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와 호프바르프니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가운데 玉座에 앉은 女神이 프리그 이고, 오른쪽에 서 있는 이가 그나이다. 그나의 뒤쪽 背景에 호프바르프니르가 보인다.

그나 ( 古代 노르드어 : Gna , 아이슬란드語 : Gna 그나우 , 노르웨이語 : Gna 그노 [ * ] )는 北유럽 神話 에서 프리그 女神의 命令을 받아 다른 世界들을 오가며 심부름을 하는 部下 女神이다. 그女는 날아다니는 말 호프바르프니르 ( 古代 노르드어 : Hofvarpnir 발굽 을 흩뿌리는 者 [1] , 발굽을 던지는 者 [2] , 발굽을 집어차는 者 [3] )를 타고 다닌다. 그나와 호프바르프니르는 13世紀에 스노리 스투를루손 이 쓴 《 新 에다 》에서 言及된다.

그나가 "豐富함의 女神(goddess of fullness)"이라거나, 로마 神話의 파마 와 聯關되어 있다는 學說이 提起되기도 한다. 또한 호프바르프니르는 瑟레이프니르 와 함께 北유럽 神話의 天馬의 模範的 事例로 擧論된다.

出戰 [ 編輯 ]

新 에다 》 中 〈 길被疑 속임數 〉 第35 場을 보면, 玉座에 앉은 높으신 분 이 16人의 아쉬뉴르 (女性 에시르)에 對한 짧은 說明을 提供한다. 높으신 분은 열세 番째로 그나를 言及하며, 프리그가 그女를 심부름꾼으로 부리며 여러 世界를 돌아다니며 심부름을 하게 시킨다고 말한다. 그리고 높으신 분은 그나가 호프바르프니르라는 말을 타고 다니며, 이 말은 空中을 날아다니고 바다 위를 달리는 能力이 있다고 덧붙인다. [3] 높으신 분은 말을 繼續하는데, “한 番은 空中을 가로질러 달려간 痕跡을 몇몇 바니르가 보고,” 그 中 이름없는 한 바니르가 말하길

“무엇이 날아갔는가?
무엇이 스쳐갔는가?
아니면 무엇이 空中을 지나갔는가?” [4]

이에 그나가 다음 句節에서 對答하면서 호프바르프니르의 血統에 關한 이야기를 한다.

“나 이 몸이 바로
함스케르피르가 가르드老婆에게
씨를 뿌려 낳은
호프바르프니르에 타고
空中을 스쳐 지나갔소만
이몸은 날지는 못하외다.” [4]

이 內容에 對한 追加 出處는 달려있지 않고 따로 言及되지도 않는다. 높으신 분은 “그나의 이름은 무언가 어렴풋이 보이는( gnaefir ) 것이 뚜렷해지는 것을 가리키는 慣習的인 말로 쓰인다”고 하며 그나에 對한 紹介를 끝마친다. [4] 《新 에다》 中 〈 詩語法 〉에 보면 아쉬뉴르 27女神의 이름 中에 그나의 이름도 올라와 있다. [5]

神話의 解釋 [ 編輯 ]

中央에 玉座에 앉은 프리그가 있고, 프리그의 뒷 背景으로 호프바르프니르를 타고가는 그나의 실루엣이 보인다. 1902年 그림.

루돌프 지메크 는 스노리가 〈길被疑 속임數〉에서 論한 ‘그나’의 어원 이 틀렸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다만 그게 틀렸다면 眞짜 語源은 무엇인지는 不確實하다. 다만 그나가 語源學的으로 ‘豐富함’(fullness)의 女神이라는 理論이 提起되기도 한다. [6] 존 린도우 는 이름모를 바니르와 그나가 나누었다는 對話가 “異常하다”면서, 왜 그나가 空中을 移動할 수 있다는 것을 證言하는 存在가 굳이 바니르 新足이어야 하는지 不確實하다고 指摘한다. [7]

올라 로우만드(Ulla Loumand)는 호프바르프니르와 瑟레이프니르 를 北유럽 神話에 登場하는 天馬의 ‘模範的 事例’로 들었다. 이 둘은 “땅과 하늘의 사이, 아스가르드 美드가르드 우트가르드 의 사이, 必滅者의 世界와 地下世界의 사이를 오갈 수 있다”는 共通點을 共有한다. [8] 19世紀에 야코프 그림 로마 神話 에서 所聞 을 擬人化한 新人 파마 와 그나 사이의 聯關 可能性을 提起했다. 하지만 同時에 그림은 파마 및 페가수스 와 달리 그나와 호프바르프니르는 날개 달린 모습으로 描寫된 적이 單 한番도 없다는 點 亦是 明示해 놓았다. [9]

各州 [ 編輯 ]

  1. Simek (2007:157).
  2. Lindow (2001:146).
  3. Byock (2005:43).
  4. Byock (2005:44).
  5. Faulkes (1995:157).
  6. Simek (2007:113).
  7. Lindow (2001:147).
  8. Loumand (2006:133).
  9. Grimm (1883:896?897).

參考 資料 [ 編輯 ]

  • Byock, Jesse (Trans.) (2005). The Prose Edda . Penguin Classics . ISBN   0-14-044755-5
  • Faulkes, Anthony (Trans.) (1995). Edda . Everyman . ISBN   0-460-87616-3
  • Grimm, Jacob (James Steven Stallybrass Trans.) (1883). Teutonic Mythology: Translated from the Fourth Edition with Notes and Appendix by James Stallybrass . Volume II. London: George Bell and Sons.
  • Lindow, John (2001).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 Oxford University Press . ISBN   0-19-515382-0
  • Loumand, Ulla (2006). "The Horse and its Role in Icelandic Burial Practices, Mythology, and Society." in Andren, A.; Jennbert, K.; Raudvere, C. Old Norse Religion in Long Term Perspectives: Origins, Changes and Interaction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Lund, Sweden, June 3-7, 2004 . Nordic Academic Press. ISBN   91-89116-81-X
  •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 D.S. Brewer . ISBN   0-85991-513-1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