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에 逃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나카에 逃走

나카에 逃走 (中江藤樹, なかえ とうじゅ , 1608年 4月 21日 ~ 1648年 10月 11日 )는 日本 哲學者 다. 日本 陽明學 의 始祖이다.

平素 藤나무 (藤樹) 아래에서 講學하였다고 하여, 사람들은 그를 ‘逃走 先生’이라 불렀다. 靑年 時節에 逃走는 하야시 라잔 의 門下에서 程朱學 을 배웠으며, 33歲가 되던 해에 偶然히 《왕용계語錄(王龍溪語錄)》을 읽고 많은 感銘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용계 의 語錄에 佛敎 의 말들이 섞여 있고 그 見解가 禪學 (禪學)에 가깝다고 여겨, 그것에 對해 始終 疑心을 품었다고 한다. 그러나 37歲 되던 해 《王陽明全集》을 救해 여러 番 읽고 나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聖人의 一貫된 學問은 太虛(太虛)를 체(體)로 삼으니, 異端(異端)과 外道(外道)가 모두 내 안에 있다. 내가 어찌 말이 같다고 꺼리겠는가”(〈藤樹先生行狀〉) “치地格物(致知格物)의 學問이 비록 새롭다고 하지만 해가 거듭하여도 참뜻을 밝힐 수 없구나. 하늘이 도와서 밝은 世界로 돌아와 太平함에 이르렀으니, 오늘 아침 내 마음에는 새 봄이 찾아 온 듯하구나.”(〈藤樹先生遺稿〉) 이로부터 逃走는 完全히 陽明學에 歸依하였다. 그러나 逃走는 陽明學에 對한 믿음을 갖고 있었음에도 不拘하고, 그것에 拘礙됨 없이 다른 여러 學派의 長點도 받아들였다. 그는 이 土臺 위에서 自身의 獨特한 思想 體系인 도‘주학’을 建立하였고, 나아가서는 日本 陽明學의 理論的 기틀을 마련하였다.

宇宙論에 있어서 나가에 逃走는 完全히 王守仁 의 審本體論을 繼承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審(心)이란 全體的인 總稱이요, 太極의 다른 이름이다. 심은 리(理)와 氣(氣)를 合하고 審과 性(性)을 統括하여 비록 主宰한다 하더라도, 其實 天地의 形體 밖에까지 通한다. 그것을 크다고 하면 밖이 없고, 작다고 하면 안이 없으니, 바로 造化의 하늘이요, 그것 亦是 나에게 주어져 存在한다.”(〈翁問答〉) 이 말은 ‘마음’은 宇宙의 本體인 同時에, 天地萬物과 모든 里의 根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逃走의 主觀的 觀念論의 理論 體系가 비록 王守仁의 哲學 體系를 繼承하고 있더라도, 그 內容과 思惟的 構造에 있어서는 一部 다른 點도 있다. 逃走 哲學 體系의 最高 範疇는 ‘明德(明德)’이다. 明德은 本來 太虛(太虛)와 체를 함께 하는 것이다. 이에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비록 가슴 한가운데 存在하더라도 빛은 死海(四海)를 밝게 비추고 신명에 통하니, 天下를 平定하고 나라를 다스리며 집안을 가지런히 함에 있어서 통하지 않음이 없다. 따라서 天地萬物은 모두 明德(明德) 가운데 갖추어져 있다.”(《藤樹先生全集》) “大槪 明德이라고 하는 것은 喪祭(上帝)가 人間 속에 자리한 것이니 純粹하고 至極히 善한 것이다.”(《藤樹先生全集》) 卽 明德은 人間이 本來부터 가진 先天的인 道德 意識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逃走는 “陽地(良知)가 바로 千里요, 明德이다”라고 말하여 陽地와 明德을 統一시켜 規定하였다. 陽地와 明德을 同一視하는 觀點은 逃走와 王守仁이 서로 一致한다. 그러나 逃走는 ‘孝(孝)’를 明德의 本質로 看做하였고, 孝를 人類 社會 最高의 道德的 法則과 宇宙 萬物의 시원으로 여겼다.

逃走學科 陽明學을 比較해 보면, 陽明學 가운데는 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積極的인 眞趣 精神이 充滿되어 있다. 그러나 逃走의 學問 世界는 이와는 相對的으로 現實 世界의 苦悶과 煩惱에서 解脫하고, 內面的 世界의 平穩과 快樂을 追求하는 데 좀 더 무게가 실려 있다. 따라서 度朱學은 彷徨과 不安 속에서 갈팡질팡하는 마음을 위해 安息處를 마련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으로 轉落하였다. 젊어서는 極端的인 排佛論者였던 그가 後期에 와서 佛敎와 妥協하고, 甚至於 佛敎를 留學에 끌어들여 折衷시키려고 한 것도 이러한 學問的 性向을 聯關된다. 逃走의 學問은 陽明學과 比較해서 理論的 水準이나 思想 體系가 세련되지 않았으며, 거칠고 粗雜함이 到處에서 發見된다. 이는 그가 양명학자로 變身하여 自己의 思想과 理論을 펼친 時期가 不過 5年밖에 되지 않고, 學問的 修養과 個人的 素質에 있어서도 限界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判斷된다.

著書 [ 編輯 ]

  • 大學啓蒙(大學啓蒙)(1628年)
  • 地境圖說(持敬圖說)(1638年)
  • 原因(原人)(1638年)
  • 論語鄕黨啓蒙익전(論語?黨啓蒙翼傳)(1639年)
  • 옹問答(翁問答)(1640年)
  • 孝經啓蒙(孝經啓蒙)(1642年)
  • 小醫南侵(小醫南針)(1643年)
  • 新放技術(神方奇術)(1644年)
  • 警長(鏡草)(1647年)
  • 大學高(大學考)(1647年)
  • 大學해(大學解)(1647年)
  • 重用해(中庸解)(1647년)
  • 重用屬해(中庸續解)(1647년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