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 論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古典論理學 에서 넘어옴)

古典 論理 (古典論理, 英語 : classical logic )은 記號 論理學 體系의 分類의 하나로, 널리 硏究되며 非古典 論理 와 對比되는 特徵을 가진 論理體系를 가리킨다. 主로 標準的인 命題 論理 1次 述語 論理 를 가리킬 때 쓰이는 말이다.

特徵 [ 編輯 ]

古典 論理는 흔히 다음과 같은 特徵들을 共有한다. [1]

또한 古典 論理는 命題들의 外延的 意味論으로서 참, 거짓의 對立만을 認定하는 理致 論理 를 基盤으로 한다.

한便 위와 같은 性質들의 一部를 받아들이지 않는 論理的 體系를 非古典 論理 (non-classical logic)라 일컫는다.

歷史 [ 編輯 ]

古典 論理는 修理 論理學 分析哲學 의 基礎에 큰 影響을 주었으며, 比較的 學問的 歷史가 깊다. 그 由來는 古代 그리스 哲學 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 等에 따른 古典的 正義 에서는 名士 가 그 重要한 役割을 擔當하는데 이에 있어서 名詞가 內包 하거나 外延 하는 範疇는 그 終車를 限定 하는 양에 起因한다. 플라톤 및 아리스토텔레스가 提示한 形式 論理學 의 思惟 法則으로는 矛盾律 , 排中律 , 同一律의 原則들이 있다.

非矛盾율(非矛盾律 또는 矛盾律)은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어느 事物에 對해서 같은 觀點에서 同時에, 그것을 肯定하면서 否定하는 것은 不可能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甲은 甲인 同時에 甲이 아닐 수 없다.’와 같이, 모든 事物은 그 自體와 같은 同時에 그 反對의 것과는 같을 수 없다는 原理로, 矛盾律은 同一律의 裏面을 이른다. 한便 排中律(排中律)은 矛盾律에 依해 '어떤 命題와 그것의 否定 가운데 하나는 반드시 참이다'라는 原則에 이른다. 서로 矛盾되는 두 가지의 判斷이 모두 참이 아닐 수는 없다는 原理이다. 따라서 同一律(同一律)은 '모든 對象은 그 自體와 같다'는 論理學上의 根本 要求를 나타내는 原理가 되며, ‘甲은 甲이다.’의 꼴로 表現된다. 同一律은 矛盾律과 排中律이 前提되어야 하며, 이처럼 이들 세 原則들은 서로 相關關係가 있다.

현대 論理學의 先驅者로 評價받는 고틀로프 프레게 는 《槪念表記》(Begriffsschrift)에서 命題 論理 를 體系化하고 述語 論理 에까지 擴張하였다.

同一律 [ 編輯 ]

同一율 로 因해 A를 A로 다루고 B를 B로 다룰수있게됨으로써 A와 B의 關係를 다룰수있게 되는 點에서 뿐만아니라 矛盾律 그리고 이어서 排中率을 통해서 이러한 同一率이 確認된다는 點에서 同一率은 ' 正義 '의 유한성으로 인한 不完全함에도 不拘하고 原始的 正義 (primitive concept)로서 이를 可能하게는 重要한 役割을 遂行할 수 있다. [2]

한便 非形式 論理學으로 言及되는 임마누엘 칸트 는 1755年 그의 論文 '形而上學的 認識의 第1原理에 對한 새로운 說明'(Principiorum primorum cognitionis metaphysicae nova dilucidatio)에서 旣存의 形式 論理學이 矛盾律을 第1원里(First Principle)로 다루는 立場에 對해서 同一率을 第1原理로 記述한바있다. [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Gabbay, Dov , (1994). 'Classical vs non-classical logic'. In D.M. Gabbay, C.J. Hogger, and J.A. Robinson, (Eds), Handbook of Logic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ogic Programming , volume 2, chapter 2.6. Oxford University Press.
  2. A 1st course in Abstract Algebra ,John B. Fraleigh, 7e,PEARSON 2003,2016 - 0節 集合과 關係(Sets and Relations) https://www.amazon.com/First-Course-Abstract-Algebra-7th-dp-0201763907/dp/0201763907/ref=mt_hardcover?_encoding=UTF8&me=&qid=
  3. (Translation of Kant's Principiorum primorum cognitionis metaphysicae Nova dilucidatio: 1755. A New Exposition of the First Principles of Metaphysical Knowledge,Immanuel Kant)>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Translation_of_Kant_s_Principiorum_primo.html?id=6lwUMwAACAAJ&redir_es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