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孔雀자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孔雀자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孔雀자리
學名: Pavo
공작자리
弱者 Pav
所有格 Pavonis
象徵 工作
敵境 19h 10m
赤緯 ?65°52′
넓이 378 坪方道 ( 44位 )
主要 恒星 個數 1個個
가장 밝은 恒星 피콕 (α Pav) (1.94 m )
流星雨
  • 孔雀자리 델타 流星雨
  • 孔雀자리 8月 流星雨
이웃 별자리
緯度 +30°에서 ?90°사이 地域에서 觀測 可能.
8月 25日 月 21:00 (9 p.m.)에서 最適의 觀測 可能.

孔雀자리 ( 라틴語 : Pavo )는 하늘의 南半球에 位置한 별자리 이다. 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 의 觀測에 바탕하여 페트루스 플欄키우스 가 導入한 12個 별자리 中 하나이다. 孔雀자리는 1598年에 플欄키우스와 尿道쿠스 혼디우스 가 共同製作하여 암스테르담에 내놓은 直徑 35 센티미터 天球儀에서 처음 나타나며, 요한 바이어 의 1603年 별자리 指導責 《 우라노메트리아 》에서도 찾을 수 있다. 1756年에는 프랑스의 探險家이자 天文學者인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가 孔雀자리의 별들에 바이어 命名法 에 따른 이름을 附與했다. 孔雀자리와 두루미자리 , 鳳凰자리 , 큰부리새자리 를 함께 묶어 "南半球의 새들"(Southern Birds)이라고도 한다.

孔雀자리에서 가장 밝은 孔雀자리 알파 는 "피콕"이라고도 하며, 實視等級 1.91의 靑白色 별인데, 事實 分光雙星 이다. 孔雀자리 델타 는 地球에서 19.9 光年 떨어진 太陽과 類似한 별이다. 行星을 거느리고 있는 恒星系 6個가 孔雀자리에서 發見되었으며, 그 中 HD 181433 슈퍼地球 를 거느리고 있고, HD 172555 은 지난 數千年 以內에 大規模 行星間 衝突이 일어났다는 證據가 發見되어 있다. 孔雀자리의 審源泉體로는 全天에서 세 番째로 밝은 球狀星團 NGC 6752 , 우리 銀河 를 닮았으나 크기는 두 倍가 큰 螺旋銀河 NGC 6744 等이 있다. 孔雀자리는 2個의 流星雨 (孔雀자리 델타 流星雨, 孔雀자리 8月 流星雨)의 輻射點 이다.

歷史와 神話 [ 編輯 ]

별자리 歷史 [ 編輯 ]

요한 가브리엘 度플마이어 의 別指導責에 그려진 孔雀자리와 인디언자리. 1742年頃 作品.

孔雀자리는 네덜란드 天文學者 페트루스 플欄키우스 가 네덜란드 探險家 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 東印度 諸島 에서 第1次 인도네시아 探査 를 벌이던 當時 觀測한 南半球 하늘에 對한 資料를 바탕으로 導入한 12個 별자리 中 하나이다. 이것이 歷史上 처음으로 나타나는 것은 1598年에 플欄키우스와 尿道쿠스 혼디우스 가 암스테르담에서 製作한 直徑 35 센티미터 크기의 天球儀이다.

孔雀자리가 別地圖冊床에 記錄된 것은 獨逸의 요한 바이어 가 1603年 製作한 《 우라노메트리아 》가 最初이다. [1] 같은 해 프레데리크 더 好우트만 도 自身의 南半球 恒星目錄에 "工作"( 네덜란드語 : De Pauww )이라는 이름으로 登載시켰다. [2]

孔雀자리와 近處의 鳳凰자리 , 두루미자리 , 큰부리새자리 를 함께 묶어 "南半球의 새들"(Southern Birds)이라고 하기도 한다. [3] 孔雀자리의 라틴 學名은 工作을 의미하는 Pavo 인데, 過去 Junonia Avis 라는 學名이 使用되기도 했다. 이는 ‘ 유노 의 새’라는 뜻이다. [4]

그리스 神話의 工作 [ 編輯 ]

The National Space Institute의 前 專務 理事였던 Mark chartrand에 따르면 Plancius가 첫番째로 孔雀자리의 별무리를 다음과 같이 描寫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한다. "只今 孔雀자리의 별무리는 그리스 神話의 아르고(Argo)號를 乾燥한 아르고스(Argos/Argus)라고 여겨진다. 제우스(Juno) 신은 아르고스를 工作으로 바꾼 뒤 아르고號와 함께 하늘에 올렸다." [5] [6] 事實 公爵은 "별이 반짝이는 蒼空을 象徵한다(했다)." [7] 그리스인은 또 헤라(Hera) 女神이 工作이 끄는 二輪馬車를 타고 天國으로 가는 것이라고도 믿었다고 한다. [8]

工作과 "Argus"라는 名稱은 確然히 다른 神話도 있다. Whichlo에서는 다음과 같이 傳해진다.
제우스(Zeus/Jupiter)가 아름다운 Argos의 公主에게 빠져 이오(Io)를 암소로 바꾼 後 그의 아내이자 누이인 헤라를 속이고 짝을 맺었다. 헤라는 제우스의 策略을 눈치 채고는 제우스에게 암소를 膳物로 달라고 했다. 제우스는 이 合當한 要求를 拒絶할 수 없어 마지못해 헤라에게 암소를 주었다. 이오는 빠르게 追放되었고 헤라는 100個의 눈을 가진 生命體認 Argus Panoptes에게 이오가 제우스의 아이를 배지 않게 막도록  措處하게 했다. 그동안 제우스는 헤르메스(Hermes)에게 이오를 求해오도록 懇請했고, 이에 헤르메스는 音樂을 利用해 Argus Panoptes를 재운 後 殺害했다. 헤라는 Argus를 기려 그의 눈을 그女의 아끼는 새인 公爵의 꼬리에 裝飾했다고 한다.
[9]
[10]

 이처럼 詳述했듯이 오비디우스 是認(로마의 詩人)의 變容 亦是 Argus Panoptes의 죽음은 明白한 하늘의 言及을 다음과 같이 包含하고 있다. "Argus는 죽음에 놓였다. 매우 밝게 꺼져가는 수많은 눈들은 모두 하나의 밤으로 덮여갔다. Saturnia [Hera]는 그 눈들을 回收하여 그女의 새[the peacock, Pavo]의 깃털에 놓았다. 그리고는 公爵의 꼬리를 빛나는 寶石으로 채웠다."
[11]

네덜란드의 天文學者들이 孔雀자리를 만들 때 그리스 神話를 생각했는지는 確實하지 않지만 Keyser와 De Houtmann의 Placius를 통해 다른 별자리들과 함께 紹介되었다. 새로운 별자리 中 "工作"은 古代 그리스의 파란(Blue) 工作보다는 東印度 諸島와 遭遇했던 探險家들의 푸른(Green) 工作으로 言及되었을 것이다. [12]

그리스 以外의 文化圈 [ 編輯 ]

濠洲 노던 樽酒 와다滿足 은 孔雀자리와 그 옆의 祭壇자리를 날아다니는 여우라고 보았다. [13]

별자리의 모습 [ 編輯 ]

孔雀자리는 北쪽으로 望遠鏡자리 , 西쪽으로 極樂鳥자리 祭壇자리 , 南쪽으로 八分儀자리 , 東쪽과 北東쪽으로 인디언자리 와 맞닿아 있다. 별자리의 各面積은 378 平方도이며, 88個 現代 별자리 中 44番째로 넓고 全天의 0.916%를 占有하고 있다. [14] 1922年에 國際天文聯盟 에서 採擇한 孔雀자리의 3글字 略語는 "Pav"이다. [15] 公式的인 별자리 境界는 1930年에 外製 조지프 델포르트 가 定했으며, 그 模樣은 十角形 이다. 赤道 座標系 에서 이 警戒 範圍의 敵境 座標는 18時 10.4分 ~ 21時 32.4分이고 赤緯 座標는 ?56.59° ~ ?74.98°이다. [16] 孔雀자리는 가장 南쪽에 있는 별자리들 中 하나이기 때문에, 緯度 北緯 30度 以上의 北半球 에서는 恒常 地平線 아래 가라앉아 있어 볼 수 없다. 反對로 南緯 50度 以上의 南半球 에서는 恒常 볼 수 있는 周極星座다. [17] 孔雀자리의 별 中 一部는 濠洲에서 "냄비"(the Saucepan)라고 부르는 聖君 을 形成한다. "냄비"는 天球의 南極을 가리키는 指標로 使用된다. [18]

觀測할 만한 것 [ 編輯 ]

恒星 [ 編輯 ]

行星界와 破片 圓盤 [ 編輯 ]

行星界 가 存在하는 恒星이 여섯 個 發見되었다. 朱黃色 별 HD 181433 에서 行星이 세 個 發見되었는데, 公轉週期 9.4日의 슈퍼地球 하나와 公轉週期 各 2.6年 및 6年의 巨大가스行星 둘이다. [19] HD 196050 HD 175167 太陽 과 類似한 G型 黃色 矮星이고, HD 190984 는 太陽보다 若干 더 크고 더 뜨거운 F型 主系列星이다. 이 세 별은 모두 巨大가스行星을 하나씩 달고 있다. [20] [21] [22] HD 172555 는 젊은 白色 A型 主系列星으로, 過去 數 千 年 前에 大型 衝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行星이 두 個 있었다. 分光 觀測 結果 發見된 大量의 二酸化硅素 氣體는 두 行星 中 달 만한 작은 쪽은 破壞되었고, 水星 만한 큰 쪽은 甚한 損傷을 입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衝突의 證據는 NASA의 스피처 宇宙望遠鏡 이 捕捉했다. [23] 孔雀자리의 南쪽에 있는 孔雀자리 엡실론 은 3.95等級의 白色 主系列星이며, 地球에서 105 光年 떨어진 分光型 A0Va 恒星이다. [24] 이 별은 約 107 AU 距離에 있는 먼지 고리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

深遠天體 [ 編輯 ]

球狀星團 NGC 6752는 約 100,000 個의 恒星을 包含하고 있다.

孔雀자리의 深遠天體 로는 于先 球狀星團 NGC 6752 가 있다. NGC 6752는 全天의 球狀星團 큰부리새자리 47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에 이어 세 番째로 밝다. 地球에서는 100 光年쯤 떨어져 있으며, 約 100,000個의 恒星을 包含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6] 여기서 南쪽으로 3 度 移動하면 NGC 6744 가 있다. [17] NGC 6744는 地球에서 約 3千萬 光年 떨어진 螺旋性韻 으로, 그 模樣이 우리 銀河 와 恰似하나 크기는 두 倍 더 크다. [27] 2005年에는 이 銀河에서 Ic型 超新星 이 發見되었다. [28] SN 2005at라는 番號가 주어졌고, 16.8 等級까지 밝아졌다. [29] 孔雀자리 에타 北東쪽으로 10 各分 移動하면 왜소은하 IC 4662 가 있다. [30] 그 等級은 11.62等級이고, [31] 地球에서의 距離는 8百萬 光年이다. 이 銀河에는 多數의 暴發的 恒星生成 區域이 存在한다. [32] 孔雀자리 알파의 西쪽으로 1.7度 移動하면 밝기 14等級의 銀河 IC 4965 가 있는데, 이 銀河는 섀플리 超銀河團 의 中心 構成員이다. [33]

流星雨 [ 編輯 ]

孔雀자리는 流星雨 두 個, 卽 孔雀자리 델타 流星雨(Delta Pavonids)와 孔雀자리 8月 流星雨(August Pavonids)의 輻射點 이다. 孔雀자리 델타 流星雨는 3月 21日부터 보이기 始作해 普通 4月 5日 乃至 6日에 頂點을 찍는다. 이 流星雨는 그리그-멜리쉬(Grigg-Mellish) 彗星과 關係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4] 孔雀자리 델타 流星雨는 濠洲 퍼스 出身의 마이클 部下기어(Michael Buhagiar)가 發見했다, [35] 部下기어는 1969年에서 1980年 사이 11年 동안 6番의 流星雨를 觀測했다. [36] 孔雀자리 8月 流星雨는 8月 31日을 전후해서 頂點을 찍으며, 핼리 兄 彗星인 레비 (P/1991 L3) 彗星과 關聯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7]

各州 [ 編輯 ]

內容主
參照週
  1. Ridpath, Ian. “Bayer's Southern Star Chart” . Star Tales . 2013年 8月 23日에 確認함 .  
  2. Ridpath, Ia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 Star Tales . 2013年 8月 23日에 確認함 .  
  3. Moore, Patrick (2000).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쪽. ISBN   978-0-521-79390-2 .  
  4. Wallace, James (1812). A New Treatise on the Use of the Globes, and Practical Astronomy; or, A Comprehensive View of the System of the World . New York, New York: Smith & Forman. 42쪽.  
  5. Mark R. Chartrand III (1983). Skyguide: A Field Guide for Amateur Astronomers . 172쪽. ISBN   0-307-13667-1 .  
  6. Mike Dixon-Kennedy (1998). Greco-Roman Mythology . 45, 153쪽. ISBN   1-57607-129-4 .  
  7. J.C., Cooper (1987).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Paperback . Thames & Hudson. 127쪽. ISBN   978-0500271254 .  
  8. Ridpath, Ian (1988). Star Tales . James Clark & Co. 99쪽. ISBN   9780718826956 .  
  9. E.M., Berens (2010) [1894]. The Myths and Legends of Ancient Greece and Rome: A Handbook of Mythology . Bremen, Germany: Europaeischer Hochschulverlag GmbH & Co.  26쪽. ISBN   978-3-86741-511-8 .  
  10. “Io” . Greek Mythology.com . 2013年 11月 19日.  
  11. Ovid. Metamorphoses . 1.720쪽.  
  12. Ridpath, Ian (August 2013). "Pavo ? the Peacock". Star Tales . self-published. Retrieved 23쪽.  
  13. Harney, Bill Yidumduma; Cairns, Hugh C. (2004) [2003]. Dark Sparklers Revis版. Merimbula, New South Wales: Hugh C. Cairns. 201쪽. ISBN   978-0-9750908-0-0 .  
  14. Bagnall, Philip M. (2012).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 New York, New York: Springer. 338쪽. ISBN   1-4614-0830-X .  
  15. Russell, Henry Norris (1922).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Popular Astronomy 30 : 469. Bibcode : 1922PA.....30..469R .  
  16. “Pavo, constellation boundary” . The Constellations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2013年 8月 23日에 確認함 .  
  17. Motz, Lloyd; Nathanson, Carol (1991).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 London, United Kingdom: Aurum Press. 385, 388?89쪽. ISBN   978-1-85410-088-7 .  
  18. “Pavo” . 《Top Astronomer》. Byfleet, United Kingdom. 2014年 1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1月 19日에 確認함 .  
  19. Bouchy, F.; Mayor, M.; Lovis, C.; Udry, S.; Benz, W.; Bertaux, J.-L.; Delfosse, X.; Mordasini, C.; Pepe, F. (2009).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Super-Earth and Neptune-mass Planets in Multiple Planet Systems HD 47186 and HD 181433” . Astronomy and Astrophysics 496 (2): 527?31. arXiv : 0812.1608 . Bibcode : 2009A&A...496..527B . doi : 10.1051/0004-6361:200810669 .  
  20. Jones; Paul Butler, R.; Marcy, Geoffrey W.; Tinney, Chris G.; Penny, Alan J.; McCarthy, Chris; Carter, Brad D. (2002). “Extrasolar Planets around HD 196050, HD 216437 and HD 160691”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7 (4): 1170?78. arXiv : astro-ph/0206216 . Bibcode : 2002MNRAS.337.1170J . doi : 10.1046/j.1365-8711.2002.05787.x . 2012年 12月 4日에 原本 文書 (abstract)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8月 14日에 確認함 .  
  21. Arriagada, Pamela; Butler, R. Paul; Minniti, Dante; Lopez-Morales, Mercedes; Shectman, Stephen A.; Adams, Fred C.; Boss, Alan P.; Chambers, John E. (2010). “Five Long-period Extrasolar Planets in Eccentric Orbits from the Magellan Planet Search Program”. The Astrophysical Journal 711 (2): 1229?35. arXiv : 1001.4093 . Bibcode : 2010ApJ...711.1229A . doi : 10.1088/0004-637X/711/2/1229 .  
  22. Santos, N.C.; Mayor, M.; Benz, W.; Bouchy, F.; Figueira, P.; Lo Curto, G.; Lovis, C.; Melo, C.; Moutou, C. (2010).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I. Three New Giant Planets Orbiting the Metal-poor Stars HD 5388, HD 181720, and HD 190984” .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2 (A47): 1?6. arXiv : 0912.3216 . Bibcode : 2010A&A...512A..47S . doi : 10.1051/0004-6361/200913489 .  
  23. Lisse, C.M.; Chen, C.H.; Wyatt, M.C.; Morlok, A.; Song, I.; Bryden, G.; Sheehan, P. (2009年 6月 16日). “Abundant Circumstellar Silica Dust And Sio Gas Created By A Giant Hypervelocity Collision In The ~12 Myr HD172555 System” . Astrophysical Journal 701 (2): 984?97. arXiv : 0906.2536 . Bibcode : 2009ApJ...701.2019L . doi : 10.1088/0004-637X/701/2/2019 .  
  24. “Epsilon Pavonis” .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2013年 8月 29日에 確認함 .  
  25. Booth, Mark; Kennedy, Grant; Sibthorpe, Bruce; Matthews, Brenda C.; Wyatt, Mark C.; Duchene, Gaspard; Kavelaars, J.J.; Rodriguez, David; Greaves, Jane S.; Koning, Alice; Vican, Laura; Rieke, George H.; Su, Kate Y.L.; Moro-Martin, Amaya; Kalas, Paul (2012). “Resolved Debris Discs Around A Stars in the Herschel DEBRIS Survey”.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8 (2): 1263?80. arXiv : 1210.0547 . Bibcode : 2013MNRAS.428.1263B . doi : 10.1093/mnras/sts117 .  
  26. Nemiroff, Robert; Bonnell, Jerry (2013年 7月 5日). “Globular Star Cluster NGC 6752”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NASA . 2013年 8月 23日에 確認함 .  
  27. Hook, Richard (2011年 6月 1日). “A Postcard from Extragalactic Space? A spiral galaxy that resembles our Milky Way” .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ESO Images and Downloads . 2013年 8月 23日에 確認함 .  
  28. Mobberley, Martin (1999). The Caldwell Objects And How to Observe Them . New York, New York: Springer. 208?09쪽. ISBN   978-1-4419-0326-6 .  
  29. Bishop, David (2013年 9月 10日). “Bright Supernovae - 2005” . Rochester Academy of Science Astronomy Section . 2013年 9月 22日에 確認함 .  
  30. Inglis, Mike (2004). 《Astronomy of the Milky Way: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Sky》 . New York, New York: Springer. 153?54쪽. ISBN   978-1-85233-742-1 .  
  31. “IC 4662 ? Blue compact Galaxy” .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 2013年 8月 24日에 確認함 .  
  32. McQuinn, K. (2009年 4月 30日). “Hubble ACS image of IC 4662” . 《Hubble website》. European Space Agency (ESA) . 2013年 8月 24日에 確認함 .  
  33. Streicher, Magda (October 2010). “Pavo?A Fanciful Bird” (PDF) . 《Deepsky Delights》.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2013年 9月 27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26日에 確認함 .  
  34. Levy 2008, p. 109.
  35. Jenniskens, Petrus Matheus Marie (2006). Meteor Showers and Their Parent Comets .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5쪽. ISBN   978-0-521-85349-1 .  
  36. Kronk, Gary W. “Delta Pavonids” . 《Meteor Showers Online》. self-published. 2013年 9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26日에 確認함 .  
  37. Levy 2008, p. 117.

參考 資料 [ 編輯 ]

  • Levy, David H. (2008). 《David Levy's Guide to Observing Meteor Shower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9691-3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