管樂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管樂器

管樂器 (管樂器, Wind instrument)는 棺에 입으로 空氣를 불어넣어서 소리를 내는 樂器 를 말한다.

管樂器의 音높이는 주어진 管의 길이에 따라, 그리고 演奏者가 空氣 振動을 調節하여 定해진다. 管樂器로 서로 다른 音높이를 내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方法이 있다.

  • 官에 뚫린 구멍을 열고 닫아 空氣 기둥이 振動하는 길이를 調整한다. 구멍은 손가락으로 直接 막거나 (key)를 눌러서 막거나 연다. 이는 木管 樂器 가 主로 쓰는 方法이다.
  • 밸브를 써서 空氣의 흐름을 迂廻시킨다. 이렇게 하면 棺의 길이가 延長되어 音높이가 낮아진다. 金管 樂器 가 主로 쓰는 方法이다.
  • 슬라이드 로 管의 길이를 調節한다. 이는 트롬본 이 쓰는 方法이다.
  • 같은 管의 길이에서 背音 을 낸다.

槪要 [ 編輯 ]

소리를 내는 原理는 길다란 파이프 속의 冀州(氣柱)에 定常波를 일으키는 데 있다. 이들 樂器는 파이프의 洋緞이 外氣에 통하고 있는 洋緞個區(兩端開口)의 꼴이다. 個球團(開口端)에서 空氣分子는 振動하기가 쉽기 때문에 定常波 中에서 배(腹)의 部分을 맡는다. 正確히 말하면 내경(內徑) d의 파이프에 對해 배의 位置는 管團(管端)에서 約 0.3d 떨어진 곳에 있다.

振動數는 입술을 여닫는 程度에 따라서 입술의 振動數를 바꾸고 이것을 氣柱에 公明시켜서 제5배음 높이까지 소리를 낼 수 있다. 原音이 包含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6個의 音階만으로는 기껏해서 信號喇叭 程度의 구실밖에 못 한다. 그래서 트롬본에는 파이프 中間에 U字形 슬라이드를 裝置함으로써 官의 길이를 바꾸도록 되어 있고 코넷이나 프렌치 호른은 밸브를 눌러 그 場所의 盆地館(分枝管)의 길이만큼 길게 하여 上記 6音 사이의 音程을 메워서 音階를 完成하고 있다. 플루트와 클라리넷은 흔히 木管樂器로 불리는 有功館(有孔管)樂器다.

플루트는 韓國의 橫的(橫笛)·퉁소(洞簫)와 마찬가지로 피리의 주둥이, 이른바 마우스피스(mouth piece)에 세찬 바람을 불어 넣어 거기에 發生하는 空氣 소용돌이의 振動으로 말미암아 氣柱에 定常波를 일으킨다. 손가락으로 막았던 소리 구멍을 열면 그 자리가 한쪽 個球團이 되고 主動이는 다른 한쪽의 個球團이 된다. 따라서 손가락을 여닫는 데 따라서 音階가 생긴다. 그리고 같은 손가락의 位置라고 해도 圓振動과 第1倍振動과는 1옥타브 音程의 差異가 나타난다.

그러나 實際로는 퉁소와 같은 管樂器는 소리구멍에 對해 배의 位置를 嚴密히 指定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클라리넷이나 색소폰 等은 주둥이에 혀(reed)를 끼워서 이것을 떨리게 함으로써 氣柱에 定常波를 發生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振動을 積極的으로 利用한 것이 하모니카나 리드-오르간이다. 리드에는 普通 等(藤)이나 대나무가 쓰인다. [1]

分類 [ 編輯 ]

管樂器는 크게 木管 樂器 金管 樂器 로 分類한다. 歷史的으로 유럽에서 木管 樂器는 나무로, 金管 樂器는 金屬으로 만들어 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지만, 오늘날엔 木管 樂器인 플루트 색소폰 은 金屬으로, 金管 樂器인 코르넷 은 나무로 만드는 等 材料에 따른 區分은 없어졌다.

金管 樂器는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고 木管 樂器는 리드를 진동시켜 또는 숨을 불어넣어 소리를 낸다. 金管 樂器에서는 같은 管 길이로 여러 種類의 背音을 만들 수 있어서 3個의 밸브만을 쓰지만, 木管 樂器는 普通 바로 윗 背音(開放館의 境遇 第2背音, 閉鎖館의 境遇 第3背音)까지 오버블로 할 수 있을 뿐이며 나머지 音程은 棺에 뚫린 구멍과 巾을 써서 調節한다.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管樂器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