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스타브 朗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귀스타브 朗誦 (1895年)

귀스타브 朗誦 (Gustave Lanson, 1857年 8月 5日 ~ 1934年 12月 15日 )은 프랑스의 文學史家 兼 文學評論家로서, 파리의 소르본느 大學에서 가르쳤다.

朗誦은 죽은 다음에도 프랑스의 文學 評論에 影響을 미친 巨物이었으며, 20世紀初 프랑스 大學의 制度 改革에도 큰 役割을 했다. 그는 文學史에 關한 著述로, 特히 文學 硏究와 文化 硏究를 融合하려는 努力으로 가장 잘 알려졌다. 文學 硏究分野에서 그는 "種族과 環境과 時代"라는 槪念을 파고 들고 넓혀 나갔다. 그는 또 綿密한 읽기( close reading )의 프랑스 前例인 텍스트 明細( explication de texte )의 敎育學的 重要性을 力說하는 等 敎育學 硏究에도 많이 貢獻하였다.

朗誦은 社會的 背景이 作家와 讀者의 期待와 텍스트에 미치는 影響 사이의 複雜한 關係를 硏究할 "文學社會學"이라는 槪念을 提案하였다. 朗誦에게 텍스트는 集團的 社會的 힘의 單純한 産物도 아니고, 自律的인 天才에 依한 自動的인 作品도 아닌, 그 사이의 그 무엇이었다. 텍스트란, 한便 社會가 强力하면서도 안보이는 힘을 미치는 것, 다른 한便 텍스트 밖의 그 무엇 아마 더 나은 것에 對한 希望이나 幻想 따위를 심어주기 위해서 그러한 힘을 避해갈 수도 있는 것, 이런 것들의 複合的 産物이었다. 이같은 複合的 特性의 란손 模型은 그로 하여금 여러 讀者 階層을 노리는 텍스트를 想定할 수 있게 한 바: 텍스트를 만들어낸 社會에서 濾過없이 全的으로 影響을 받는 讀者層과 텍스트에 依해서 部分的으로 影響을 받는 理想的 讀者層을 들었다.

1911年에 朗誦은 뉴욕의 콜럼비아 大學校의 客員敎授였다. 이때 그는 美國의 수많은 大學을 둘러 보고, 後날 그 經驗을 回顧했다. 朗誦은 美國의 여러 大學에서 宗敎의 重要性에 놀라는 한便, 宗敎의 共有에서 얻어진 一體感이 特히 美式 蹴球 따위의 大學 스포츠에서 얻어진 一體感 때문에 退色하고 있다고 論評했다.

朗誦에 對한 評價는 프랑스에서는 롤랑 바르트 等의 新評論 이 擡頭하면서 墜落하였고, 美國에서도 그가 죽은 다음에 繼續 떨어져서 1950年代 後半부터 1960年代까지는 바닥에 이르렀다. 隱喩 와 이미지의 探究에 對한 關心이 높고 텍스트와 社會的 背景을 分離하려 했던 新評論 時代에서, 朗誦은 些少한 歷史的, 電氣的 觀點에 사로잡힌 衒學者 또는 文學과 동떨어진 硬直된 문헌학자 처럼 보였다. 그러나 最近에는 形式主義的 方法과 歷史的 方法의 共通性을 探究하는 評論家들, 그리고 評論의 歷史에 對한 보다 더 集中的이고 덜 目的論 的인 硏究와 함께 란손에 對한 關心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著述 [ 編輯 ]

  • Gustave Lanson . "Literary History and Sociology." Trans. Nicholas T. Rand and Roberta Hatcher. PMLA , Vol. 110, No. 2. (Mar., 1995), pp. 220-235.

參考 資料 [ 編輯 ]

  • Allan Stoekl, "From Culture to the Canon: Lanson's Mission in America."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