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國際 文解의 날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國際 文解의 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國際 文解의 날 ( 英語 : International Literacy Day )은 文盲 退治의 重要性을 일깨우기 위해 유네스코가 制定한 記念日로, 每年 9月 8日이다. [1] 1966年에 公表되었으며 [2] 1967年부터 記念해왔는데 해마다 特定 主題를 가지고 全 世界 各國에서 記念 行事가 펼쳐진다. [3] 또한 이날에는 유네스코에서 制定한 두 個의 國際 文盲 退治 功勞床이 시상되는데, 1989年 制定된 '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 과 2005年 制定된 '유네스코 孔子 문해상(The UNESCO Confucius Prize for Literacy)'이다.

歷史 [ 編輯 ]

유네스코는 1946年부터 世界的인 文盲 退治 運動을 벌여왔다. 유네스코는 1966年 10月 26日 유네스코 宣言을 통해 9月 8日을 世界 文解의 날로 制定 公布한후, 1967年부터 每年 9月 8日에 그 해마다 특별한 主題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選定하고 이날을 記念하는 行事를 가지고 있다. 主題는 該當 時期의 가장 關心을 가져야 할 일들과 關聯된 것을 選定하고 있다. 2003~04年에는 文解와 性的 差別 問題에 對하여, 2007年과 2008年의 主題는 "文盲과 健康"이었고, 保健 敎育의 先頭에 있는 團體들에게 像이 授與되었다. [4] 이것은 2007-2008年 유엔 文解力 10年의 主題이기도 했다.

特히, 2008年 國際 文解力의 날은 世界 最高의 公衆 保健 關心事인 HIV, 結核, 말라리아와 같은 傳染性 疾病에 焦點을 맞추어 文解力과 傳染病을 强調하였다. 2009-2010年에는 "文盲과 力量" [5] 에 重點을 두었으며, 兩性 平等과 女性의 力量 强化에 對한 특별한 考慮가 있었다. 2011-2012 記念行事의 主題는 "文學과 平和"이다. [6] 2014~15年에는 持續 可能한 社會에 注目했다. 2016年 50周年을 맞아서는 記錄의 重要性을 强調했고, 2017年에는 디지털 社會에 있어 文盲이란 무엇인가에 關心을 促求했다. [3]

制定 理由 [ 編輯 ]

文字를 理解하고 活用하는 能力인 文解 力을 敎育의 權利를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段階로 看做하고, 文盲 退治를 위한 活動을 奬勵하기 위해서 유네스코에 依해 制定되었다. 文解力은 사람들로 하여금 社會에 對한 積極的인 參與를 可能하게 하고, 勞動 市場에서 더 많은 寄與가 可能하게 하여, 持續 可能한 個人의 發展과 삶의 機會를 擴張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關聯 行事 [ 編輯 ]

記念行事 [ 編輯 ]

世界 文解의 날은 全 世界에서 多者間器具, NGO, 民間 團體, 地域 社會, 敎師, 學習者 및 專門家를 中心으로 記念 行事가 펼쳐진다. 主要 國際 行事는 파리 유네스코 本部에서 9月 8日부터 9日까지 이틀間의 컨퍼런스 形態로 開催된다. 世界 文解의 날에는 유네스코에서 制定한 두 個의 國際 文盲 退治 功勞床이 施賞된다. [3]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 [ 編輯 ]

하나는 韓國 政府의 支援을 받는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이다. [7] [8] [9] 1989年 6月에 韓國政府 가 提案하여 制定되었으며 [10] 1990年부터 每年 世界門해의 날에 施賞되고 있다. 韓國政府는 文解力이 낮은 百姓을 위해 科學的인 文字를 새로 만든 世宗大王 의 한글 創製精神을 全 世界에 알리고, 文盲 退治에 寄與한 團體와 個人을 奬勵하여 文盲 退治의 重要性을 일깨우는 데 寄與하고자 賞의 制定을 유네스코에 提案하였다. 特히 開發途上國의 모어(母語) 發展과 普及에 이바지한 個人, 團體, 器具 가운데 3名(或은 團體)에게 施賞한다. 受賞者 3人(團體)에게는 各各 美貨 2萬 달러가 주어지는데 그 財源은 韓國政府가 出演한다. [10] 各 受賞者에게는 賞金과 上場, 銀으로 만든 메달을 授與한다. [11]

유네스코 孔子 문해상 [ 編輯 ]

다른 하나는 유네스코 孔子 문해상 (UNESCO Confucius Prize for Literacy)으로 2005年 9月 第172次 유네스코 執行理事會에서 中國 政府의 提案을 통해 制定된 것이다. [12] 都市가 아닌 시골의 成人 및 學校를 다니지 못하는 靑少年, 特히 女性과 女子 어린이의 文盲 退治에 크게 寄與한 個人·非政府團體·政府나 政府機關에 每年 3名(곳)에게 施賞한다. [3] 推薦과 審査, 選定 節次는 世宗大王 문해상과 비슷하며, 3名(團體)에게 各各 美化 3萬달러가 賞金으로 주어지는데 그 財源은 中國政府가 全額 負擔한다. [13]

2009年에는 韓國人 윤주홍이 設立하고 主導한 아프가니스탄 파샤이 言語 開發 프로젝트(Pashai Language Development Project)가 파샤이 言語의 文字化와 文解敎育 및 女性과 靑少年의 文解 敎育에 이바지한 功勞로 2009年 유네스코 孔子 문해상(1等賞)을 받았다. 特히 윤주홍은 한글의 長點과 言語學的 原理를 利用하여 파샤이(Pashai)語의 文字化를 이루었고 開發된 部族語를 통하여 數 十餘 卷의 冊을 發刊하였다. [14] [15]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國際 文解의 날 (時事常識事前, pmg 知識엔진硏究所)
  2. [United Nations Homepage] International Literacy Day 8 September -- Background .... The 8th of September was proclaimed International Literacy Day by UNESCO in 1966 to remi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importance of literacy for individuals, communities and societies, and the need for intensified efforts towards more literate societies. The issue of literacy is a key component of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UN's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 [다음百科] 世界 文解의 날 (International Literacy Day)
  4. “Winners 2008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UNESCO. 2017年 4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4月 4日에 確認함 .  
  5. “2011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 UNESCO. 2011年 9月 8日. 2017年 3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4月 4日에 確認함 .  
  6.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PDF) . 《Unesdoc.usesco.org》. 2017年 3月 28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4月 4日에 確認함 .  
  7. [네이버 知識百科] 유네스코 世宗大王 문해상 (時事常識事前, pmg 知識엔진硏究所)
  8. [文化體育觀光部 代表 블로그] '世界門해의 날' 알아보는 文明退治를 위한 世界의 努力
  9. [네이버 知識百科] 세종대왕賞이 뭐지요?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 4. 20., 박영준, 시정곤, 정주리, 최경봉)
  10. [네이버 知識百科] 세종대왕賞 [King Sejong Prize, 世宗大王賞] (두산百科)
  11. [UNESCO Homepage]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Since 1967,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have rewarded excellence and innovation in the field of literacy. Over 500 projects and programmes undertaken by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cognized. Through these prestigious Prizes, UNESCO seeks to support effective literacy practices and encourages the promotion of dynamic literate societies. Currently there are two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The UNESCO King Sejong Literacy Prize (3 awards) : Established in 1989,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gives special consideration to mother anguage-based literacy development. Each of the three UNESCO King Sejong prizewinners receives a medal, a diploma and US$20.000.
  12. [UNESCO Homepage]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The UNESCO Confucius Prize for Literacy (3 awards) : The UNESCO Confucius Prize for Literacy, established in 2005,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gives special consideration functional literacy, leveraging technological environments, in support of adults in rural areas and out-of-school Youth. Each of the three UNESCO Confucius prizewinners receives a medal, a diploma and US$30.000.
  13. 유네스코 孔子 문해상 Archived 2020年 8月 10日 - 웨이백 머신 유네스코 韓國委員會 유네스코 現況
  14. “Improving the quality of mother tongue-based literacy and learning: case studies from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PDF) . 유네스코 .  
  15. “The Pashai Language Development Project” . 유네스코 . 2017年 5月 22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