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界面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界面調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界面調 (界面調)는 韓國 音樂 에 쓰이는 의 하나이다.

界面調는 五音階 라(la)선법이다. 正樂에는 林鐘을 으뜸音으로 하는 臨終界面調(林鐘界面調)와 黃鐘을 으뜸音으로 하는 黃鐘界面調(黃鍾界面調)가 있는데, 앞의 것은 平調界面調(平調界面調), 뒤의 것은 羽調界面調(羽調界面調)라고 부르기도 한다. 界面調는 黃鐘·中呂·臨終의 3音이 主가 되어 3音階的인 機能이 剛하다. 판소리에서 界面調는 3音階的인 面에서 正樂의 界面調와 같으나 微分音의 흐름과 其他 附屬的인 音構造가 다르므로 音樂的인 느낌이 좀 다르다. 界面調는 西洋音樂의 短調와 비슷하다. 韓國音樂에서 界面調는 鄕土的인 特色이 强한 兆로 正樂에서 靈山會上 · 歌曲 界面調·家事· 時調 ·판소리界面兆·南道民謠 等 널리 쓰이는데 樂曲에 따라 各各 若干의 特徵이 다르다.

판소리의 界面調 [ 編輯 ]

판소리의 界面調는 全羅道의 鄕土 가락에서 나온 것이다. 美·라·市 3音階가 주된 構成音이고, 詩(Si) 위에 레(Re)에서 道(Do)에 이르는 微分音(微分音)이 있어 市(Si)에 흘러내린다. 변청에서는 많은 다른 音들이 나타난다. 라(La)로 마치는 수가 많고, 美(Mi)로 마치기도 한다. 界面調로 부르는 가락의 느낌은 부드럽고 슬픈 느낌을 주어, 이른바 恨(恨)을 느끼는 애怨聲을 말한다. 따라서, 판소리 社說의 內容 中 女性的이고 부드럽고 或은 슬픈 場面에 界面調 가락을 쓴다. 界面調로 부르는 有名한 대목은 < 春香歌 >의 離別歌·獄中歌·獄中相逢, < 沈淸歌 >의 심청모 出喪하는 데·出月만정, < 흥보가 >의 가난타령·박타령, < 赤壁歌 >의 古堂賞·새타령 等이 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