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안원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안원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高句麗 안원왕 에서 넘어옴)

안원왕
安原王
호남리 사신총 벽화
호남리 四神塚 壁畫
第23代 高句麗 國王
在位 531年 5月 ~ 545年 3月 (陰曆)
前任 안장왕
後任 양원왕
이름
보연(寶延) · 年(延)
別號 穀鄕江上王(鵠香岡上王) [1]
向强上王(香岡上王) [1]
시호 顔元(安原)
年號 延嘉 (延嘉)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498年 1月 前後)
死亡日 545年 3月 (陰曆)
父親 문자명왕
母親 未詳
配偶者 貞夫人 · 中部인 · 蘇夫人 [1]
子女 양원왕
宗敎 佛敎
陵墓 호남리 四神塚 (推定)

안원왕 ( 韓國 漢字 : 安原王, ? [2] ~ 545年 陰曆 3月 )은 高句麗 의 第23代 國王 (在位 : 531年 陰曆 5月 ~ 545年 陰曆 3月 )이다. 문자명왕 의 둘째 아들이며 안장왕 의 동생이다. 안장왕이 아들 없이 죽자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

日本書紀 》에는 穀鄕江上王 (鵠香岡上王), 向强上王 (香岡上王) 等으로 記錄되어 있다. 이름은 보연 (寶延)이며, 《 魏書 (魏書)》와 《 良書 (梁書)》에는 年(延)으로 記錄되어 있다.

生涯 [ 編輯 ]

卽位 [ 編輯 ]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문자명왕 의 아들이며 안장왕 의 동생이다. 《 三國史記 》에는 안원왕은 키가 7隻 5寸(173cm로 推定 [3] )이며 度量이 커서 兄인 안장왕이 사랑하였으며, 안장왕이 아들 없이 죽자 동생인 안원왕이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反面에 《 日本書紀 》와 《 新撰姓氏錄 》은 안장왕 에게 復歸群 (福貴君)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日本으로 亡命하였고, 그 後孫들이 코마氏(?氏)와 誤코마노무라치氏(大?連氏), 노다氏(野田氏) 等의 姓을 使用하면서 이 姓氏들의 先祖가 안장왕의 後孫이라고 記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 백제본기 》의 記錄을 引用하면서 531年 3月에 안장왕 이 弑害되었다고 記錄하고 있다. 《 三國史記 》에는 弑害나 政變과 같은 별다른 說明 없이 531年 5月에 안장왕이 死亡하였다고만 記錄하고 있어 《 日本書紀 》의 記錄과는 代置된다.

 
25年(531年) 겨울 12月 病身(丙申) 初하루 경자(庚子, 5日) (계체天皇을) 아이노노미사사키(藍野陵)에 葬事지냈다.
【어떤 冊에는 '天皇이 28年 甲寅年(534年)에 죽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25年 신해年(531年)에 죽었다고 한 것은 《 백제본기 (百濟本記)》를 醉하여 쓴 것이다.
 《 백제본기 》에
 “ 신해年(531年) 3月에 軍隊가 나아가서 安羅(安羅)에 이르러 걸濁聲(乞?城)을 쌓았다.
  이 달에 高麗( 高句麗 )가 그 王 안( , 안장왕 )을 죽였다 .
  또한 들으니 日本의 天皇과 太子, 皇子가 함께 죽었다고 한다"라 하였다.
 이러한 理由로 신해年(531年)은 25年이 마땅하다.
 後世에 交感(校勘, 古書籍들을 比較하면서 옳고 그름을 따지는 일 )하는 者는 알 것이다.】

? 《 日本書紀 》 卷17, 男大迹天皇 繼體天皇光仁天皇
계체天皇 25年(531年) 12月 5日

治世 [ 編輯 ]

在位 期間 동안 北緯 凉나라 에 朝貢하며 南北朝와 等距離 外交를 펼쳤으며 북위가 同位 西魏 로 分裂된 以後에는 同位에 朝貢하였다. [4]

533年 (안원왕 3年) 正月, 王子 平成 (平成)을 太子로 冊封하였다. [4] [5]

535年 (안원왕 5年) 5月에는 南쪽 地方에 洪水가 나서 家屋이 流失되고 200餘名의 死亡者가 發生하였다. 같은해 10月에는 地震이 났으며 12月에는 우레가 치고 傳染病이 發生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뭄이 들자 使臣을 派遣하여 굶주리는 百姓들을 驅除하기도 하였다. 메뚜기떼 의 襲擊으로 百姓들이 農事를 망치고 굶주림이 繼續되자 안원왕은 直接 巡幸하면서 百姓들을 살피고 慰勞하였다. [4]

540年 (안원왕 10年) 9月, 百濟 聖王 雨傘性 (牛山城)을 包圍하자 精銳 騎兵 5,000名을 보내 물리쳤다. [4]

最後 [ 編輯 ]

545年 (안원왕 15年) 봄 3月, 死亡하였다. 諡號를 안원왕 (安原王)이라고 하였다.

日本書紀 》는 《 백제본기 》의 記錄을 引用하면서 안원왕이 545年 12月, 子息들의 王位 爭奪戰 中에 死亡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 良書 (梁書)》와 《 남사 (南史)》에는 안원왕이 548年에 死亡하였다고 記錄되어 있다.

王位 繼承을 둘러싼 內紛 [ 編輯 ]

  • 日本書紀 》는 《 백제본기 》의 記錄을 引用하면서 545年 12月 안원왕이 병들자, 안원왕의 后妃人 中部인(中夫人)과 蘇夫人(小夫人)李 各自 自身들이 낳은 아들을 王으로 세우기 위해 戰爭을 벌였고, 中部仁義 아버지인 追求(?群)과 蘇夫人의 아버지인 細君(細群)李 싸움을 벌이다가 秋軍이 勝利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 記事 마지막줄의 '?鵠香岡上王薨也.(박국의 向强上王이 죽었다)'라는 部分의 解釋을 두고, 안원왕의 呼稱이 달라진다.
    1. "?鵠 / 香岡上王 / 薨也(코마國의 / 向强上王이 / 죽었다)"
      古代 日本語에서 鵠과 國의 發音이 '코쿠(こく)'로 同一하며 '나라(國)'라는 同一한 意味로 쓰여져, 박국(?鵠)은 高句麗를 뜻하는 박국(?國)과 같은 意味가 되므로 '박국(?鵠, 高句麗 )의 向强上王(香岡上王)이 죽었다'라고 解釋된다. 이 境遇 '向强上(香岡上)'李 呼稱이 된다. 가마쿠라 時代 에 刊行된 《 日本書紀 》의 註釋書인 《 夕日本紀 (?日本紀)》 丕訓(秘訓)과 1669年 刊行된 《日本書紀》는 '向强上王'이라 稱한다.
    2. "? / 鵠香岡上王 / 薨也(코마의 / 穀鄕綱常왕이 / 죽었다)"
      '朴(?)=코마(こま)'로 發音되며 高(舊)려(高麗=코마(こま))와 發音이 같다. 이 境遇 '코마(?=高麗)의 穀鄕江上王(鵠香岡上王)이 죽었다'라고 解釋되며 '穀鄕綱常(鵠香岡上)'李 呼稱이 된다. [6]
 
이 해(545年) 高麗( 高句麗 )가 크게 어지러워 죽임을 當한 者가 많았다.
백제본기 (百濟本記)》에는
“12月 甲午(20日)에 고려국의 細君(細群)과 追求(?群)이 宮門에서 북을 치면서 戰鬪를 벌였다.
 細君이 敗하였으나 사흘 동안 軍士를 解散하지 않고 細君의 子孫을 모두 사로잡아 죽였다.
 武術(24日)에 박국(?國, 高句麗의 蔑稱 )의 向强上王(香岡上王, 안원왕 )이 죽었다”
라고 하였다.
? 《 日本書紀 》 卷19, 天國排開廣庭天皇
欽命天皇 6年(545年)
  • 日本書紀 》는 안원왕의 뒤를 이어 王位 爭奪戰에서 勝利한 양원왕 이 中部인(中夫人)의 아들이며 卽位 當時 8살이었다고 記錄하고 있는데, 533年 (안원왕 3年) 正月 양원왕을 太子로 冊封하였다는 《 三國史記 》의 記錄과 矛盾된다.
  • 《日本書紀》와 《三國史記》의 矛盾된 記錄과 關聯하여, 韓國 史學界는 《三國史記》의 記錄을 제1사료로 認識하지만 《日本書紀》의 記錄 또한 重要視하며 交叉 檢證하고 있다. [7] 《日本書紀》의 記錄을 土臺로 《三國史記》에 記錄되지 않은 안원왕 末年의 內紛과 政爭이 있었을 것으로 斟酌한다. [8]
 
이 해(545年) 高麗( 高句麗 )가 크게 어지러워 무릇 싸우다 죽은자가 2,000餘 名이었다.
백제본기 (百濟本記)》에는
“高(舊)閭家 正月 丙午에 中部인(中夫人)의 아들을 王으로 세웠는데 나이 8살이었다.
 박왕(?王, 高句麗王)에게는 3名의 夫人이 있었는데 政府인(正夫人)은 아들이 없었다.
 中部인(中夫人)이 世子(世子)를 낳았는데 그의 外할아버지가 追求(?群)이었다.
 蘇夫人(小夫人)도 아들을 낳았는데 그의 外할아버지는 細君(細群)이었다.
 박왕( 안원왕 )이 병들자 細君과 秋軍이 各各 蘇夫人과 中部仁義 아들을 卽位시키고자 하였다.
 이로인해 歲軍側의 죽은 者가 2,000餘 名이었다.”
라고 하였다.
? 《 日本書紀 》 卷19, 天國排開廣庭天皇
欽命天皇 7年(546年)

家族 關係 [ 編輯 ]

  • 아버지  : 문자명왕 (文咨明王, ?~519) - 第21代 國王
  • 어머니  : 未詳
    • 王妃  : 政府인(正夫人)
    • 后妃 : 中部인(中夫人)
      • 아들 : 양원왕 (陽原王, ? ~559) - 第24代 國王
    • 后妃 : 蘇夫人(小夫人)
      • 아들 : 未詳

朞年 [ 編輯 ]

안원왕 元年 2年 3年 4年 5年 6年 7年 8年 9年 10年 11年 12年 13年 14年 15年
西曆 531年 532年 533年 534年 535年 536年 537年 538年 539年 540年 542年 542年 543年 544年 545年
干支 신해 임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正史 戊午 기미 更新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日本書紀
  2. 兄인 안장왕이 498年 1月에 太子가 되었으므로 最小 498年 1月 前後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
  3. 當時 隻을 23cm 程度로 본다. https://labongbong.tistory.com/737
  4. 三國史記 》 卷19, 高句麗本紀 第7, 안원왕
  5. 東國通鑑 》 卷5, 삼국기
  6. 이홍직 , 「日本書紀所在(日本書紀所載) 高句麗關係期事故(高句麗關係記事考)」, 『韓國古代史의 硏究(韓國古代史의 硏究)』, 1971, pp.159~162
  7. 남무희, 「안원왕·양원왕臺 政治變動과 高句麗 佛敎界 動向」, 『韓國古代史硏究』 45, 2007
  8. 박기환, 「6·7世紀 高句麗 政治勢力의 動向」, 『韓國古代史硏究(韓國古代史硏究)』 5, 1992).
前 代
안장왕
第23代 高句麗 國王
531年 - 545年
後 臺
양원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