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固定型 長距離 레이더 開發 事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固定型 長距離 레이더 開發 事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美國 AN/TPS-59 레이다. 中國이 베껴서 YLC-4 레이다 를 만들었다.
2013年 臺灣이 1.5兆원으로 設置한 AN/FPS-115 페이브 抛 미사일探知追跡레이더

固定型 長距離 레이더 開發 事業 은 大韓民國이 長距離 레이더를 國産化 하려는 事業이다.

歷史 [ 編輯 ]

2011年 LIG넥스원 이 開發을 始作, 1年만에 開發에 成功했다.

2012年 5月 1日, LIG넥스원 이 '戰術對空監視레이더' 設計를 마치고 實際 試製品 製作 段階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探知距離 400 km 3次元 位相配列 레이더를 開發했다.

서너 代만 設置하면 韓半島 上空에 接近하는 모든 飛行機는 勿論이고 北韓의 ‘대포동 2號’ 같은 長距離 미사일도 發射하는 瞬間 알아낼 수 있다.

探知範圍 300 km를 넘는 戰術레이더는 使用하는 電波의 波長이 單·中距離 레이더에 비해 훨씬 길다. 波長이 긴 만큼 正確度가 떨어져 레이더에 나타난 物體를 識別하기 어렵다는 短點이 있다. 이런 問題 때문에 現在 陸上用 長距離 戰術레이더를 製作, 販賣하는 企業은 全 世界에서도 美國의 록히드 마틴 , 이탈리아의 셀렉스 , 스페인의 인드라 等 3個社뿐이다. 전민현 LIG넥스원 ISR硏究센터 팀長은 "複雜한 周波數 波長을 分析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技術을 利用해 精密性을 높이는 作業이 가장 까다로웠는데 이를 克服했다"고 말했다. 外國産은 臺當 200億원이다.

LIG넥스원은 이番에 開發한 戰術레이더 製作 技術을 應用해 大陸間彈道미사일(ICBM) 같은 最長距離 미사일을 追跡, 邀擊할 수 있는 미사일探知追跡레이더 技術도 追加로 硏究할 計劃이다.

韓國 日本 으로부터 獨島 를 防禦하기 위한 目的으로, 2002年 鬱陵島 의 空軍 레이다 機智에 AN/FPS-117 E1 레이다를 導入, 運營中이다. 獨島 防禦 訓鍊 에서도 使用되고 있다. 烏山空軍基地 에는 AN/TPS-59 이 設置되어 있다. 이들을 國産化하는 事業이다. FPS는 Fixed, TPS는 Transportable인데 韓國이 開發하는 것은 固定型이다.

2014年 運用試驗評價에서 一部 項目이 基準値에 未達해 '戰鬪用 不適合' 判定을 받았다.

2016年에는 監査院 監査에서 試驗評價 造作 疑惑 等 問題가 發見돼 2017年 9月 事業 中斷 決定이 내려졌다.

2017年 12月 國防部는 "試驗評價 結果 重複 缺陷 發生 및 開發業體의 契約 違反 行爲가 識別됐다"며 事業을 中斷했다. 試製品이 生産 完了된 LIG넥스원 의 레이더를 體系開發(大量生産) 하려고 試驗評價를 했었다.

2018年 10月 18日, 國會 國防委員會 自由韓國黨 李鍾明 議員에 따르면 軍이 올해 上半期 交替對象 固定型 長距離 레이더 基地를 點檢한 結果 레이더의 老朽化로 作戰中斷時間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2015年에는 6時間에 不過했지만 2016年에는 54時間, 지난해에는 213時間으로 늘어났다. 올해 9月까지만 228時間이나 作戰이 中斷됐다. 大韓民國 空軍 이 保有하고 있는 固定型 長距離 레이더 8代 中 5代는 1987年 導入돼 壽命年限(20年)을 11年이나 넘겼다.

2019年 5月 24日, 防衛事業廳 鄭景斗 國防部 長官이 主宰하는 第121回 防衛事業推進委員會(防推委) 會議를 열고 '長距離레이더 事業推進基本戰略안'을 審議·議決했다. 이 事業은 그동안 海外에서 購買해온 長距離레이더를 國內에서 硏究, 開發하는 것으로 總事業費 2500億원이 投入된다. 2024年까지 體系開發을 完了, 2025~2029年까지 年度別로 量産할 計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