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권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권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권전
'
身上情報
出生日 1371年
死亡日 1441年 陰曆 尹11月 18日
國籍 高麗 , 朝鮮
家門 安東 權氏
父親 권백종
配偶者 海州 崔氏 최용의 딸
子女 현덕왕후
아들 권자신
墓所 慶尙北道 安東市

권전 (權專, 1371年 ~ 1441年 陰曆 尹11月 18日 )은 朝鮮 文身 이다. 文宗 의 丈人이자 斷種 의 外祖父로, 문종비 현덕왕후 의 아버지이다.

生涯 [ 編輯 ]

本館 安東 으로 부정공派의 後孫이며 [1] , 1371年 (恭愍王 20年) 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로 태어났다.

太宗 때 經歷을 지냈으며 [2] , 지加算軍事로 있던 1431年 (世宗 13年) 陰曆 1月 19日 그의 딸이 王世子 ( 文宗 )의 後宮으로 選拔되면서 [3] 官職이 私財不正으로 오르고 穀食을 下賜받았다 [4] . 以後 戶曹 參議, 工曹 參判, 판한성府使 等 中央의 여러 官職을 歷任하였다 [5] .

以後 世子嬪으로 있던 諱祕 金氏 순빈 奉氏 가 갖은 醜聞으로 因해 廢黜되면서, 1436年 (世宗 18年) 陰曆 12月 28日 兩院으로 있던 그의 딸이 世子嬪이 되었다 [6] . 그러나 世子嬪 權氏는 1441年 (世宗 23年) 陰曆 7月 24日 元孫( 斷種 )을 낳고 死亡하였다 [7] . 그리고 卷顚倒 이 해를 넘기지 못하고 陰曆 尹11月 18日 享年 71歲를 一期로 死亡하였다. 死亡 後 그에게는 경혜(景惠)의 諡號가 내려졌다 [8] .

한便 端宗 때 世子嬪 權氏가 王后로 追封되면서 권전에게도 領議政 및 府院君이 追贈되었으나 [9] , 그의 아들인 권자신 이 端宗 復位運動에 加擔했다가 處刑되면서 그의 官爵도 모두 삭탈되었다 [10] . 이 때 削奪된 그의 官爵은 250餘 年이 지난 1718年 (肅宗 44年)에나 復舊되어 火山府院君(花山府院君)에 追贈되고 [5] [11] , 正祖 때에는 慶尙道 地域의 儒生들의 請願에 依해 그 墓가 整備되고, 祠堂이 세워졌다 [12] .

民間 信仰 [ 編輯 ]

권전은 江原特別自治道 洪川郡 내면 江陵市 연곡면 一帶에서 마을의 神靈으로 모셔지고 있다. 民間信仰에 依하면 권전의 出生地가 연곡면이고, 後에 內面으로 移住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端宗復位運動 이 關聯되어 있다고도 하고, 칡을 소멸시켰다는 것에 따라 生業上의 必要를 理由로 神靈으로 모셔졌다고도 한다 [13] .

家族 關係 [ 編輯 ]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