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꿀벌의 寓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꿀벌의 寓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꿀벌의 寓話 ( The Fable of the Bees or Private Vices, Public Benefits ) 1714年 네덜란드 胎生의 英國 哲學家人 버나드 맨더빌 이 쓴 冊이다. 이 冊은 諷刺的 詩人 '투덜대는 벌집'이란 題目으로 1705年 에 匿名으로 出版되었다. 이 冊에서 맨더빌은 벌들이 사는 集團은 벌들이 正直과 美德으로 살도록 決定할 때까지 蕃盛하게 된다고 描寫한다. 卽, 벌들이 個人的인 利益을 위한 欲望을 抛棄하면, 그 벌집의 經濟는 崩壞하며 몇 몇 남은 벌들만 單純하고 덕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맨더빌이 말하는 社會의 發展은 個人이 악을 行할 때 發生된다는 것이다. 이 冊으로 인해, 道德論者들의 反撥을 샀으나, 後에 애덤 스미스 等에게 影響을 미쳐 資本主義 經濟學에 基礎를 낳게 된다.

다양한 反應 [ 編輯 ]

이 書籍이 처음으로 出刊되자마자, 그 當時 基督敎 人들에게는 큰 衝擊을 가져다 주었다. 批判者들 中에는 조지 버클리 윌리엄 로우 가 있으며 프랜시스 허치슨 은 論評할 價値조차 없을 程度로 형편없다고 했으며 맨더빌의 奢侈에 關한 槪念이 同意할 수 없다고 하였다. 애덤 스미스 는 그의 著書 道德 感情論 에서 맨더빌이 貪慾을 利己心의 한 部分으로 잘못 理解했다고 評價하며, 利己心과 貪慾은 別途로 取扱해야 한다고 그의 著書 國富論 에서 論述하였다.

解釋 [ 編輯 ]

맨더빌의 主張과 基督敎 世界觀의 衝突은 果然 基督敎的 社會가 可能한지에 對한 疑問을 갖게 한다. 卽, 맨더빌에 依하면 基督敎는 全 世界에서 少數가 存在해야만 世界의 繁榮이 持續可能하다는 것이다. 이런 觀點에서 맨더빌은 基督敎人들에게로부터 많은 攻擊을 받았다.

批判 [ 編輯 ]

맨더빌이 比喩한 벌집은 個人主義者들의 모임이라는 指摘이다. 反面에 實際로는 大部分의 動物은 集團的인 共同體的 社會를 이룬다. 卽, 사무엘 버틀러 가 말했듯이 닭은 알을 더 낳으려고 하듯이 벌들도 遺傳的으로 모여 산다는 것이다. 벌집은 보다 社會主義 國家에 가까운 모델로, 個人主義的 人間을 描寫할 수 없다. [1]

飜譯書籍 [ 編輯 ]

  1. Fleming, Thomas (2011年 8月 2日). “Bernard Mandeville - Chronicles” (美國 英語) . 2022年 6月 21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