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觀測값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觀測값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輕重率 에서 넘어옴)

觀測값 (observed value [1] )은 測定값 과 비슷한 意味로 쓰이며, 肉眼이나 器械로 自然 現象 特히 天體나 氣象의 狀態, 推移, 變化 따위를 觀察하여 測定한 實測값이나 量을 가리킨다. 觀測값은 恒常 誤差 를 包含 [2] 하고 있으므로 觀測값에 對한 品質 評價를 하여 信賴性을 檢證하여야 한다. 이러한 過程을 觀測값 解釋 理라 하며 誤差를 消去하는 것도 包含한다. [3]

觀測값, 최擴값, 참값 [ 編輯 ]

測定을 통해 알아낸 값을 觀測값 理라 하고, 測定한 對象物의 實際 값을 참값 (true value)이라고 한다. 참값은 正確하게 알 수 없는 抽象的인 槪念이다. 따라서 참값을 代身할 값을 定하는데 이것을 최擴값 (most probable value)이라고 한다. [4]

觀測값을 x, 최확값을 μ, 참값을 τ라고 하면 盞車(residual, ν), 便宜(bias, β), 참誤差(error, ε)을 定義할 수 있다. 盞車 는 觀測값과 최확값의 差異다.(ν=μ?x) 便宜 는 참값과 최확값의 差異다.(β=τ?μ) 참誤差 는 盞茶와 便宜를 合한 값이다.(ε=ν+β) [1] 참誤差 亦是 참값과 마찬가지로 實際로 알 수 없는 假想의 값이다. [4]

최확값은 單純히 算術平均 이 아니라 條件과 輕重率의 有無에 따라 달라진다. 輕重率 (weight)이란 여러 觀測 값들 各各의 相對的인 信賴度를 나타내는 것으로, 觀測값의 分散 과 反比例한다. [5] 條件이 없는 境遇는 觀測값을 直接 調整하여 최확값을 求하고, 條件이 있는 境遇에는 條件에 맞게 誤差 를 調整하여 최확값을 救한다. 輕重率은 觀測回數, 觀測거리, 觀測精密度 等 여러 가지 境遇에 따라 달라진다. [4]

相對誤差 [ 編輯 ]

相對誤差 (relative error)는 觀測값과 盞車의 絶對값의 비이다. 相對誤差는 觀測의 精密度 를 나타낼 때 重要하게 쓰인다. 相對誤差는 1/10000 等과 같이 나타낸다. [5]

程度 [ 編輯 ]

程度 는 分子가 1로 標示되는, 標準偏差 또는 確率誤差 (γ)를 최확값으로 나눈 값이다.

程度는 觀測값의 信賴度를 評價하는 데 使用된다. 例를 들어 標準偏差가 0.00158이고 최확값이 325.467人 觀測의 程度는 이다. [6] [7]

觀測값의 調整 [ 編輯 ]

錯誤 를 除去하고 定誤差 를 補正하였어도 觀測값에 아직 偶然誤差 가 남는다. 이때 觀測값 調整 (adjustment)을 통해 최확값을 決定하게 된다. 觀測값 朝廷의 代表的인 方法에는 最小제곱法 (least square method)이 있다. [8] 같은 精密度 로 觀測된 값들에서 盞車의 제곱의 合 이 最小가 될 때 최확값을 定할 수 있다. 萬若 서로 다른 輕重率을 가진 觀測값에 對해 最小제곱法을 使用한다면, (輕重率)X(盞車) 2 의 合 이 最小가 될 때 최확값을 定할 수 있다. [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이재기 等. 2013 , 69쪽.
  2. 이재기 等. 2013 , 64쪽.
  3. 이재기 等. 2013 , 63쪽.
  4. 이재기 等. 2013 , 70쪽.
  5. 이재기 等. 2013 , 75쪽.
  6. 이재기 等. 2013 , 80-81쪽.
  7. 최용기; 박기용 (2015). 《土木技士 過年度 시리즈 - 測量學》. 성안당. 2 -34쪽. ISBN   9788931568080 .  
  8. 이재기 等. 2013 , 96쪽.
  9. 이재기 等. 2013 , 98쪽.

參考 文獻 [ 編輯 ]

  • 이재기; 최석근; 박경식; 정성혁 (2013). 《測量學1》 2板. 螢雪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