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坊歌舞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坊歌謠》에 실린 敎坊歌舞

敎坊歌舞戱 (敎坊歌舞戱)는 高麗 · 朝鮮 時代에, 교방악 (敎坊樂)을 使用한 歌舞戱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高麗朝는 八關會 燃燈會 等 큰 行事를 進行하는 節次를 갖추기 위해 剪定(殿庭)의 百戱로는 新羅 以來 내려온 種目을 集大成했으며, 戰傷(殿上)의 歌舞에는 大體로 文宗 (文宗) 때 으로부터 大量 輸入된 교방악(敎坊樂)을 使用하여 이를 補强하였다. < 高麗史 > <樂誌(樂志)>에 보이는 唐樂(唐樂) 中 歌舞戱의 形態를 갖춘 것으로는 獻仙桃舞 · 壽延長舞 · 五羊仙 · 抛毬樂 · 蓮花臺舞 ·惜奴嬌曲破(惜奴嬌曲破)·萬年圜만(萬年歡慢) 等 7種의 대곡(大曲)이 있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