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우영
作家 情報
出生 1938年 9月 27日
滿洲國 번시후
(現 中華人民共和國 랴오닝省 번시視 )
死亡 2005年 4月 25日 ( 2005-04-25 ) (66歲)
國籍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宗敎 天主敎 (洗禮名: 요셉)

고우영 (高羽榮, 1938年 9月 27日 ~ 2005年 4月 25日 )은 大韓民國 의 傳說的인 漫畫家이다. 滿洲國 번시후(現 中華人民共和國 랴오닝省 번시 時 ) 出生이며, 代表作으로 〈三國志〉, 〈漫畫 十八史略〉, 〈水滸誌〉 等이 있다. 宗敎는 天主敎 이다. [1]

生涯 [ 編輯 ]

어린 時節 [ 編輯 ]

滿洲 本系號에서 出生한 그는 解放 後 平壤 옆 기양으로 돌아왔다. 그 後 1946年 家族들과 함께 越南河였다. 이때부터 그는 서울 에서 처음으로 漫畫를 接할 수 있었고, 김용환 , 김의환 (김용환 동생), 박광현 의 作品을 主로 읽었다고 한다.

1950年 , 韓國 戰爭 이 勃發하자 그는 韓國 戰爭 以前부터 漫畫를 그려오던 두 兄으로부터 影響을 받아 避難 後, 釜山에서 習作을 그리게 된다. 1952年 , 當時 滿 14歲였던 고우영은 釜山에서 16쪽 單幸福 《쥐돌이》를 發表하며 데뷔하였다. 1959年 , 高等學校 3學年때 어머니, 自身처럼 漫畫家 로 일한 두 兄, 그리고 아버지가 世上을 떠나게 되고 家長이 되었다. 兄 上映(上榮)와 일영(一榮)은 서울대 美術大學 在學 中 漫畫家로 데뷔, 人氣를 끌었으나 두 사람 모두 20代에 夭折했으며 兒童文學家 고계영氏가 本人의 親누나다 [2] . 家長이 된 그는 大學校 進學의 꿈을 버리고 漫畫家의 길을 選擇하게 된다. 1955年, 高等學生의 身分으로 "推動性"이라는 筆名으로 漫畫界에 데뷔하였다. 筆名은 自身이 다니던 高等學校인 同姓高等學校에서 따왔다.

漫畫家로서의 길 [ 編輯 ]

當時 貸本所 가 主流가 되었던 漫畫 市場에서 [쥐돌이], [公主 애찌루] 等을 그렸고, 後에 專業 漫畫家로 데뷔하면서 1958年 에 둘째 兄 日影이 '추동식'이라는 藝名으로 連載하던 漫畫인 '짱구博士'를 '推動性'이라는 藝名으로 自身이 이어가게 된다. [3]

以後 그림體를 問題 삼은 出版社로 인해 漫畫業界에서 退出되었고, 60年代 末 名探偵 약동이 日記라는 漫畫의 作畫를 맡았으나, 스토리 作家 방영진 의 健康 惡化로 인해 連載 中斷되고, 作品活動이 끊기게 된다.

그러나 1972年 , 일간스포츠 에서 임꺽정 을 連載하며 큰 人氣를 얻게 된다. 林꺽정은 當時 1컷이나 4컷으로 이루어져있던 新聞漫畫의 틀에서 벗어나 新聞紙面의 半切異常을 차지하는 劇化 形態의 漫畫였으며 맛깔스럽고 세련된 그림에 作家 特有의 諧謔과 입담이 잘 어우러진 그의 作品은 男女老少 누구에게나 사랑 받았으며, 成人 男性의 支持를 가장 많이 얻었다.

以後 1981年 부터 1983年 까지 熱局地 를, 1986年 三國志 를, 1987年 水滸誌 일지매 를, 1991年 초한지 等을 出刊하는등 苦戰 中國 歷史物과 韓國의 說話를 再構成, 再解釋한 漫畫들을 잇달아 내놓으며 大衆들의 큰 人氣를 얻는다.

그러나, 1993年 十八史略 을 出刊한 뒤, 大腸癌 診斷을 받아 作品活動이 적어진다. 診斷 以後 1996年 부터 1998年 까지 韓國日報 에 韓國萬坪을 連載하기도 하고, 1998年 信仰 入門書 神父님은 왜 큰 聖體를 드시나요 , 神父님 電話로 告解聖事 보면 안되나요 를 出刊하기도 했다.

그 後, 2001年 딴지일보 의 主導 下에 出刊 當時 編輯되어 削除된 部分을 再復舊하여 無削除 復舊판을 내놓고 다시 大衆의 큰 關心을 얻게 된다. 이 德에 2003年 高麗 末부터 朝鮮 初까지의 野史를 담은 수레바퀴 를 連載하기도 하였으나, 健康上의 問題로 中斷하였다.

死亡 한 해인 2005年 에는 80日間의 世界一周 , 漫畫 千字文 等을 出刊하기도 하였다.

50代 中盤부터 聖堂에 다니기 始作한 고우영은 크로닌의 小說 天國의 열쇠 를 漫畫로 脚色했고, 天主敎 新聞인 平和新聞에 돈키호테를 新婦로 脚色한 漫畫 몬시뇰키호테 를 連載하기도 했다. 末年에 創世記부터 요한묵시록까지 聖經 全體를 漫畫로 옮길 마음을 먹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일을 始作도 하지 못하고 2005年 4月 25日 持病인 大腸癌 이 再發하여 他界했다.

社團法人 韓國漫畫家協議會 第 15, 16代 議長과 「어깨동무」 美術部長을 맡기도 하였다.

死亡 [ 編輯 ]

2005年 4月 25日 , 享年 68歲에 持病인 大腸癌 惡化로 死亡했다. 그의 葬禮式은 天主敎 議政府敎區 마두동 聖堂에서 葬禮 미사 로 치루어졌고, 遺骸는 自由路 淸雅公園에 安置되었다. 2005年 銀冠文化勳章이 追敍되었다.

主要 作品 [ 編輯 ]

  • 〈熱局地〉 1981年 7月부터 1983年 까지 總 684回에 걸쳐 스포츠 新聞에 連載되었다. 中國 의 古代歷史를 口語體로 說明하여 쉽게 理解할 수 있다. 死亡하기 前에 마지막으로 復刊한 作品으로서, 復刊을 完了하여 出版 直前 '作家의 말'만을 남겨두고 死亡하였다.
  • 〈漫畫 十八史略〉 : 中國 古代史를 中國 創造說話부터 南宋 滅亡 때까지 說明한 漫畫이다. 中國의 古代歷史를 口語體를 使用하여 說明함으로써 讀者들이 쉽게 理解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산동아에서 出刊했으며, 後에 다시 出刊되었다. 靑少年 推薦 圖書가 되기도 하였다.
  • 三國志 〉: 中國의 古典 三國志를 素材로 한 漫畫 로 軍事政權에게 검열당하는 受侮를 받았다. 以後 검열당한 것을 補充한 作品이 한 出版社 에 依해 市場에 나왔다. 그만의 獨特한 解釋이 돋보인다는 評價를 받고 있다. 나중에 劇場版 映畫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呂布 에 關한 解釋이나 初選의 時間事件처럼 덧붙인 部分은 지나친 作家의 介入이 아니냐 하는 批判을 받으나, 當時 時代相을 뛰어넘는 解釋과 매끈한 스토리라인, 吸入力 等은 높이 評價 받는다. 어린이판, 靑少年版으로도 出刊된 적 있다. 裵哲秀 가 進行하는 라디오 시나리오로도 脚色된적 있다.
  • 〈水滸誌〉: 中國 古典, 노지심 과 松江을 中心으로 벌어지는 梁山泊을 中心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들로, 고우영의 初·中期 作品이다.
  • 〈일지매〉: 2008年 SBS (서울방송)에서 同名漫畫를 이준기 , 이문식 이 出演한 드라마 로 製作하여 放映하였다. 2008年 11月 19日 MBC 에서 原作으로 한 '돌아온 일지매'가 放送되었다. 2005年 , 프랑크푸르트 國際圖書展 ‘韓國의 冊 100’에 選定되었다.
  • 〈林꺽정〉
  • 〈水滸誌 2000〉 : 스포츠투데이 에 連載되었던 새로운 水滸誌, 일간스포츠 에 連載된 水滸誌와는 다르다.
  • 〈대야망〉: 跆拳道 에 全 生涯를 投資한 武藝인 최배달 의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다. (최배달의 流派는 跆拳道가 아니라 極盡 가라데 이다.)
  • 〈解凍일龍〉
  • 〈짱구博士〉
  • 〈天國의 열쇠〉: 同名의 小說(A.J.크로닌 저)을 바탕으로 한 漫畫로 1992年 11月 1日부터 1995年 3月까지 平和新聞에 '둥근 찌그렁'이라는 題目으로 連載되었다.
  • 〈가루지기〉(或은 〈가루지기展〉)
  • 〈西遊記〉 : 中國의 古典 西遊記 를 素材로 한 漫畫. 스포츠新聞 에 連載되었으며, 고우영 畫伯이 別世한 다음해에 子音과 母音 에서 3卷의 漫畫冊으로 만들었다. 孫悟空 구름 代身 제트機 를 타고 宇宙 를 다니며 삼장法師 를 돕고, 사오정 이 목마른 삼장法師에게 코카콜라를 가져오며, 女性 交通警察이 登場하는 等의 現代的인 設定과 龍王이 《老人과 바다》를 읽고 다랑魚 (實際로는 靑새치 )와 상어 의 눈에서 讀後感을 쓴다는 等의 익살스러운 內容으로 큰 人氣를 얻었다. 結末에서 삼장法師가 받은 佛經의 마지막腸이 찢겨진 設定과 天方地軸이던 孫悟空이 고된 旅行을 하면서 成熟한 人格과 智慧를 갖춘 믿음직한 弟子로 자란다는 設定을 통해 完全한 眞理는 없으며, 人間은 苦難을 통해서 자라간다는 敎訓이 담겨있다.
  • 초한지 〉 : 項羽 乳房 의 戰爭인 初寒爭霸를 다루었다. 特異事項이라면 乳房을 描寫할 때 自身의 作品인 고우영 三國志의 劉備를 再湯했다는 點이다.
  • 〈수레바퀴〉
  • 〈新苦戰列傳〉
  • 〈燕山君〉
  • 〈五百年〉
  • 〈達磨의 弟子들〉: 達磨 以來의 禪佛敎 宗主 및 歷代 高僧들을 다룬 漫畫
  • 〈아짱에〉
  • 〈약동이 시리즈〉
  • 〈公主 애찌루〉
  • 〈쥐돌이〉
  • 〈天國의 열쇠〉: 同名의 小說을 바탕으로 한 漫畫로 1992年 11月 1日부터 1995年 3月까지 平和新聞에 '둥근 찌그렁'이라는 題目으로 連載하였다.
  • 〈韓國萬坪〉

廣告 出演 [ 編輯 ]

受賞 [ 編輯 ]

  • 1998年 大韓民國 出版漫畫對象 功勞賞 受賞 [4]
  • 2001年 第33回 大韓民國文化藝術賞 對中藝術部門 大統領賞 受賞 [5]
  • 2003年 第2回 SICAF 어워드 功勞賞 受賞 [6]
  • 2005年 第37回 大韓民國 文化藝術賞 銀冠文化勳章 受賞 [7]
  • 2006年 第4回 大韓民國 創作漫畫 公募展 黃金펜촉賞 受賞 [8]

各州 [ 編輯 ]

  1. 實際 고우영 畫伯의 漫畫 에서는 聖書 이야기가 大使로 一部 言及되기도 한다.
  2. 이광일 (1997年 4月 28日). ““獨島는 우리땅”/文學評論家 김우규·兒童文學家 고계영氏 夫婦” . 韓國日報 . 2020年 3月 14日에 確認함 .  
  3. “漫畫 奎章閣” . 2014年 11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1月 14日에 確認함 .  
  4. 義賊 일지매 이番엔 MBC 襲擊! Archived 2014年 11月 29日 - 웨이백 머신 , 《CNB 저널》 , 2009.1.13
  5. 네이버 '漫畫의 날' 맞아 高 고우영 로고 Archived 2014年 11月 28日 - 웨이백 머신 , 《位키트리》 , 2013.11.3
  6. 고우영氏 SICAF賞 受賞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경향신문》, 2003.8.8
  7. 南珍·고우영氏 ‘文化勳章’ Archived 2014年 11月 26日 - 웨이백 머신 《한겨레》, 2005.10.13
  8. [1] Archived 2014年 11月 26日 - 웨이백 머신 《富川타임즈》, 2006.11.3

關聯書籍 [ 編輯 ]

  • 고우영 外, 고우영 이야기 , 氏네二十一, ISBN   89-93208-17-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