消化器 活動·心臟 機能 等 廣範圍한 自律性 機能에 變調를 가져온다. 視床下部와 內分泌 機關인 '下垂體'는 神經 分泌와 下垂體 文脈界에 依해 形態的·機能的으로 密接한 關係이며, 下垂體의 內分泌 機能은 直接 視床 下部의 支配를 받고 있다.

詩想은 視床 下部 위쪽의 큰 部分을 차지하며 多數의 神經核(神經 細胞 集團)李 存在한다. 여기는 地殼의 中繼所로, 온몸의 皮膚로부터 오는 知覺 神經은 一旦 여기에서 끝나며 여기에서 비로소 出發하는 神經이 大腦 皮質의 知覺領에 連絡한다. 그 때문에 皮膚에서 오는 情報는 知覺領에 到達하여 의식되기 前에 시상에서 다른 機關, 例를 들면 筋肉 等으로 보내져 迅速하게 目的에 符合된 反射的 行動을 일으킬 수 있다. 詩上에서는 이미 어떤 感覺이 의식된 듯하며, 漠然한 快·不快 等은 大腦 皮質에 到達하지 않아도 시상에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時刻·聽覺의 中繼所人 膝上體(膝狀體)는 施賞 바로 옆에 있으며, 넓은 意味에서는 詩想의 一部로 看做되므로 詩想은 人間의 重要한 情報 蒐集 經路의 모든 中繼所라고 할 수 있다.

中間腦 [ 編輯 ]

中腦 (中腦, midbrain 또는 mesencephalon, 中間腦)는 間腦와 能腦 사이에 있으며, 多數의 求心性·遠心性 神經의 經路이다. 또 많은 神經核이 存在하며, 主로 反射性 連絡에 關係한다. 中腦의 뒷面에는 고무공을 半으로 잘라 씌운 듯한 네 個의 訴求(小丘)가 늘어서 있다. 그 가운데 사이腦 쪽에 있는 2個(商邱)에는 視覺系, 能腦 쪽에 있는 2個(하구)에는 聽覺系 神經이 作用하며, 이곳에서 反射性 連絡에 該當하는 神經이 나온다. 中腦 內部에 있는 赤核 (赤核)이나 黑質 (黑質)은 모두 骨格筋 運動의 調節 役割을 하는 椎體 외로의 中繼所이다.

다리腦와 숨腦 [ 編輯 ]

中間腦로 이어지는 팽융部(膨隆部)가 ' 다리腦' (pons, 橋腦), 이것이 脊髓癆 移行해가는 部分이 ' 숨腦 (硏修, 延髓, medulla oblongata)'이다. 이들 배쪽에는 求心性·遠心性 神經 다발이 달리고 있으며, 등쪽에는 腦神經 核이 存在한다. 校 배쪽의 불룩한 部分은 校核이 存在하기 때문이며, 이 核은 運動 神經의 椎體 외로에 關係하는 神經 細胞의 集合體로, 小腦 皮質과의 連絡을 맡고 있다. 연수의 배쪽에는 錐體路(錐體路)의 運動性 神經의 大部分이 反對쪽으로 履行하고 있으며, 이를 '椎體 交叉'라고 한다. 그 바로 위쪽 內部에는 知覺性 神經이 反對쪽으로 履行하고 있으며, 이를 '모대(毛帶) 交叉'라고 한다. 橋腦 와 硏修 등쪽의 小腦 사이의 空間은 '第4腦室'이라 부른다. 그 바닥을 이루는 部分은 사다리꼴을 하고 있어 '陵型와(菱形窩)'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제5부터 第12까지의 腦神經에 관계된 神經 細胞가 가득 들어 있으며, 腦神經核이라고 總稱되고 모두 中繼所 役割을 하고 있다. 特히 第10 腦神經(美洲 神經)은 骨盤內臟을 除外한 모든 內臟을 支配하는 自律 神經인데, 그 出發點(神經核)李 硏修에 있다는 것은 內臟의 여러 機能의 中樞가 硏修임을 示唆한다. 實驗的으로 動物은 大腦 皮質을 摘出해도 죽지 않지만 硏修가 損傷되면 短時間에 죽는다. 硏修에는 또한 皮膚에서의 知覺 神經의 最初의 中繼所人 骨核 및 블루다하핵과 運動性 椎體 외로의 中繼所人 올리브核 等이 存在한다.

그物體 [ 編輯 ]

그物體 (reticular formation) 또는 網狀體 사이腦 · 中間腦 · 다리腦 · 숨腦 의 中心部에 連續해서 存在하는 神經 纖維다발의 構造로 連結되어 그물模樣의 妄想을 이루는 것들 모두를 말한다. 神經 細胞가 그물 模樣의 神經 纖維 사이에 散在하는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部分은 意識(覺醒)과 깊은 關係가 있으며, 이곳이 活性化되면 覺醒이 뚜렷해지는데, 活動性이 낮아지면 意識이 朦朧해진다. 特히 睡眠 狀態에서 그物體의 機能은 顯著하게 低下된다. 그物體와 大腦 皮質 사이에는 密接한 神經 連絡이 存在하며, 大腦 皮質 活動은 그物體에 依해 活性化된다. 이러한 그物體의 세트를 그物體 活性化 시스템 (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