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고양이의 習性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고양이의 習性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본 內容은 고양이의 習性 에 다루는 內容이다.

意思疏通 [ 編輯 ]

새끼 고양이들은 意思疏通을 원활하기 위해서 이른 時期에 發聲 過程이 必要하다. 發聲 强度의 變化는 새끼 고양이들에게 얼마나 큰 結果를 주느냐에 따라서 變化하게 된다. 다른 發聲과 關聯된 몇가지 例示들을 아래에서 說明할 것이다. [1]

가르랑거리면서 부드러운 울음소리를 내는 것은 고양이가 滿足한 狀態이거나, 或은 아프다는 信號일 수 있다. 야옹하고 우는 소리는 반갑다는 人事말로 자주 使用된다. 냥냥거리는 소리는 어미가 그女의 子息과 疏通할 때 일어나는 소리이다. 하악거리는 소리와 같은 짧게 내는 소리는 고양이가 火가 났거나 防禦的인 狀態라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고양이 執事들은 '下惡質'이라고 한다. 고양이가 울부짖는 것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威脅을 느꼈을 때 내는 소리이다. 사냥 中이거나, 或은 사냥을 自制하고 있을 때에는 껙껙거리는 소리를 낸다. [2] 그리고 고양이들이 그릉그릉 거리는데, 이것은 大槪 氣分이 좋아서 내는 소리이긴 하지만, 아프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낼 때도 있다. 이 소리를 몇몇의 執事들은 '골골송' 이라 부르기도 한다.

털 손질 [ 編輯 ]

집고양이와 길고양이가 口腔 털 손질을 하는 것은 매우 一般的인 行動이다. 최근 집고양이에 關한 硏究 結果에 따르면 고양이들은 休息 時間의 8%를 自身들을 털 손질 하는데에 使用한다고 한다. 털 손질은 고양이들 스스로 깨끗하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體外 寄生蟲을 確實히 막는 다는 데에서 宏壯히 重要하다. 벼룩은 고양이의 가장 흔한 體外 寄生蟲인데, 一部 硏究에서는 고양이가 털 손질을 하는 것이 벼룩 을 除去하는 데 매우 效果的이라는 것을 暗示하는 間接的인 證據라고 提示하고 있다. 고양이들은 體外 寄生蟲을 막는데에 혓바닥을 使用하는 것 뿐 아니라 손톱으로 긁어 목과 머리에 있는 벼룩들을 쫓아내는 데 補助的인 用途로 使用한다. [3]

바디 랭귀지 [ 編輯 ]

고양이들이 서로의 얼굴을 비비면서 人事를 나누고 있다. 위로 向한 "물음標 模樣"의 꼬리는 親近感이나 幸福을 나타낸다

고양이들은 意思疏通을 하는 데 있어서 바디 랭귀지에 매우 依存한다. 고양이는 事物에 비비적거리거나, 사람을 핥거나, 或은 가르랑거린다. 고양이의 바디 랭귀지의 大部分은 꼬리, 귀, 머리 位置, 等 姿勢를 통해서 나타난다. 고양이들은 그들의 몸을 부르르 떨거나, 뱀과 같은 模樣으로 만들거나, 또는 갑자기 左右로 흔들거나, 가끔은 動物이나 事物에게 마치 사냥 놀이를 하는 것 같은 行動들을 꼬리를 빠르게 움직여서 나타낸다. 萬若 고양이가 꼬리를 흔드는 것이 唯一한 相互作用에 對한 標示일지라도, 소리에 依해서 귀와 머리를 움직이는 것은 고양이가 소리에 依해서 注意를 기울이는 것은 더 나은 表示일 것이다. [4]

냄새 標示 [ 編輯 ]

이러한 行動들은 모두 고양이가 領域을 標示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얼굴 表示를 하는 行動은 그들의 領域이 安全하다는 것을 말한다. 고양이가 좋아하는 領域에는 重要한 事物에 볼을 문지르면서 볼에 있는 샘을 利用해 化學的인 페로몬을 分泌한다. 이 페로몬은 滿足의 페로몬 이다. 고양이 얼굴에서 나는 페로몬을 人爲的으로 加工한 것은 去來가 可能하다. [5] [6]

고양이는 엉덩이에 分泌 주머니나 냄새 分泌腺을 가지고 있다. 냄새는 排便이 사라지면서 沈澱된다. 穩全한 수컷 고양이와는 달리, 암컷 고양이와 中性化 手術을 받은 男性 고양이는 領域 標示를 하지 않는다. 領域 標示는 垂直 表面에 몸을 받치고 그 表面에 오줌을 뿌리는 것으로 끝이 난다. 個의 生殖器와는 달리, 고양이의 生殖器는 뒤로 向해 있다. 成人일 때 中性化된 수컷은 中性化 以後에도 小便을 흩뿌릴 수 있다. 쓰레기 박스와 같이 집에서 水平의 表面에 小便을 보는 것은 箱子의 材質이나 衛生狀態, 或은 혼자 있는 것 等의 要素 때문에 박스에 對해서 不滿을 表示할 수 있다. 또한 尿路에 對한 問題가 있다는 信號일 可能性도 있다. 營養失調人 수컷 고양이들은 크리스탈 形態의 小便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尿道가 막혀서 緊急한 狀況을 일으킬 수 있다.

姿勢 [ 編輯 ]

고양이의 姿勢는 고양이가 느끼는 感情을 표한다. 고양이들 끼리 있거나, 사람이나 다른 動物들과 있을 때 고양이의 타고난 行動들을 觀察하기 가장 좋을 때이다. 고양이의 姿勢는 狀況에 따라서 親近해질 수도, 攻擊的이 될 수도 있다. 가장 基本的이고 보기 쉬운 고양이의 姿勢들은 다음과 같다. [7] [8] [9]

  • 便安함  ? 고양이가 옆으로 누워있거나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呼吸은 느리거나 平凡하고, 다리는 구부리고 있거나, 쭉 뻗고 있다. 꼬리는 느슨하게 말려 있고, 늘어나 있거나, 또는 들어 올려져 있다. 고양이가 서있을 때에는 아래로 축 쳐져 있기도 한다.
  • 스트레칭  ? 고양이가 便安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또 다른 姿勢이다.
  • 하품  ? 혼자서 하품을 하거나, 또는 스트레칭을 하는 中에 發生한다. 고양이가 便安하다는 또 다른 姿勢이다.
  • 警戒   ? 고양이는 배를 깔거나, 앉아있는다. 고양이의 等은 움직이거나 서있을 때 거의 水平을 維持한다. 고양이는
  • 緊張  ? 고양이는 서있거나 뒷걸음질 치면서 下體를 上體보다 낮게 한후 배를 깔아둔다. 서있을 때 뒷다리는 굽혀져 있고, 앞다리는 뻗어있다. 꼬리는 아래쪽으로 팽팽하게 뻗거나 말銀釵로 몸에 가까이 둔다. 고양이가 일어서는 中에는 씰룩거릴 수 있다.
  • 걱정/排卵  ? 고양이는 배를 깔아놓는다. 서있거나 움직일 때 下體를 上體보다 훨씬 더 明確하게 낮춘다. 呼吸은 빨라지고, 다리는 몸의 밑에 밀어넣는다. 꼬리는 몸 가까이에 붙여놓거나 앞으로 말아둔다(서있을 境遇 몸쪽에 가까이), 꼬리의 끝은 위아래로 움직인다(혹은 左右로).
  • 두려움  ? 고양이가 배를 바닥에 깔거나 正確히 발바닥 끝에 엎드린다. 서있을 때는 몸을 흔들면서 바닥 가까이에 붙여놓는다. 呼吸 또한 빨라지고, 네 발로 서 있을 때 다리는 바닥 가까이 구부리고 있으며, 꼬리는 몸 가까이에 말아둔다.
  • 怯먹음  ? 고양이가 正確히 발바닥 끝에 엎드리고 몸의 一部를 눈에 보일 程度로 흔든다. 꼬리는 몸 가까이에 두거나, 等에난 털과 같이 치켜세울 수 있다. 다리는 宏壯히 뻣뻣하게 두거나 더 구부려서 몸의 크기를 늘린다. 特히, 고양이가 窮地에 몰렸다고 느끼거나, 脫出하는게 不可能하다고 생각할 때 攻擊性을 바꾸는 데에 依支할 수 있지만, 고양이는 威脅을 느낄 때에 接觸을 避하고 싶어한다. [10] [11]

꾹꾹이 [ 編輯 ]

古典的인 고양이의 꾹꾹이

새끼 고양이들이 젖먹이일 때 젖을 꾹꾹 누르는 것은 엄마의 젖에서 授乳를 刺戟하기 위해 앞발로 反復해서 누르는 것이다. 고양이는 이런 幼兒期 때의 行動들을 커서 看護할 때까지 간직한다. 몇몇 고양이들은 꾹꾹이를 하면서 털을 손질하고 잠자리를 다듬는다. 꾸준히 앞발을 使用해 밑으로 힘을 加하고, 발톱을 꺼내기 위해 발가락을 연 後, 발을 들어 올리면서 발톱을 닫는다. 이 過程은 1,2 秒間의 間隔을 두고 발을 바꿔가면서 進行이 된다. 種種 主人의 무릎 위에 올라가서 꾹꾹이를 할 때가 있다. 가장 優先的인 愛玩 고양이의 行動은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가기 때문에, 꾹꾹이는 幼兒期 時節의 行動의 殘滓가 어른 愛玩 고양이의 行動에 남아 있는 것일 수 도 있다. 꾹꾹이는 또 고양이를 刺戟시켜 주고 氣分을 좋게 만들어주는데, 사람이 스트레칭을 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다. 꾹꾹이는 種種 잠을 자기 위한 前兆이기도 하다. 많은 고양이들이 꾹꾹이를 하는 동안 가르랑거린다. 고양이들은 一般的으로 갓 태어났을 때, 밥을 먹을 때, 또는 어미의 젖을 먹으려고 할 때 가르랑거린다. 一般的으로 두 行動의 聯關性은 꾹꾹이를 하는 行動의 根源의 殘滓 本能의 證據라고 여겨진다. [12]

헐떡임 [ 編輯 ]

헐떡이는 고양이

와 다르게, 헐떡거리는 것은 고양이가 따뜻한 環境에 있는 게 아니라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일이다. 몇몇 고양이들은 겁먹음, 恐怖 또는 興奮을 느낄 때 헐떡거린다. 헐떡거림은 運動하거나 놀 때, 或은 自動車를 타는 것 같이 스트레스를 誘發하는 일이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萬若에 헐떡거리는 것이 科하거나 고양이가 스트레스에 빠져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거라면, 그것은 매우 深刻한 症狀일 수 있다. 코가 막혔거나, 心臟絲狀蟲에 걸렸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또는 藥물 中毒일 수 있다. [13] 여러 가지 境遇에서 고양이과 動物들이 헐떡거리는 것은 特히 기침이나 呼吸 困難 等의 症狀을 同伴하기 때문에, 이걸 非正常的인 狀態로 여기고 醫療 緊急 狀況으로써 處理해야 한다. [14]

食事習慣 [ 編輯 ]

"캣닢"을 먹는 고양이

고양이는 肉食 動物이며, 菜食은 잘 하지 않는다. 野生의 고양이과 動物들은 主로 營養을 攝取하기 위해서 작은 哺乳類들을 사냥한다. 많은 고양이들은 少量의 풀을 찾아서 씹을 때가 있는데, 이것은 營養을 攝取하기 위함이 아니다. 고양이가 풀을 먹는 것은 原始 고양잇科 動物에게서 由來된 것으로 보이며 그들의 食事에 必要해서 먹는 것이 全혀 아니다. 이런 行動은 遠視 고양잇科 動物들이 풀을 먹음으로써 內部 寄生蟲을 몰아내려고 했을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 [15]

고양이들은 단맛을 느끼는 味蕾가 혀에 全혀 없기 때문에 單 것에서 맛을 全혀 느낄 수가 없다. 고양이들은 主로 飮食의 냄새를 맡으며 아미노산을 통해서 맛을 느낀다. 이러한 것들은 고양이에게 糖尿病을 誘發할 수 있다. [16]

고양이는 혓바닥으로 물의 表面을 핥으면서 물을 마신다. 한 番 핥을 때마다 少量의 물을 攝取한다. 一部 沙漠의 고양이는 自身의 먹잇감의 살을 통해서 물을 攝取하는 것이 可能하지만, 大部分의 고양이들은 마실 수 있는 물이 必要하다. [17]

社會化 [ 編輯 ]

새끼 페르시안 고양이가 장난을 치고 있는 모습이다

새끼 고양이들은 처음에는 사람을 무서워하는 게 一般的이다. 하지만 첫 16週 동안 올바르게 기른다면, 새끼들은 곧 어떤 사람과도 잘 지낼 수 있다. 새끼 고양이들은 장난을 치기 위해서 깨물고 핥고 긁어대고, 또는 빠르게 발길질을 하면서 장난을 치려고 한다.

生 後 2株에서 7週 程度 된 집나간 새끼 고양이들은 한 달 程度 捕獲되어있으면 社會化가 可能하다. [18] 이 期間에는 고양이들이 社會化가 되는 時間이며 사람에게 社會化 될 수 있는 唯一한 時間이다. 몇몇 種은 遺傳的 影響이나 특정한 狀況에서 習得한 經驗 때문에 사람에 依해서 社會化 되는 것이 不可能하다. 새끼 고양이를 社會化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方法은 每 週 5時間 씩 고양이를 돌보는 것이다. 이 過程은 社會化가 完了된 다른 고양이가 있으면 더 쉽지만, 집나간 고양이의 狀況에서는 꼭 必要하진 않다. 萬若 調鍊된 고양이가 작은 배變通에 小便을 본다면, 더 작은 다른 고양이들도 따라하게 된다. 첫 만남 때 두꺼운 掌匣을 着用하는 것은 信賴가 形成되기까지 宏壯히 推薦하는 行動이며, 特히 첫 主幹은 그렇게 하는 것이 勸奬된다.

어른 고양이를 社會化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社會化된 길 잃은 成人 고양이는 社會化 期間 동안 만난 사람에게만 信賴를 보내며, 그에 따라 낯선 사람에게는 敵愾心을 드러낸다. [19] 고양이들은 매우 親한 同伴者가 될 수 있다. 고양이가 生後 2株에서 7週 사이에 社會化가 됐다면 말이다. 이 期間 동안, 社會的 技術들이 發達하기 始作한다. 새끼 고양이들은 好奇心이 많은 動物이라 많은 事物을 장난감 取扱한다. 새끼 고양이에게 장난감을 주거나 올라갈 수 있는 막대기를 주는 것은 그들이 천천히 社會化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고양이의 環境 [ 編輯 ]

고양이는 自身의 環境을 必要에 따라서 造成하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祖上들 처럼, 愛玩 고양이들도 獨立的인 領域을 維持하려는 本能的인 欲求가 있지만 쉽게 질리는 性格 때문에 一般的으로 다른 고양이와 함께 살려고 한다. 고양이가 오랜 時間 동안 혼자서 살게 된다면 다른 고양이와 어떻게 意思疏通을 해야하는지 잊어버릴 수 있다. [20]

하지만 種種 혼자 사는 집에 새끼 고양이를 들이는 것은 나쁜 생각이 될 수 있다. 萬若 이미 成人 고양이가 存在하는 곳에 다른 고양이를 들인다면 다른 고양이와 이미 社會化를 마친 다른 成人 고양이를 들이는 것이 훨씬 낫다. 萬若 새끼 고양이가 다 자란 고양이가 있는 곳에 들여진다면, 成人 고양이는 自身의 領域에 侵犯하고 威脅을 當했다고 느끼고 侵入者에게 攻擊的인 態度를 보이면서 고양이의 攻擊性을 드러낼 것이다. 萬若 이런일이 發生한다면, 새끼 고양이는 그 고양이와 떨어뜨려 놔야하고, 서로의 香臭가 묻은 手巾을 비벼주면서 천천히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줘야 한다. [21]

고양이는 自身의 領域을 標示하는 데에 두드러지는 事物에 香臭와 페로몬을 利用한다. 萬若 그 事物이나 냄새가 除去된다면, 고양이는 環境에 對한 認識에 違和感을 느끼게 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Shipley, C; Buchwald, J.S; Carterette, E.C (January 1988). “The role of auditory feedback in the vocalizations of ca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69 (2): 431?438. doi : 10.1007/bf00247589 .  
  2. Anonumous (May 2015). “Interpreting feline vocalization patterns” (37). DMV360. 2018年 6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11月 27日에 確認함 .  
  3. Eckstein, Robert A.; Hart, Benjamin L. (2000). “Grooming and Control of Fleas in Cats”.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68 (2): 141?50. doi : 10.1016/s0168-1591(00)00095-2 .  
  4. Pachel, Christopher (May 2014). “Intercat Aggression: Restoring Harmony in the Home: A Guide for Practitioners”. 《The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 Small animal practice》 44 (3): 565?579. doi : 10.1016/j.cvsm.2014.01.007 .  
  5. Dr. Jennifer Coates, DVM (2013年 4月 22日). “Synthetic Feline Facial Pheromones: Making Recommendations in the Absence of Definitive Data, Part 1” . petMD. 2018年 6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20日에 確認함 .  
  6. “Feliway” . 2015年 5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20日에 確認함 .  
  7. “The Indoor Cat Initiative” (PDF) .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2012年 1月 18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12月 22日에 確認함 .  
  8. “Test to determine how well you know feline body language” . 2018年 6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20日에 確認함 .  
  9. 《An Ethogram for Behavioural Studies of the Domestic Cat》. UFAW Animal Welfare Research Report No 8. UK Cat Behaviour Working Group, 1995.  
  10. “Reading Your Cat” . Animal Planet. 21 November 2011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2 December 2011에 確認함 .  
  11. DERBYSHIRE, DAVID. “Can you speak CAT? How to decode a moggie's body language” . Daily Mail. 2018年 7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4月 7日에 確認함 .  
  12. McPherson, F.J; Chenoweth, P.J (April 2012). “Mammalian sexual dimorphism”. 《Animal Reproduction Science》 131 (3?4): 109?122. doi : 10.1016/j.anireprosci.2012.02.007 .  
  13. Spielman, Dr. Bari. “Panting in Cats: Is It Normal?” . 2007年 8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1月 7日에 確認함 .  
  14. “Cat Panting Explained” . The Cat Health Guide . 2011年 7月 2日에 確認함 .  
  15. Hart, Benjamin (Dec 2008). “Why do dogs and cats eat grass?”. 《Veterinary Medicine》 103 (12): 648.  
  16. Li, Xia (July 2006). “Cats lack a sweet taste receptor”. 《the Journal of Nutrition》 136 (7): 1932S?1934S. doi : 10.1093/jn/136.7.1932s .  
  17. Macdonald, Rogers (1984). “Nutrition of the domestic cat, a mammalian carnivore”. 《Annual Review of Nutrition》 4 (1): 521?562. doi : 10.1146/annurev.nutr.4.1.521 .  
  18. Casey, Rachel; Bradshaw, John (November 2008). “The effects of additional socialisation for kittens in a rescue centre on their behaviour and suitability as a pet”.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114 (1?2): 196?205. doi : 10.1016/j.applanim.2008.01.003 .  
  19. “Socializing Your Kitten” . 《ASPCA》. 2015年 9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0月 23日에 確認함 .  
  20. “One Kitten or Two?” . 2018年 6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21日에 確認함 .  
  21. Beaver, Bonnie (September 2004). “Fractious cats and feline aggression”.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6 (1): 13?18. doi : 10.1016/j.jfms.2003.09.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