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류 (1571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김류 (1571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류 (金?, 1571年 ~ 1648年 3月 5日 )는 朝鮮 中期의 文身이다. 字는 관옥(冠玉), 號는 北渚(北渚), 諡號는 문충(文忠), 本貫은 順天 . 仁祖反正 의 功臣이다. 아버지 김여물 壬辰倭亂 忠州 彈琴臺 戰鬪 戰死 했으므로 殉節者의 아들로 參奉 이 되었다. 西人 의 領袖이고, 仁祖反正 을 寄與한 功勞로 情事1等功臣에 책록되고 官職은 領議政 에 이르렀으며 昇平府院君(昇平府院君)에 封爵되었다.

김류
金?
昇平府院君
昇平府院君
身上情報
出生日 1571年
出生地 朝鮮
死亡日 1648年 3月 5日
死亡地 朝鮮 漢城府
國籍 朝鮮
配偶者 晋州 류氏
宗敎 儒敎 ( 性理學 )

生涯 [ 編輯 ]

太宗 때 佐命功臣(佐命功臣)인 김승주 의 後孫으로, 김승주의 아들 김유온의 6代孫이 된다. 아버지 김여물 壬辰倭亂 申砬 의 副官으로 出征했다가 忠州 彈琴臺 에서 敗戰하고 自決하였다. 그는 父親이 壬辰倭亂 때 戰死했으므로 殉節者의 아들로 淫祀(蔭仕)로 參奉에 除授되었다. 이어 母親까지 死亡하면서 22, 23歲 때 父親과 母親喪을 잇달아 치렀다. 1596年 , 文科에 及第하여 檢閱·江界 府使 等을 지냈다. 1623年 , 李貴 · 李适 等과 함께 仁祖反正 에 成功하여 靖社功臣으로 책록되었다. 兵曹參判을 거쳐 벼슬이 大提學 에까지 올랐다. 이듬해 李适의 亂 이 일어나자 王을 모시고 公州 로 避亂했으며, 丁卯胡亂 때에는 强化 로 王을 모시었다.

신경진 과의 關係가 매우 재미있는데 신경진과는 아버지의 代부터 親分을 쌓아온 사이이다. 신경진의 아버지 申砬 은 김유의 아버지 김여물 을 部長으로 삼아 彈琴臺 戰鬪 에서 同伴 戰死했으며 仁祖 反正 에서는 그 反對로 金瑬가 신경진을 麾下에 두고 仁祖 反正을 일으켰다.

還都 後 領議政 이 되고 昇平府院君이 되었다. 그는 文章과 筆法이 뛰어났으며 著書로 <北저집>이 있다. 文科에 及第할 때부터는 承文院權知副正字 로 벼슬을 始作하였다. 그리고 大橋 , 州서 , 奉敎 等을 歷任하고 刑曹佐郞 , 戶曹佐郞 을 거쳐 忠淸道道士 , 全州判官 等을 많이 歷任하였다.

以後 侍講院史書 , 弘文館副校理 를 歷任하고 江界府使 까지 歷任하고 司憲府地平 , 司憲府掌令 을 지냈으나 仁穆大妃 폐모론에 反對하다가 北人들로부터 謀陷을 받고 쫓겨난다. 以後 申砬 將軍의 아들인 신경진 과 ‘함께 萬 番을 죽더라도 종사를 위해 計策을 圖謀하자’는 謀議를 하게 된다. [1]

1623年, 仁祖反正 에 參加한 뒤에 兵曹參判, 禮曹參判, 大司諫, 漢城府右尹, 漢城副左尹 等을 歷任하였다.

1623年 3月 12日 아들 김경징 및 신경유, 조흡, 이성연 等과 함께 창의문을 통해 大闕로 들어갔다. 反正 以後 모든 收拾策과 諸般 群舞는 그의 손에서 決定되었다 해도 過言이 아니다. 그래서 反政 直後 그는 兵曹判書 兼 判義禁府事를 맡았다. [1] 反正 後 安定이 必要한 時期에 그는 兵曹判書 兼 藝文館 提學이란 任務를 띠고 收拾에 나섰다. 두 職責은 文과 무에 精通해야 遂行할 수 있는 자리였다. 그는 오직 人材를 發掘하고 朋黨을 打破하는 일에 注力했다. [1]

"大臣은 體面을 重視해야 한다. 體面이 한番 무너지면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革命 以後에는 論功行賞과 社會 秩序를 둘러싸고 雜音이 있기 마련이다. 功臣들에 依해 主導된 罪人들을 잡아 다루는 일은 자칫 抵抗과 民亂을 부를 수도 있다. 그는 그것을 슬기롭게 헤쳐나갔다. 洋館 大提學과 定社功臣 1等에 昇平府院君으로 封해진 것도 仁祖反正이 斷行된 그해였다. [1]

1624年, 李适의 亂 이 일어나자 禮曹判書, 兵曹判書를 兼任하면서 公州로 王을 扈從하기도 했으며 그 功으로 大司憲 , 漢城府判尹 , 都承旨 , 右贊成 을 지냈다.

李适의 난 直後 仁祖와 功臣들은 도망치기 直前 監獄에 갇혀 있던 反對派들을 處理하려 하였다. 當時 監獄에는 전 領議政 기자헌 等 49名의 政治犯들이 갇혀 있었다. 김류는 이들이 李适 과 內通할 憂慮가 있다고 人組 에게 誅殺할 것을 請했다. [2]

같은 反正 功臣이자 西人인 李貴 는 이에 反對하였다.

收監된 사람들 가운데는 높은 祭神들이 많은데 이들이 꼭 李适과 같이 叛亂을 할 理由는 없을 것이오. ...(以下 中略)... 한 사람이라도 罪없이 죽이는 것은 王道 政治에서 삼가는 것인데 이제 新聞하지도 않고 嫌疑없이 죽인다면 뒷날 後悔가 될까 합니다. 게다가 기자헌은 廢母論이 일어났을 때 節義를 세우다가 귀양갔던 사람인데, 어찌 事理를 分別하여 밝히지 않고 하나같이 모두 죽이겠습니까? [2]

라고 反對하였으나 이는 默殺되었다. 49名의 反對當 人士들은 그의 建議에 따라 하룻밤 사이에 모두 死刑당하고 말았다. [2]

1625年, 吏曹判書 , 工曹判書 , 刑曹判書 를 지내고 1627年, 丁卯胡亂 때는 王을 扈從하고 都體察使 장만 밑에서 副體察使 로 活躍하였으며 禮曹判書 , 左贊成 , 右議政 , 左議政 을 거쳐 領議政 에 올랐다. 仁祖는 1634年 3月 金庾와 李貴 를 불러 主演을 베풀고 술이 折半쯤 되었을 때 世子와 大軍을 돌아보고, “너희들은 이 두 사람을 마치 父兄처럼 여겨야 한다”고 말했을 程度였다. [1]

1636年 12月 丙子胡亂 이 일어나자 仁祖는 하루에도 두 番씩 八道都體察使 兼 領議政 김류를 불러 諮問을 求했다. [1] 危機의 瞬間마다 發했던 그의 꾀도 倉卒間에 當한 淸나라 大軍과의 戰爭에선 和議論(和議論)이라는 변통책 밖에 뾰족한 수가 없어 仁祖는 恥辱的인 降伏을 하게 되었다. [1]

1637年 1月 漢陽 으로 還都했으나, 아들 김경징 (金慶徵)李 江華島 守備를 失敗했다는 理由로 社史당했고 김류 自身도 남한산성에서 淸나라와 싸울 때 副摠管 職을 맡은 기평군(杞平君) 유백증 (兪伯曾)의 上疏로 罷職과 削奪官職이 되어 鄕吏로 放逐됐다. [1] 그러나 仁祖는 “이番에 城을 지킨 것은 金 아무개(김류를 指稱)의 힘이었다”고 庇護했고, 거듭된 臣下들의 主張으로 門外로 送出했다가 이듬해에 特命으로 예전의 職責으로 恕容했다. [1]

1644年 (仁祖 22年) 심기원 의 逆謀 事件을 迅速하게 處理함으로써 그 功勞를 인정받아 그 해 4月 5日 다시 領議政 이 되고, 寧國功臣(寧國功臣) 1等에 徐薰되었다. 金柳는 스무 次例 넘게 辭職을 請해 12月 7日 辭職하였다가, 이듬해( 1645年 ) 2月 3日 부터 1646年 3月 4日 까지 다시 領議政을 지냈다. [1]

그러나 姜嬪 社史에 反對하다 仁祖의 노여움을 받아 領議政에서 물러난다.

著書 [ 編輯 ]

  • <北저집>(北渚集)

家族 關係 [ 編輯 ]

關聯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評價 [ 編輯 ]

文武兼全(文武兼全)의 代表的 人物로, 그의 文集인 北저집(北渚集)의 序文을 쓴 同名 정두경 과 백헌 이경석 이 내린 客觀的 評이다. [1]

기타 [ 編輯 ]

그는 黨色으로는 西人 이었으나 그의 丈人 書經 同人 , 남인 이었다. 書經은 退溪 李滉의 門人으로 文科에 壯元 及第한 뒤 禮曹判書에 올랐고 壬辰倭亂 때는 國王을 護送한 功을 세운 當代의 代表的 政治家였다. [1]

各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