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檀君 神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檀君 神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古朝鮮의 建國 神話 에서 넘어옴)

檀君 神話
장르 神話
國家 韓國

檀君 神話 (檀君神話)는 韓民族 最初의 나라인 古朝鮮 의 建國 神話이다. 上告者의 《 三國遺事 》나 《 帝王韻紀 》 等 高麗 時代에 著述된 歷史書에 처음 나오며, 《 朝鮮王朝實錄 》, 《 應製施主 》 等 朝鮮 時代 여러 文獻에도 같은 內容이 있다. [1]

檀君神話의 內容 [ 編輯 ]

三國遺事 》(三國遺事) [2] 기이(紀異) 第1篇에는 《 고기 》(古記)를 引用하여 다음과 같이 記錄되어 있다.

옛날에 桓因 (桓因)의 庶子 [3] 桓雄 (桓雄)이 天下에 자주 뜻을 두어 人間世上을 求하고자 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三危太伯(三危太伯) [4] 을 내려다 보니 人間을 널리 이롭게( 弘益人間 [弘益人間])할 만한지라, 이에 天符印 (天符印) 3個를 주며 가서 다스리게 하였다.

桓雄 이 무리 3千을 이끌고 太白山 (太白山) 꼭대기 神壇樹 (神壇樹) 밑에 내려와 여기를 新詩 (神市)라고 하니 이로부터 桓雄天王이라 불렀다. 風伯 (風伯), 尤史 (雨師), 雲師 (雲師)를 거느리고 曲(穀), 名(命), 病(病), 兄(刑), 선(善), 惡(惡) 等 무릇 人間의 3百 60餘 가지의 일을 主管하고 人間世上에 살며 다스리고 敎化하였다.

이때 곰 한 마리와 虎狼이 한 마리가 같은 窟에서 살면서 恒常 신웅(桓雄)에게 빌기를, “願컨대 (모습이) 變化하여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신웅이 신령스러운 쑥 한 타래와 마늘 20個를 주면서 이르기를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百日 동안 햇빛을 보지 아니하면 곧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곰과 虎狼이가 이것을 받아서 먹고 氣(忌) [5] 하였는데 三七日(三七日 : 21日) 만에 곰은 女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期하지 않아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傳해지고,

熊女 (熊女)는 그와 婚姻할 사람이 없었으므로 恒常 神壇樹 아래서 아이를 가지기를 빌었다. 이에 桓雄 이 이에 暫時 (사람으로) 變해 結婚하였다. 熊女는 出産한 아들의 이름을 檀君王儉 (檀君王儉)이라 하였다.

檀君王儉(唐高, [堯])李 卽位한 지 50年인 庚寅年에 平壤城 (平壤城)에 都邑하고 비로소 朝鮮 (朝鮮)이라 稱하였다. 또 都邑을 白岳山阿斯達(白岳山阿斯達)에 옮겼으니 그 곳을 궁홀산(弓忽山) 또는 金며달(今?達)이라고도 한다. 나라를 다스리기 1千 5百 年이었다.

週(周) 나라의 호왕(虎王, 武王 )이 卽位한 기묘년에 記者 (箕子)를 朝鮮 (朝鮮)에 봉하니, 檀君 은 곧 장당경 (藏唐京)으로 옮겼다가 뒤에 阿斯達 (阿斯達)에 돌아와 숨어서 山神이 되니, 수(壽)가 1千 9百 8歲이었다 한다. [6]

背景 [ 編輯 ]

檀君 神話의 內容을 통해 古朝鮮 社會는 選民 思想과 弘益 人間의 理念을 바탕으로 하여 國家를 建國하였고, 애니미즘과 토테미즘의 信仰을 가진 農耕 社會였음이 認知되어 祭政一致 (祭政一致)의 社會였음을 알 수 있다.

‘곰’의 選擇的 意味는 虎狼이와 곰의 競爭은 鬪爭이 아니라 時間을 기다리며 참는 데에 있다. 따라서 英雄性보다는 德性(德性)을 上位의 價値(價値)로 두었다는 意味로 볼 수 있고 洞窟 속에서의 冬眠을 거쳐 봄에 다시 活動하는 곰을 통하여 自然의 循環과 再生力(再生力)이 人間에게도 波及되기를 希求하는 意識의 表現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곰’을 토템으로 삼았던 部族이 ‘虎狼이’를 토템으로 삼았던 不足과 競爭으로 國家로의 統合에서 正統性을 獲得하였다는 意味로도 解釋할 수 있다. 特히 이것은 곰에 關聯한 傳說과 神話 그리고 이름들이 유난히 많은 理由로 說明할 수 있다.

神壇樹 (神壇樹)의 意味는 神靈에게 祭祀 드리는 場所에 서 있는 나무로 地上에 있으면서 하늘과 땅을 連結하는 神聖한 支店의 表示하는 世界 中心, 또는 宇宙 中心의 ‘生命의 나무’로 나타내는데 ‘生命의 나무’는 宇宙의 起源과 萬物의 誕生을 象徵하는 나무로 수많은 宗敎에서 神的 存在 또는 神이나 賢人들에게 智慧를 주는 存在로 登場하고 있다.

한便 藥쑥과 마늘의 意味는 곰이 ‘藥쑥’과 ‘마늘’을 먹으며 햇빛을 보지 않는 것은 地上的 存在가 그 世俗性(世俗性)을 脫皮하고 神聖한 存在와 만나기 爲해 必要한 禁忌(터부)이다. 卽, 쑥과 마늘을 먹으며 100日을 버틴 곰은 勇猛을 代表하는 虎狼이를 제치고 人間으로 還生했다는 것은 鬪爭보다 忍耐를 選擇한 韓民族의 特性으로도 볼 수 있다. [7]

또한 사람의 一生은 끊임없이 여러 段階나 過程(狀態)을 通過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重要한 段階를 通過할 때에는 반드시 試鍊과 苦痛이 있게 마련이라는 생각이 意識으로 採擇된 것이 通過 儀禮이다. 檀君神話 의 쑥, 마늘, 어둠 等은 이러한 通過의 過程을 통해 새 生命을 얻는다는 普遍的 認識을 象徵化한 것으로 볼 수 있다. [8]

桓雄 은 이른바 弘益人間 의 理念을 實踐하기 위하여 神壇樹 아래에 神市(神市)를 열고 風伯(風伯) · 尤史(雨師) · 雲師(雲師) 等의 呪術師들을 統率하여 穀食 · 生命 · 병 · 刑罰 · 善惡 等 人間事 360餘가지를 主管하였다고 傳해지고 있다.

한 王國의 創始者가 비로소 文化를 創造한 主體로 떠오르는 것은 當然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檀君 은 天王이라 일컬어진 桓雄의 아들이고, 檀君에 앞서 桓雄이 이미 新詩 를 열고 統治形態와 文化的 制度를 갖춘 것으로 記述되어 있다. “桓雄이 天下에 뜻을 두고 人間世上을 탐내어 求하였다.” 또는 “弘益人間하였다.” 또는 “在世梨花(在世理化)하였다.” 하는 等의 表現은 그가 이미 어떤 規模를 갖춘 統治單位의 支配者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렇다면 檀君 은 아버지 新人 桓雄 이 이미 이룩해놓은 터전 위에서 檀君朝鮮 을 建國한 것이 된다. 곧, 檀君 의 나라는 桓雄 의 나라에서 志向하는 國家理念과 制度를 繼承하여 建國한 것을 象徵的으로 의미하므로 따라서, 檀君神話 에서는 建國의 主體로 두 사람이 登場하고 있고, 한 사람이 보다 더 기초적인 客體를 成就한 뒤를 이어 다른 한 主體가 좀더 宗敎的인 客體를 成就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이다. 다만, 祭政一致로 대표되는 神權 政治 (神權政治) 또는 新正 政治 (神政政治)의 나라에서 人權 政治(人權政治), 民權 政治(民權政治)의 나라로 變해가듯이 桓雄 이라는 主體가 成就한 客體에는 宗敎的인 色彩가 相對的으로 剛한 데 비하여, 檀君 이라는 主體가 成就한 客體는 政治 쪽에 기울어져 있다는 程度의 差異를 指摘할 수 있다. [1] [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國語國文學資料事前》,建國神話(建國神話), 韓國事前硏究士(1998年)
  2. 三國遺事 (三國遺事)는 高麗 時代의 僧侶 普覺國師(普覺國師) 一然 (一然, 1206年~1289年)李 충렬왕 (忠烈王) 7年(西紀 1281年)에 麟角寺(麟角寺)에서 쓴 三國 時代의 歷史書이다.
  3. 長男이 아닌 次男 以下의 아들을 말한다.
  4. 삼위산과 太白山을 말한다는 主張도 있고, 삼위산 中 하나인 太白山이라는 解釋도 있다. 이병도 는 《 三國遺事 》를 飜譯하면서, "三位는 三高山의 義요, 太白은 그 中의 하나이다."라고 썼다.
  5. 基(忌)는 辭典的 意味로 '꺼리다', '싫어하다'의 뜻이다. 곰과 虎狼이가 쑥과 마늘을 먹으며, 싫지만 참는다는 뜻으로 解釋되며,
  6. 一然 外 저, 이병도 外 驛, 〈 三國遺事 〉, 《韓國의 民俗·宗敎 思想》, 1990年, (週)삼성출판사, 45~47쪽.
  7. 이어령의 三國遺事 코드 읽기 ‘이어령의 三國遺事’, 東亞日報(2007.01.06)記事 參照
  8. 《外國人을 위한 韓國古典文學社》, 檀君神話(檀君神話), 圖書出版 하우(2010년)
  9. 檀君을 넘어 古朝鮮을 넘어 김운회, 中央日報(2013.11.05) 記事內容 參照

參考 資料 [ 編輯 ]

  • 「韓國의 神話 이야기」, 古朝鮮의 檀君神話, 이지영 저, 四君子(2003年, 33~57p)
  • 「國史 用語辭典」, 古朝鮮 建國 神話, 이은석 저, 신원문화사(2006年, 243~278p)
  • 「韓國의 古典을 읽는다」, 檀君神話, 서대석 저, 휴머니스트(2006年, 62~9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