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고코墓 天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고코墓 天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코墓 天皇
십육변팔중표국문
十六便팔中票國文
일본 日本 第110代 天皇 菊の御紋
在位 1643年 11月 14日 ~ 1654年 10月 30日
前任 메이쇼 天皇
後任 고사이 天皇
이름
쓰舊히吐(紹仁)
廟號 쓰키勞와 陵 (月輪陵)
身上情報
出生日 1633年 4月 20日
死亡日 1654年 10月 30日 (21歲)
父親 高미즈노誤 天皇
母親 텐地 消奴 미츠코

고코墓 天皇 ( 日本語 : 後光明 天皇 , 1633年 4月 20日 ~ 1654年 10月 30日 )은 第110代 日本 天皇으로 在位 期間은 1643年 에서 1654年 까지이다. 휘는 쓰舊히吐( 紹仁 ), 兒名은 스가노미야( 素?宮 )이다. 呼稱의 由來는 北朝의 2代 天皇 告廟 天皇 (光明天皇)에서 따왔다.

1643年부터 1653年까지 在位하는 동안 1643年부터 1651年까지 도쿠가와 이에미쓰 攝政 하였고 1651年부터 1653年까지 親政하였다.

略歷 [ 編輯 ]

高미즈노誤 天皇 (後水尾天皇)의 第4皇子로, 어머니는 곤노다이羅곤 (?大納言) 消奴 모토타다(園基任, 후지와라노 모토타다)의 딸로 尾部老人(壬生院)의 援護를 받은 젠시(典侍) 消奴 미쓰코(園光子, 1602年 ~ 1636年 )이다(모토타다는 事後 社다이진 左大臣 追贈). 間에이 (寬永) 10年( 1633年 ) 3月 12日에 태어났다. 19年( 1642年 ) 9月 2日에 儲君(儲君, 太子 )로 冊封되었고, 12月 15日에 親王선하를 받았다. 이들해인 間에이 20年( 1643年 ) 10月 3日에 11歲의 나이로 異腹 누나 메이쇼 天皇 (明正天皇)의 兩位를 받아 卽位한다(즉위 禮式은 이듬해 21日에 擧行).

그의 在位는 에도 幕府 3代 쇼군 (將軍) 도쿠가와 이에미쓰 (德川家光)에서 이에쓰나 (家綱)의 治世와 겹치며, 도후쿠몬인(東福門院) 도쿠가와 마사코 (德川和子)가 天皇의 養母였기에 쇼군 도쿠가와 집안과는 形式的으로나마 外戚 關係를 維持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天皇은 半幕府的 態度가 强한 君主였다고 알려져 있다.

激烈한 性格에 劍術을 좋아했던 한便으로, 天皇은 어린 時節부터 學問을 좋아했고 特히 遊學 (儒?)이나 漢學 (漢?)을 尊重하였다. 처음에는 明鏡價(明?家)로 알려진 後市하라 伽陀타다(伏原賢忠)로부터 《 主役 》(周易)을 배웠고, 뒤에 性理學 에 傾倒되어 니兆 야스美치(二?康道)의 推薦으로 民間에서 불려온 아사야마 쇼新(朝山素心)에게서 講義를 듣기도 하였다. 게이안 (慶安) 4年( 1651年 ) 9月에는 儒學者 후지와라 세이카 (藤原惺窩)의 功績을 稱頌하며 그의 文集에 몸소 序文을 써주기도 하였다. 한때 僧侶였고 儒學者로 이름이 높긴 했지만 一介 庶民에 不過한 후지와라 세이카의 글에 天皇이 몸소 序文을 지어주었다는 것은 그 前까지 類例가 없었던, 最初의 일이었다. 또한 한詩文(漢詩文) 짓기도 좋아해 韓詩集 《縫製집》(鳳啼集)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經學에 對한 經度에 비해 와카 (和歌)나 《 二世 이야기 》(伊勢物語) ? 《 겐지모노가타리 》(源氏物語) 같은 日本의 古典은 柔弱하다며 깔보았다고 하는데(관련 逸話 後述), 在位 中에는 朝廷의 儀禮를 부활시키고자 하는 뜻을 强하게 비치며 쇼號 (正保) 3年( 1646年 )에 二世 神宮 에 幣帛 바치는 儀式을 부활시켰다. 儒敎的 意識인 석전(?奠)이나 宮中의 大學料(大?寮)를 다시 일으켰고, 複製(服制) 改革에도 뜻을 보였다고 傳하나, 모두 天皇이 일찍 죽는 바람에 實現되지는 못했다.

在位 12年 만인 조오 (承應) 3年( 1654年 ) 9月 20日, 天然痘 로 因해 天皇은 22歲로 死亡하였다. 다음 달 15日에 고코妙인 ( 後光明院 )이라는 諡號가 올려졌다. 平素 보였던 半幕府的 態度나 갑작스런 死亡 때문에 幕府에 毒殺되었다는 說도 있으나 [1] 이미 死亡 前해부터 健康이 惡化되어 있었던 고코墓 天皇은 막내동생 아테노미야( 高貴宮 , 後날의 레이겐 天皇 )가 태어나자마자 萬一에 對備해 그를 養子로 삼을 뜻을 보였고, 故土노 나이視(勾??侍)를 통해 幕府에서 派遣되어 있던 긴리즈키(禁裏付) 다카키 모리히社(高木守久)와 相談하자 다카키는 쇼군(이에쓰나)은 "天皇께서 잘 알아서 하실 일"이라며 幕府에 勅使를 보내는 일은 서두를 必要가 없다고 回答했다고, 구게 (公家) 나카미카도 老부즈美(中御門宣順)의 日記 《센슌공기》(宣順公記)에 남아 있다. [2] 또한 아테노미야의 生母 消奴 구니코(園?子)는 고코墓 天皇 自身에게는 生母의 四寸 누이로, 當時 日本에서 고코墓 天皇의 繼承者가 될 만한 直系 皇族은 大部分 自身의 宮家(宮家)를 이어받거나 出家해 절에 들어가버린 탓에 唯一하게 將來가 定해지지 않은 男子 皇族이었던 아테노미야를 고코墓 天皇이 養子로 들여 皇位를 잇게 하는 것은 當時로써는 至極히 當然하고, 또 妥當한 選擇이었다는 指摘도 있다.

일화 [ 編輯 ]

  • 儒敎와 朱子學에 心醉하였던 탓인지 佛敎 를 「舞踊(無用)韓 學問」이라고 부르기까지 하는 等 佛敎를 嫌惡하는 모습을 보였다. 天皇家에 對해서도 嫌惡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一火爐 天皇家에 代代로 傳해지는 三種神技 (三種神器)는 天皇이라고 해도 天皇도 함부로 볼 수 없도록 되어 있었는데, 高쿄모 天皇은 三種神技가 담긴 櫃짝을 열어보고 거울 옆에 佛舍利가 담겨 있는 것을 보자 "이 요망스러운 것!"이라며 뜰에 내팽개쳤다고, 《고코묘천황외기》(後光明天皇外記)는 傳하고 있다.
  • 激烈한 性格에 平素 劍術을 몹시 즐기는 天皇에게 교토 쇼시다이(京都所司代) 이타쿠라 시게무네(板倉重宗)가 「天皇께서 이러시는 모습이 간토에 알려지면 좋지 않사옵니다. 부디 洞燭하여 주시옵소서. 그렇지 않으시면 이 시게무네, 天皇께서 보시는 앞에서 割腹 하겠사옵니다.」라 간했다. 그러나 天皇은 오히려 「짐이 일찍이 武士가 割腹하는 모습을 본 적이 없도다. 나덴(南殿) 앞에 壇을 쌓아서 그 위에서 하도록 하라.」라고 對答하자 시게무네는 그만 할말을 잃었고, 幕不渡 그런 天皇을 敬畏했다고 한다. [3] 病에 걸린 高미즈노誤認을 天皇이 問安하러 갔을 때에도, 교토 쇼시다이 시게무네가 "宮 밖으로 나가시는 行次는 事前에 幕府에 告하게 되어 있사옵니다."라며 말렸다. 이에 天皇은 行次를 中止하고 皇宮 南東쪽 모퉁이의 솟은 자리에서 人奴고쇼(院御所) 北西쪽 모퉁이까지 높은 回廊을 짓게 하더니, "宮 안에서의 行次는 늘 있는 것이니 幕府에 告할 必要 없다"며 悠悠히 回廊을 지나 期於이 狀況에 對한 文案을 決行했다는 것이다.
  • 天皇은 平素 「調整이 衰退한 것은 와카와 《겐지 이야기》 따위가 原因이니라」라고 論하며 《겐지 이야기》를 淫亂한 冊이라 斷定짓고 이러한 類의 것을 죽을 때까지도 一切 읽지 않았고, 와카度 읊지 않았다고 한다. [4] 그러나 皇宮에 行幸한 아버지 高미즈노인(後水尾院)이 와카를 읖어보라 勸하자 天皇은 마지못해 水剌를 날라 올 동안에만 10首나 되는 와카를 지었고 이에 高미즈老人이 感歎했다고도 한다. [5]
  • 平素 술을 즐겼는데, 술자리에서 구게 도쿠다이지 幾微老父(?大寺公信)가 이를 諫言瑕疵 天皇은 顔色이 變해 劍을 빼들었고, 幾微老父는 "諫言만 받아 주신다면 제 목숨 따위 아깝지 않습니다"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옆에 있던 臣僚들이 말려서 艱辛히 雰圍氣가 鎭靜되었다. 自身의 態度를 뉘우친 天皇은 마음이 便하지 않아 다음날 아침에 幾微老父를 찾아가 앞으로는 술을 끊겠다며 "간밤의 짐의 모습, 거듭 부끄러울 따름이로다"라며 幾微老父에게 몸소 劍을 하사했다. 이에 幾微老父는 아무 말 없이 그냥 눈물을 흘릴 뿐이었다. [6]

家族 [ 編輯 ]

고코墓 天皇은 後宮인 젠시 高이치조노 쓰步네(小一?局) 니와打 히데코 ( 庭田秀子 , 미나모토盧 히데코)로부터 第1皇女 다카코 內親王 ( 孝子內親王 )을 두었을 뿐, 아들은 없었다. 다카코 내친왕은 交互 10年( 1725年 ) 8月 4日에 享年 75歲로 死亡하였으며, 事後 레이歲이몬人(?成門院)의 援護를 받았다.

各州 [ 編輯 ]

  1. 에도 中期의 儒學者 無로 硅素(室鳩?, 1658年 ~ 1734年)의 《硅素梳洗쓰》(鳩?小?)에, 天皇의 病이 惡化되자 간토(?東)에서 意思를 보내며 藥을 勸했고 天皇은 拒否했으나 교토 쇼시다이(京都所司代) 도이 오이노카미 (土井大炊頭, 도이 오이노카미 도시카쓰)가 極口 勸하자 하는 수 없이 幕府에서 온 醫師가 勸한 藥을 服用하였고, 이에 病勢가 急變했다 고 적고 있다. 글 속에 毒殺을 明記한 것을 아니나 多分히 暗示하는 表現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記事는 죠토쿠(正?) 5年( 1715年 ) 5月 6日子 硅素의 便紙에서 나온 것이라 해서 天皇 死亡 60年은 지난 뒤의 것이고, 고코墓 天皇 死亡 當時 교토 슈고多이는 도이 오이노카미 卽 도이 도시카쓰(土井利勝)가 아닌 이타쿠라 시게무네 (板倉重宗)였다. 도시카쓰는 고코墓 天皇이 卽位하던 해에 이미 死亡했고 뒤를 이은 都市打카 (利隆)도 교토 쇼시다이를 맡은 적이 없으며(도이 집안에서 교토 쇼시다이가 나온 것은 고코墓 天皇 事後인 18世紀 도이 都市사토 土井利里 뿐이다) 實際 幕府는 天皇의 病勢 惡化를 알고 醫師 다케다 도안(武田道安)을 上京시켰지만, 圖案이 出發하기 前날 고코墓 天皇은 이미 숨진 뒤였다.
  2. 《센슌공기》 죠오(承?) 3年 10月 17日條.
  3. 미야케 쇼사이(三宅??) 저 ? 구메 쇼사이(久米訂?) 篇 《쇼사이 先生 雜談錄》(??先生?談?)
  4. 무로 硅素, 《硅素梳洗쓰》
  5. 고노에 이에히로(近衛家?, 1667年 ~ 1736年) 저, 야마나시 도안(山科道安) 篇 《街이키》(槐記) 交互(享保) 17年 8月 9日子.
  6. 와카스기 깃사이(若槻幾?) 《조오類似》(承?遺事) 外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고코墓 天皇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