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機關 (解剖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機關 (解剖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機關 (生物學) 에서 넘어옴)

機關 (器官, organ)은 多細胞生物 의 몸을 構成하는 單位로, 여러 가지 組織이 모여 統合된 構造를 形成하고, 特定 機能을 하는 構造를 말한다. 人體에는 위·肝·肺·心臟·림프節·齒牙·眼球·甲狀腺·卵巢·皮膚·腦 等 여러 機關이 있다.

動物 이나 流配植物 에서 普遍的으로 찾아볼 수 있으며, 버섯 等 一部 菌類 도 몸을 몇 個의 機關으로 나눠볼 수 있다.

救助 [ 編輯 ]

一般的으로 機關을 이루는 組織을 實質(parenchyma)과 버팀질 或은 癎疾(stroma)로 크게 區分할 수 있다. 實質은 機關의 固有한 機能을 遂行하며, 癎疾은 實質을 構造的·生理的으로 支持한다. [1] [2] 實質은 上皮組織 , 癎疾은 結合組織 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普通이다. [3] 實質과 癎疾이 配列된 樣相에 따라 動物의 機關을 크게 두 가지로 分類할 수 있다.

觀相機關 [ 編輯 ]

소화관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그리고 바깥막 아니면 장막이 순서대로 배열된 층 구조를 갖는다. 점막층은 다시 상피층, 고유판, 점막근육판 등으로 구분된다.
消化管의 層 構造

觀相機關(hollow organ, tubular organ)은 한가운데에 內腔이 存在하는 機關을 가리킨다. 內腔과 맞닿는 上皮層이 觀相機關의 實質에 該當하며, 結合組織과 筋肉組織 等이 여러 層으로 配列된 癎疾이 그 바깥을 둘러싸고 있다. [1] [3]

많은 冠狀機關은 다음과 같은 層 構造를 갖는다.

  1. 粘膜 (mucosa) : 上皮層, 固有판 (lamina propria), 粘膜筋肉판 (lamina muscularis mucosae)으로 構成됨
  2. 粘膜밑層 (submucosa)
  3. 근육층
  4. 바깥막 (adventitia), 또는 帳幕 (serosa)

上皮層의 基底膜 바깥에는 結合組織으로 이루어진 固有版이 存在하며, 一部 機關에서는 그 바깥에 粘膜筋肉版이 存在한다. 上皮層, 固有판, 粘膜筋肉판을 통틀어 점막층이라고 부른다. 粘膜筋肉판 바깥에 存在하는 結合組織을 店幕밑層이라고 하는데, 粘膜筋肉版이 存在하지 않는 機關에서는 固有版과 店幕밑層이 明確한 區分 없이 이어져 있다. 근육층은 大槪 여러 層으로 配列된 平滑筋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 個의 層이 存在하는 境遇 안쪽 層의 筋肉은 原形으로, 바깥쪽 層의 筋肉은 길이 方向으로 配列되어 있는 境遇가 흔하다. 隣接한 다른 機關이나 構造와 뚜렷한 境界 없이 이어져 있는 冠狀機關의 최외곽 結合組織을 바깥막이라고 하며, 體腔으로 突出되어 있는 冠狀機關의 崔外郭에 있는 中避(mesothelium)를 帳幕이라고 한다. [3] [4]

各 層의 相對的 두께는 機關마다 다르며, 위와 같은 層 構造로 이루어지지 않은 觀相機關도 存在한다. 例를 들어 血管 은 안쪽부터 內幕 或은 속膜(intima), 中幕 或은 中間幕(tunica media), 그리고 바깥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各 層은 平滑筋이 아니라 彈力纖維 等으로 構成된 彈力膜에 依해 서로 區分된다. [3] [5]

實質機關 [ 編輯 ]

實質機關(solid organ, compact organ, parenchymatous organ)을 이루는 組織은 內腔 없이 뚜렷한 덩어리를 形成하고 있다. [1] 實質機關이 境界가 比較的 明確한 덩어리로 存在할 수 있는 까닭은 結合組織으로 이루어진 避幕(capsule)李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며, 體腔으로 突出되어 있는 實質機關은 그 바깥의 帳幕에 依해 追加的으로 덮여 있는 境遇도 있다. 皮膜으로부터 機關 안쪽으로 中隔(septa)이나 盞기둥(trabecula)과 같은 結合組織 다발이 뻗어 나와 實質을 여러 小葉(lobule)으로 나누기도 한다. 이 밖에도 細胞外氣質 이나 血管 等 癎疾에 屬하는 다양한 構造가 實質을 支持하는 廣範圍한 틀을 이룬다. 實質機關에 血液을 供給하는 細動脈 및 毛細血管들은 大槪 門(hilus)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位置를 통해 機關으로 流入되는 하나의 動脈으로부터 分地하며, 中隔 및 盞기둥을 따라 走行하는 境遇가 많다. [3] [6] [7]

實質機關의 實質이 配列되어 있는 方式은 機關에 따라 다양하다. 많은 內分泌샘 의 實質은 덩어리 形態로 配列되어 있으며, 콩팥 의 實質은 管 模樣을 이룬다. 의 實質은 끈이 뻗어나가는 듯한 模樣으로 配列되어 있다. 이러한 配列 方式이 機關 全體에서 均一하게 나타나는 境遇도 있고, 部位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겉質(cortex)과 속質(medulla)李 區分되는 境遇도 있다. [6] [7]

機關과 組織 [ 編輯 ]

組織과 機關을 같은 名稱으로 부르는 境遇가 있다. 그런 境遇에는 前後 關係에서 組織을 가리키는지 機關을 가리키는지를 區別해야 한다. 이와 같은 例는 뼈와 筋肉이 있다.

組織으로서의 뼈는 骨細胞·骨質·敎員 纖維로 이루어진 不定形 素材인데, 機關으로서의 뼈는 骨組織이 어떤 일정한 形態로 配列되고, 그 속에 血管이나 自律 神經이 들어가 骨髓를 形成하며, 바깥쪽은 골막이 에워싸고 있는데 여기에 知覺 細胞가 分布한다. 그리고 關節面에는 반드시 軟骨이 存在한다. 이 같은 全體를 機關으로서의 뼈라고 한다.

組織으로서의 筋肉은 但只 各種 筋纖維 덩어리를 가리키지만 機關으로서의 筋肉은 筋纖維가 일정한 配列을 나타내고, 이것을 結合 組織이 하나로 묶는다. 筋肉의 兩끝에는 이들이 漸次 힘줄로 履行하여 筋斗(筋頭)나 近美(筋尾)가 된다. 筋纖維에는 이것을 支配하는 神經이 結合되어 있다. 그리고 筋膜(筋膜)·乾草·滑液囊(滑液囊)·種子骨(種子骨) 等의 附屬 機關을 隨伴하는 境遇가 있다. 이 全體를 機關으로서의 筋肉이라 한다.

이런 機關을 이루는 組織들의 關係로 보아 하나의 機關을 이루는 組織들은 模樣과 機能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動物의 機關系 [ 編輯 ]

몇 個의 機關이 일정한 系列을 이루어 集合하여 一連의 機能을 遂行할 때 그 全體를 機關系라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Feeback, Daniel L. (1987). 《Histology》 . New York, NY: Springer New York. 89쪽. ISBN   9781461246305 .  
  2. Krsti?, Radivoj V. (1991). 《Human Microscopic Anatomy : an Atlas for Students of Medicine and Biology》 .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2쪽. ISBN   9783662026762 .  
  3. 《Biomaterials science : an introduction to materials in medicine》 3板.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Academic Press. 2013. 461쪽. ISBN   9780080877808 .  
  4. Eurell, Jo Ann Coers. (2004). 《Veterinary histology》 . Jackson, Wyo.: Teton NewMedia. 47쪽. ISBN   9781893441958 .  
  5. Ross, Michael H. (2011). 《Histology : a text and atlas : with correlated cell and molecular biology》 6板. Philadelphia: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Health. 408-409쪽. ISBN   9780781772006 .  
  6. 《Biomaterials science : an introduction to materials in medicine》 3板.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Academic Press. 2013. 462쪽. ISBN   9780080877808 .  
  7. Feeback, Daniel L. (1987). 《Histology》 . New York, NY: Springer New York. 90쪽. ISBN   9781461246305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機關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