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公敎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公敎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公敎會 (公敎會, 古代 그리스어 : ?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 에클레시아 카톨리케 [ * ] ) 또는 普遍敎會 (普遍敎會) [週 1] 라고도 한다. 이는 公敎會注意 (公敎會主義) 또는 普遍敎會注意 (普遍敎會主義)를 따르는 敎會의 槪念으로, 基督敎 에서 사도 들의 傳統인 新舊約 聖經 初代敎會 指針인 니케아 神經 , 니케아-콘스탄티노플 神經 을 따르는 敎會 全體로, 卽 그리스도 를 따르는 하나의 敎會를 指稱한다. 公敎會 또는 普遍敎會는 新約聖經 에 使用한 코이네 그리스어 , 卽 헬라語 로 "에클레시아 카톨리케( 古代 그리스어 : ?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 )"의 飜譯이다. '共通的', '普遍的', '一般的'의 뜻인 '카톨리케'와 '敎會'의 意味인 '에클레시아'라는 헬라語 單語로 構成된 用語이다. 이는 하나의 敎會, 卽 敎會의 東方傳統을 따르는 正敎會 와 西方傳統을 따르는 天主敎會 改新敎 를 아우르는 모든 敎會의 하나 됨을 指稱하는 意味이다. 東方敎會의 境遇 西方과 東方敎會의 分裂이 있었던 11世紀 以前의 敎會의 神學的, 歷史的 傳統을 重要하게 여긴다. 로마 가톨릭교회 의 境遇 東西 敎會의 分裂 以後 自體 普遍 公議會를 追加로 열어 繼續 變化해 나갔기에, 公敎會主義에 對한 理解가 東方敎會와는 多少 다르다. [週 2]

公敎會 用語의 由來 [ 編輯 ]

‘公敎會'의 用語는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 또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 ( 古代 그리스어 : ?γν?τιο? ?ντιοχε?α? 이그나티오스 안티오케이아스 [ * ] , 35 - 107?)가 1世紀에 스미르나에 사는 그리스도人 들에게 보낸 便紙인 《스미르나 信者들에게 보낸 便紙》에서 처음 나타나며, 敎人들과 監督(主敎)과 關係를 勸勉하는 文章과 《피라델피아 信者들에게 보낸 便紙》에서 그리스도와 使徒를 强調하는 文章에서도 나타난다.

"監督 [1] 이나 그가 指名한 사람에 依해 執行된 모든 聖晩餐 [2] 은 正當하다. 監督이 어디에 나타나든지 會衆은 그곳에 參席해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어디에 계시든지 그곳에는 公敎會 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Smyrna, 8:2》 [3]

"敎會는 公敎會 敵이고, 敎會 中心은 그리스도이시고, 敎會의 스승은 使徒들이다." 《Philadelphians, 5:1》

公敎會에 對한 이그나티오스의 强調는 1世紀 異端들과 分離主義者들과 論爭에서 使用하였고, 敎會는 眞理에 充滿한 그리스도 안에서 一致하는 使徒의 傳承을 따르는 참된 敎會여야 한다는 意味를 强調했다. [4]

公敎會注意 [ 編輯 ]

公敎會注意(가톨릭주의 또는 普遍敎會注意)는 初代敎會 사도 들의 全勝을 記錄한 文書인 新約聖經 과 初代敎會가 使用한 舊約聖經 을 認定하고, 交付 들이 形成한 初期 敎會 神學的 背景과 初期 公議會 神學 敵 傳統을 尊重하며, 追加的으로 東邦 正敎의 觀點에서는 西方과 東方敎會가 分裂되기 以前인 하나로 一致되었던 11世紀 以前의 傳統과 敎會를 尊重하고 志向하는 基督敎 의 思想을 의미한다.

公敎會注意 現代的 區分 [ 編輯 ]

現代에 와서 公敎會主義는 3個의 部類로 區分한다. 東方 正敎會, 天主敎會, 改新敎會 公敎會主義이다. 이는 大略的인 區分이며, 같은 敎派라고 해도 細部的 敎壇에서는 差異가 있다. 東方敎會에서 칼케돈 系列이거나 아닌 境遇에도 差異가 있으며, 天主敎에서도 敎皇派 天主敎와 比較황파 勢力도 있다(하지만 嚴密히 말해 非敎皇派 勢力은 天主敎의 範疇 안에 넣지 않는다. 로마 主敎座와 一致하지 않기 때문이다.). 改新敎會에서도 루터敎會와 監理敎會 等도 細部的인 差異가 있다.

東方正敎會 公敎會注意 [ 編輯 ]

東方敎會 의 代表格인 東方正敎會 의 公敎會注意 또는 普遍敎會主義는 敎會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以下, 헬라語 )로 進行된 7個의 普遍公議會 와 追加的인 1個의 公議會의 敎理를 따르며, 그 傳統을 尊重한다. 그 以外에 追加的인 神學的 敎理는 形成하지 않았으며, 東方敎會 傳承과 禮式을 따른다. 神學的으로도 다양한 民族的 差異를 共有되고 尊重한다. 敎壇으로는 그리스 東方正敎會를 中心으로 하는 東方正敎會와 러시아 正敎會 等이 있다.

天主敎會 公敎會注意 [ 編輯 ]

天主敎會 公敎會注意 또는 普遍敎會主義는 헬라語 로 進行된 7個의 普遍公議會 의 敎理를 바탕으로 한다는 點에서는 東方敎會와 類似하다. 그러나 敎會의 大分裂 以後 時代의 變化에 따라서 西方敎會는 敎皇이 主管한 라틴語 로 進行된 西方敎會만의 普遍 公議會를 새로 열고, 꾸준하게 自體的인 敎理들을 발전시켜 나갔다. 16世紀 中葉에 열린 트리엔트 公議會 는 特히 基督敎會社에서 重要한 意味를 가지는데, 宗敎改革 者들의 要求를 拒否하고 이들을 逐出함으로서 改新敎 를 성립시켰기 때문이다. 그 以後에도 西方 敎會만의 普遍 公議會는 꾸준히 열렸으며, 現在까지 열린 마지막 普遍 公議會는 第 2次 바티칸 公議會이다.

改新敎會 公敎會注意 [ 編輯 ]

改新敎會 公敎會主義는 西方敎會 의 傳統을 基盤으로 하지만 非聖經的 要素를 除去하고자 하는 改新敎會 宗敎改革 傳統이다 [5] . 헬라語 로 進行된 7個의 普遍公議會 敎理를 바탕으로 하지만, 그 中에서도 聖經의 가르침에 一致하는 部分만을 受容한다. 草創期 칼뱅이나 츠빙글리를 따르는 一部 强勁派 改新敎團에서는 天主敎의 殘滓로 여겨진 性狀이나 聖火, 스테인드 글라스, 甚至於 聲價까지도 排斥하였지만, 聖徒들의 反撥로 다시 受容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改新敎 公敎會注意 敎團은 基督敎 聖化와 조각을 그대로 維持하며, 一部 敎團은 修道會를 두고, 성호와 十字架高尙 等을 禮式에서 使用하기도 한다. 敎壇으로는 루터敎會와 聖公會, 監理敎會, 聖潔敎會 [6] , 救世軍敎會 等이 있다. 하지만 칼뱅에서 由來한 改革敎會가 더 큰 成功을 거두고, 特히 英-美權 成功한 浸禮敎로부터 由來된 個敎會注意 傳統이 漸次 改新敎 안에서 流行의 中心이 되면서 公敎會主義는 그 位相이 縮小되었다.

公敎會注意 背景 [ 編輯 ]

로마, 或은 콘스탄티노플을 中心으로 하는 하나의 敎會 [ 編輯 ]

公敎會主義는 로마帝國의 基督敎 公人과 關聯된다. 313年 基督敎를 로마帝國 의 敎會로 公認한 皇帝 콘스탄티누스 는 首都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只今의 이스탄불)로 遷都할 計劃을 推進했다.

以後 基督敎는 로마,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의 5個 大敎區의 敎會를 構成하고 各 地域을 管掌할 代監督(大主敎)을 選出하였다. 現實 敎會의 構造인 5個 大敎區의 敎會는 實際로는 하나의 敎會이며 但只 地域을 5個로 區分한 것이라고 여긴 것이 公敎會主義의 始作이다. 하지만 곧 로마를 中心으로 한 西方敎會와 콘스탄티노플을 中心으로 한 東方敎會의 葛藤이 展開되었다. 東方敎會 안에서도 草創期에는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의 序列 葛藤이 있었으며, 나중에 成立한 콘스탄티노플과 알렉산드리아의 序列 葛藤도 있었으나, 東方敎會 안에서의 序列 葛藤의 最終 勝者는 東로마 帝國의 首都였던 콘스탄티노플이었다.

敎會에 異端 이나 다양한 神學思潮가 登場하기도 했으나 初期에는 로마를 中心으로 굳건히 뭉쳤으며, 5世紀 以後 敎會의 公式的 大分裂이 일어난 12世紀까지 西方敎會와 東方敎會는 政治的 競爭 關係 속에서 敎理 또한 漸次 異質化되어 갔다. 西方敎會는 로마를 中心으로, 東方敎會는 東로마帝國의 首都인 콘스탄티노플을 中心으로 地域的 協業 共同體를 이루며 名目上으로는 敎會의 大分裂 以前까지 하나의 敎會를 維持하였다. 同一한 神學體系와 同一한 構造, 同一한 禮式을 바탕으로 다양한 地域的 差異를 克服하고 하나의 新潮 아래에 있는 敎會였다. 이러한 敎會의 神學的, 構造的 日치는 基督敎會의 자랑이며 潛在的 問題이기도 했다.

헬라語의 共用化 [ 編輯 ]

공敎會主義를 强化하기 위해 新約聖經 이 쓰인 古代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 卽 헬라語 를 神學用語와 敎會用語로 使用하였고, 다양한 硏究 言語로 活用하였다. 1世紀 무렵에는 로마帝國 全域에서 使用되었고 라틴語는 이탈리아半島 地域에 限定되었으나 헬라語는 그外 로마帝國 全域에서 使用하는 公用語였으며, 遷都 以前에도 皇帝들의 勅令은 헬라語와 라틴語를 함께 使用하였고 皇帝 職印에도 헬라語가 倂記되었다. 4世紀 콘스탄티노플 天道 以後에는 로마帝國, 卽 東로마 帝國 公用語 헬라語 가 되었다. 헬라語 는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및 알렉산드리아 一部 地域에서는 歡迎할 日常 言語였지만, 라틴語를 使用하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 一部 地域에서는 어려운 外國 言語였다. 漸次 歲月이 흐르며, 헬라語의 라틴語 飜譯賞 問題나 言語로 인한 文化 差異는 神學과 神學 理解의 差異를 가져왔고, 公敎會主義의 潛在的 分列 問題點으로 나타났다.

公敎會注意 敎會構造 [ 編輯 ]

公議會 中心 構造 [ 編輯 ]

4世紀부터 11世紀까지 가톨릭 敎會는 로마를 中心으로 한 西方 地域과 로마帝國의 새롭게 遷都한 首都였던 콘스탄티노플을 中心으로 안디옥,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4個 東方 地域으로 區分되었고, 各敎區의 代監督(大主敎)은 協議를 통해 問題들을 解決하였으며, 神學的 問題가 發生할 境遇 公議會를 召集하여 各地域 監督(主敎)과 大監督들이 協議와 會議를 통해 神學的 敎理와 問題를 解決하였다. 따라서 東方敎會 안에서는 絶對的 意味의 敎宗이 存在하지 않았고, 콘스탄티노플 大監督을 議長으로 세워서 進行하며, 監督들과 大監督들이 參與하는 會議, 公議會 가 絶對的 位置를 차지한 敎會構造였다. [7]

하지만 西方敎會는 絶對的 意味의 敎宗이 存在하며 監督들과 大監督들이 그가 내리는 最終的인 決定에 殉名하는 體制가 일찌감치 構築되었기에, 로마 敎皇의 首位權 認定을 둘러싼 桐-西方 敎會 사이의 葛藤이 깊어질 수 밖에 없었다. 사르디카 地域 公議會에서 로마 敎皇에게 全體 敎會의 葛藤에 對한 再議權을 議決하였으나, 니케아-콘스탄티노플 公議會에서 이러한 로마 敎皇權의 强化 試圖를 排斥하였고, '同等한 가운데 첫番째'로 로마 敎皇의 位相을 名譽的 側面에만 局限시킬 것을 試圖하였다.

거룩한 使命으로서 聖職者 理解 [ 編輯 ]

이런 公敎會制度에서 聖職은 主님의 同一한 子女로서 使命을 지닌 者가 받는 거룩한 資格으로 認識하였다. 聖職에 對한 階級的 利害나 성도와 同一의 槪念과는 다르다. 公敎會 內의 聖職制度는 大監督에서 監督으로, 監督에서 地域敎會 聖職者로, 聖職者에서 聖徒로 構成되는 敎會 構造를 形成하였다. 聖職者는 聖徒들에서 選出하여 一定한 聖職 敎育을 받고 訓鍊을 통해 監督이 聖職者로 임명하였고, 聖職者 中에서 監督을 選出하여 大監督이 임명하였고, 大監督은 監督들이 選別하여 大監督職을 받고, 大監督들이 임명하였다. 이런 相互 作用을 통해 敎會가 有機的으로 連結되고, 全體的으로 그리스도를 向하는 하나이며 同時에 그리스도의 지체로 地域的으로 나뉜 敎會였다. 하지만 西方 敎會에서는 監督과 代監督들을 敎皇이 임명함으로서 敎皇이 絶對的인 頂點의 位置에 서게 되었다.

敎會 內에서 성도와 聖職者 間의 絶對的 階級 關係는 形成되지 않았으며, 聖職者는 信者와 聖職者의 階級的 關係가 아니라, 新藥의 《 디모데서 》(디모테오에게 보낸 便紙)에 記錄된 거룩한 使命에 對한 資格으로 보았다. [8] [9]

公敎會의 4가지 要素 [ 編輯 ]

初代敎會 부터 敎會는 4가지 要素가 公敎會를 이루는 要素라고 보았고, 하나(단일성), 거룩함, 普遍性(共通性), 사도性이 그 4 要素이다. 이미 2世紀 交付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 와 325年 니케아 公議會 에서도 言及하였으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에도 담았다.

單一性 [ 編輯 ]

公敎會는 하나(單一性)이며, 聖父 , 聖者 , 聖靈 이 하나이듯 公敎會는 하나이고, 그리스도 를 따르는 하나의 盛饌 , 하나의 洗禮 (浸禮)가 있다. 新約聖經 內에서도 바울로 (파울로스)系列의 文獻들은 이를 强調한다.

거룩함 [ 編輯 ]

世上의 敎會는 世上의 罪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나, 三位一體 中 하나인 聖者, 예수 그리스도 의 위에 세워진 公敎會는 거룩함을 지닌다고 보았다. 基督敎 人이 世上에 現存하는 敎會가 問題와 어려움을 지닌 制限的인 敎會이지만, 그 本質은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함을 나타내려는 敎會이므로 거룩함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普遍性(共通性) [ 編輯 ]

公敎會가 世上에서 눈에 보이는 要素中 하나이다. 公敎會 卽 共通 敎會(普遍敎會)를 意味한다. 世上에 널리 퍼진 敎會 는 各 狀況에 對應해야 하는 敎會이지만 同時에 三位一體 를 믿고, 예수 그리스도 의 몸으로서 共通의 公敎會를 의미한다. 다른 場所에 같은 信仰과 같은 信仰에 따르는 共通性을 지닌 敎會이다.

사도성 [ 編輯 ]

公敎會는 사도 의 傳統을 따르는 敎會이다. 公敎會의 基準은 사도 가 傳한 그리스도 福音 信仰 傳統을 따라야 한다. 四都의 傳統은 舊約聖經 新約聖經 , 니케아 公議會 를 包含한 招待 公議會 神學 思想과 交椅 와 敎會傳統을 의미한다.

註解 [ 編輯 ]

  1. '共通, 普遍, 一般'을 뜻하는 헬라語 語源인 'catholic'이라는 用語가 天主敎, 또는 로마가톨릭교회를 가리키는 用語와 混用되어서 意味 混同을 避하고자 英語圈에서는 헬라語 語源인 'catholic'科 같은 意味의 라틴語 語源인 'universal'로도 使用한다. 東方正敎의 境遇 意味 混同을 避하기 위해 'orthodox'라는 用語를 使用하기도 한다.
  2. 天主敎會에서 主張하는 로마 가톨릭 公敎會主義는 로마 主敎座를 頂點으로 認定하는 親交 關係를 맺는다는 點에서 東方敎會가 實質的으로 排除된다. 13世紀 形成된 토마스 아퀴나스 史上(토미즘), 16世紀의 트리엔트 公議會, 20世紀의 2次 바티칸 公議會가 特히 重要한 意味를 가진다.

各州 [ 編輯 ]

  1. 또는 主敎
  2. 또는 聖餐禮
  3. 위르겐 몰트만. 《聖靈의 能力 안에 있는 敎會》. 박봉랑 外 4名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의 飜譯을 따름.
  4. 위르겐 몰트만. 《聖靈의 能力 안에 있는 敎會》. 박봉랑 外 4名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5. 再建적 宗敎改革 傳統은 改革主義와 再洗禮派로 腐敗한 西方敎會의 傳統을 떠나 다시 세워야 한다는 再建注意를 形成한다.
  6. 外國의 聖潔敎會는 神學的으로나 敎會制度로도 監督諸人 公敎會注意를 따르나, 大韓民國에서는 公敎會注意 神學을 따르나, 敎階制度는 改革主義의 老獪 制度를 따른다.
  7. 한스 큉. 《그리스도교》. 이종한 옮김. (倭館: 분도출판사, 2002)
  8.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 of the Christian Church . 1st Series, 14 vols, Edited by J. Wace and P. Schaff. (New York: Christians, 1887-92)
  9. Thomas C. Oden. Classic Christianity: a Systimatic Theology . (New York: Harper One,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