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樂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農樂舞 는 原始人들의 群衆舞踊이 朝鮮 時代에 이르는 사이에 漸次로 發達한 것으로, 三韓 時代에는 集團舞踊으로서의 軌道에 올랐다. 이때에 벌써 數十名이 다體가 되어 몸을 움직이고 발을 딛는 것이 다르고 손짓·발짓度 拍子에 맞추었다는 것을 < 위지동이전 >에서 볼 수 있다. 그 뒤 高麗 睿宗 공민왕 때 農樂用에 適當한 太平簫 · · 꽹과리 等이 輸入됨으로써 純粹한 鄕土樂器人 小鼓 와 合勢하여 더 한層 活潑하여졌다. 이로써 高麗 中葉 以後로 더욱 進展을 보게 되어 團體舞踊으로서의 形式을 갖추게 되었다.

그 노는 方法은 여러 形態가 있으니, 6陣(六陣)·수진(水陣)과 8陣法(八陣法) 等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이 法은 農樂舞로서, 高度로 發達되어 있는 南韓地方에서 盛行한다. 이 춤의 演戱하는 順序는 陣풀이·느진 風流(風流)·交換(交換)·靈山(靈山)·松津(送陣)·가적(歌的)·劇的(劇的)·舞踊的(舞踊的)·解散(解散)굿 等 10餘 誇張(科場)으로 變化되어 있다.

農樂舞에 使用되는 樂器는 꽹과리·징·北·杖鼓·小鼓·戶籍 等이고, 이 춤의 進行은 上쇠(上釗)가 專擔하고 小鼓와 北·杖鼓 等이 補助役割을 한다. 韓國의 宮中舞踊 이나 궁중악이 過去 封建時代에는 王公가(王公家)에 隸屬되어 一部 特權階級의 玩賞用(玩賞用)에 소용되었으나, 이 農樂舞만은 發生한 뒤부터 農民 大衆들이 키워오고 이끌어 내려온 것으로, 長久한 歷史를 가진 豪華 潑剌한 民俗舞踊이다. 農樂舞는 全國에 散在해 있어 地方에 따라 若干의 差異點이 있으나 大同小異하고, 農漁村에서 唯一한 娛樂物日 뿐 아니라 또한 民俗的인 歲時風俗의 行事에는 반드시 參加하는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