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計巧 戰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計巧 戰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計巧 戰鬪
날짜 191年
場所
結果 元素 의 勝利
交戰國
元素 공손찬
指揮官
元素
國의
癜風
최擧業
공손찬
엄강

計巧 戰鬪 (界橋戰鬪), 半夏 戰鬪 (潘河戰鬪)는 191年 寄主 (冀州)에서 元素 (袁紹)와 공손찬 (公孫瓚)李 싸운 戰鬪다. [1] 여기서 大勝利를 거둔 元素는 以後 거듭 공손찬을 擊破하여 中國의 最大 强者로 浮上한다.

背景 [ 編輯 ]

後漢 末, 韓服 (韓馥)은 童濯 (董卓)에게서 基注目(冀州牧)으로 任命되어 그와 對立하던 발獬豸수(渤海太守) 元素의 相關으로 牽制하는 任務를 맡고 있었으나, 元素가 當時 輿論의 支持를 받는 것을 보자 元素의 擧兵을 承認해 反童濯聯合軍 을 創設하게 한다. 하지만 韓服은 元素의 擡頭 또한 바라지 않았으므로 每番 元素를 牽制했으며 甚至於는 元素軍의 普及을 遮斷하여 瓦解의 危機로 몰아넣기도 했다. 이에 元素는 韓服과 提携하여 乳牛를 皇帝로 推戴하기도 하나 結果的으로는 失敗해 191年 聯合軍은 事實上 解體되었다. 韓服의 갖은 牽制에 시달려 渤海軍으로 돌아가지도 못한 채 黃河 一帶에서 발이 묶여있던 元素는 공손찬을 부추겨 寄主를 攻擊하도록 한다. 공손찬이 氣柱에 들어와 安平에서 韓服을 擊破했다. 慘敗하고 指揮力을 잃은 韓服은 營內의 叛亂과 隣接勢力의 侵攻에 시달리는데, 元素는 공손찬의 움직임에 맞춰 北쪽으로 進軍하면서 이들을 擊破하거나 懷柔,倂合하여 急激히 勢를 늘렸다. 韓服은 北上하는 元素의 속내를 알 수 없었으나 남진해 오는 공손찬과 손잡고 自身을 挾攻할 것을 두려워했다. 元素는 地位를 讓渡한다면 身邊을 保障하겠다며 韓服을 脅迫했고 韓服은 이에 基注目의 地位를 袁紹에게 讓渡했다.

이때 韓服의 側近들은 이를 必死的으로 反對했으며 열흘 안에 元素를 擊破해 보일 수 있다고 豪言하기도 했다. 實際로 元素는 林地인 渤海郡 바깥에 孤立되어 軍糧을 自給할 能力이 없었기에 全的으로 外部의 支援에 依存해야 하는 形便이었다. 비록 隣近의 軍閥들을 倂合하며 量的으로는 急激히 膨脹했지만 實狀은 急造된 烏合之卒이었으며 그마저도 韓服의 軍勢보다 작았는데 結果的으로 普及의 問題는 더욱 深刻해졌기에 열흘 안에 무너뜨릴 수 있다는 말이 完全한 虛言이라고 보긴 어렵다. 하지만 戰力을 集中해 元素를 물리친다 해도 다시 공손찬을 물리쳐야 한다는 現實的인 問題가 남아있었고, 袁紹와 공손찬과 聯合한다면 韓服으로서는 더욱 堪當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또한 공손찬은 이미 强盛한 勢力을 갖췄으며 乳牛의 推戴에 激烈히 反對하여 代役行爲로 猛非難했기에 韓服과 政治的인 提携의 必要性이 낮았던 反面, 元素는 韓服과 함께 乳牛 推戴의 核心人物이었으며 비록 聯合軍의 盟主로서 關東에서의 名望과 發言力은 높았으나 實質的인 勢力은 微弱해 現實的으로 韓服의 協助가 切實한 狀況이었다. 게다가 韓服은 元氏와 고리關係에 있었다. 身邊의 安全과 地位를 保障하겠다는 元素의 提案은 이미 戰爭에 질린 韓服에게 魅力的인 提案이었을 것이다.

基注目을 讓渡받은 元素는 공손찬의 四寸동생인 恭遜犯 (公孫範)에게 渤海태수의 地位를 讓渡해 공손찬에게 渤海軍을 分割해 주는 形式으로 일을 매듭지으려 한 것으로 보이나 實質的인 分割은 미룬 것으로 보인다. 공손찬 은 軍隊를 光宗에 駐屯시키고 四寸동생 恭遜月 (公孫越)을 元素와 敵對하고 있던 怨讐 (袁術)에게 보내 그를 支援하게 했다. 當時 元素는 元述의 사예 掌握을 牽制하여 주앙 (周?) 兄弟와 提携하며 이들에게 元述君의 中間基地人 陽性을 奪取한 狀態였는데, 元述은 孫堅 (孫堅)과 恭遜月 에게 養成의 奪還을 指示했지만 失敗했고 恭遜月은 화살에 맞아 죽는다. 이에 공손찬은 軍士를 일으켜 元素를 攻擊했다. 공손찬의 大軍을 두려워한 元素는 恭遜犯에게 곧바로 발獬豸垂直을 讓渡하며 和解를 試圖하지만 恭遜犯은 오히려 渤海郡의 軍士를 이끌고 공손찬과 合流해 攻擊에 加勢했다. 공손찬의 威勢에 河北 全體가 振動했으며 寄主의 수많은 郡縣이 앞다투어 공손찬에게 投降했다고 한다. 이를 坐視할 수 없었던 元素 또한 軍士를 일으켜 半夏 (潘河)의 上流에서 공손찬과 몸소 交戰했다.

戰鬪 過程 [ 編輯 ]

공손찬은 3萬의 軍士로 防塵을 치고 起兵 1萬을 左右에 配置하여 主力으로 삼았다. 한便 元素 亦是 陣形을 갖추고 國의 (麴義)와 淨甁 8百名을 先鋒으로 삼았으며 1千의 老兵을 그 뒤에 대기시켰는데. 元素의 軍勢가 적은 것을 본 공손찬은 이를 깔보고 騎兵을 풀어 攻擊했으나 騎兵隊의 戰術에 能熟했던 國義가 軍士들을 防牌 아래 엎드려 있게 하다가 공손찬의 騎兵隊가 射程距離에 到達하자 一齊히 弓弩를 發射하게 해 공손찬의 騎兵隊가 크게 무너졌고 공손찬이 任命한 期株自社(冀州刺史) 엄강 (嚴綱)李 戰死했다. 騎兵隊가 敗退하자 공손찬은 軍勢를 撤收시켰으나 元素가 이를 뒤쫓자 計巧에서 다시 軍士를 거두어 싸웠다. 하지만 여기서 공손찬은 大敗하였고 공손찬이 駐屯하고 있던 本營이 占領되자 남은 무리들도 모두 흩어져 달아났다. 한便 後方에 있던 공손찬이 完全히 擊破되었다는 報告를 받고 放心하여 鞍裝에서 내려 말을 쉬게 하며 但只 數十名 남짓한 步兵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달아나던 공손찬의 2千 騎兵隊에게 包圍당한다. 別加(別駕) 癜風 (田豊)은 元素를 끼고 도망쳐 元素를 담牆 틈속에 숨기려 했으나, 袁紹는 憤慨해 쓰고 있던 帽子를 집어던지며 "帳簿는 마땅히 앞에서 싸우다 죽어야 하거늘, 어찌 담牆 사이로 逃亡가겠는가!" 라는 氣骨에 찬 말을 吐해내며 앞장서 싸우자 모두가 奮發하여 싸웠다. 指揮하는 自家 元素라고는 생각하지 못한 敵들은 그 氣勢에 눌려 차츰 밀려나다가 마침 국義가 와서 元素를 돕자 마침내 潰滅當했다.

各州 [ 編輯 ]

  1. 後漢書 》 〈 第9卷 〉 “三年春正月[...]袁紹及公孫瓚戰於界橋,瓚軍大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