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기대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기대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기대항 (奇大恒, 1519年 ~ 1564年 )은 朝鮮 中期의 文身이다. 字는 家口(可久), 諡號는 政見(貞堅)이며 本貫은 행주 (幸州)이다. 應敎 基準(奇遵)의 아들로, 學者 기대승 의 4寸型이다. 隻身 이량 의 側近이었으나, 1563年 이량이 許曄 , 이문형 , 기대승 等을 除去하려 하자 심의겸 의 使嗾를 받고 이량 一派의 彈劾, 攻擊을 陣頭指揮하여 沒落시켰다.

生涯 [ 編輯 ]

1546年(明宗 1) 式年文科에 乙科로 及第하여 官職에 올랐다. 그 뒤 三四와 言官 等의 請要職을 두루 歷任하고, 1551年 平安道 暗行御史로 赴任하여 民弊를 살피고 貪官汚吏들을 摘發하고 돌아왔다. 1552年 吏曹正郞, 1553年 司諫院獻納, 1554年 司諫院사간이 되고 이어 弘文館前漢, 直提學을 지냈다. 1556年에는 黃海道觀察使 兼 해주 牧師(黃海道觀察使兼海州牧使)로 나갔다가 1557年 行龍驤衛大護軍에 任命되었다. 그 뒤 明宗 代의 權力者이며 인순왕후 의 外三寸인 이량 의 側近이 되어 活動하였다. 1561年 大司諫으로 在職 中 災變이 닥치자 再便所(災變疏) 6條目을 올려 景天(敬天), 法曹(法祖), 舞鶴(務學), 납간(納諫), 任鉉(任賢), 愛民(愛民)에 힘쓸 것을 建議하였다.

1563年 弘文館 副提學 이 되었는데, 當時 權臣이던 이량 이 아들 이정빈 李朝 전랑 으로 앉히려다가 自身이 吏曹判書 였으므로 上皮制로 갈리자, 이정빈 의 親舊 유영길 을 後任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許曄 , 이문형 , 기대승 , 이산해 等이 이를 反對하자 이량 大司憲 移監 을 시켜 이들이 牌거리를 만들고 煽動한다고 彈劾하게 했다. 그러나 심의겸 으로부터 이량이 士禍를 일으켜 士類들을 肅淸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 심의겸 等과 함께 이量의 行動을 暴露하였다.

이때 이량을 擁護하던 大司憲 移監 을 비롯한 司憲府 의 罪狀도 함께 彈劾하여 이量을 江界 로 귀양보내고, 移監 , 고맹영 , 신사헌 , 김백균 , 신사헌 , 新충헌 等 그 側近들의 官職을 削奪하게는 한便, 새로 登用된 士林들을 擁護하였다. 그 뒤 大司憲 이 되고 李朝 參判 이 되었다가 1564年 共助參判을 거쳐 資憲大夫 로 昇進, 漢城府 判尹 에 拔擢되었으나 곧 死亡했다. 政見(貞堅)의 諡號가 내려졌다. 後날 光海君 時節 領議政을 지낸 기자헌 의 親祖父이기도 하다.

家族 關係 [ 編輯 ]


기타 [ 編輯 ]

기대항은 정유길 과 平素 親했으나, 정유길 은 그의 死後 그의 妾을 차지하였다. [1] 이는 隱蔽되다가 1588年 (宣祖 22年) 重峯 조헌 同人 들을 彈劾하는 過程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宣祖實錄 22卷, 宣祖 21年(1588 巫子 / 名 萬曆(萬曆) 16年) 1月 5日(己丑) 1番째記事 "조헌의 上訴를 燒却하고 내리지 않았는데 거기에 실린 東·西 刻印들의 關係와 行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