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慶州 南山 佛曲 磨崖如來坐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慶州 南山 佛曲 磨崖如來坐像

慶州 南山 佛曲 磨崖如來坐像
(慶州 南山 佛谷 磨崖如來坐像)
(Rock-carved Seated Buddha in Bulgok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2016年 11月 모습
種目 寶物 第198號
( 1963年 1月 21日 指定)
數量 1區
時代 三國時代
所有 國有
管理 慶南 慶州市
參考 遺物 / 佛敎彫刻/ 石造/ 佛像
位置
 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大韓民國)
住所 慶北 경주시 인왕동 山56番地
座標 北緯 35° 49′ 00″ 東京 129° 13′ 46″  /  北緯 35.81667° 東京 129.22944°  / 35.81667; 129.22944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慶州 南山 佛曲 磨崖如來坐像 (慶州 南山 佛谷 磨崖如來坐像)은 慶州市 南山 佛曲에 있는 三國時代 新羅 磨崖佛 坐像이다.

1963年 1月 21日 寶物 第198號 慶州남산佛曲石佛坐像 (慶州南山佛谷石佛坐像)으로 指定되었다가, 2010年 8月 25日 現在의 名稱으로 變更되었다. [1]

槪要 [ 編輯 ]

慶州 南山 東쪽 기슭 部處 골짜기의 한 바위에 깊이가 1m나 되는 石窟을 파고 만든 如來坐像이다.

佛像의 머리는 頭巾을 덮어쓴 것 같은데 이것은 귀 部分까지 덮고 있다. 얼굴은 둥그렇고 若干 숙여져 있으며, 부은 듯한 눈과 깊게 파인 입가에서는 內面의 微笑가 번지고 있다. 이런 點에서는 仁王里石佛坐像과 類似하지만 全體的으로 姿勢가 아름답고 女性的이다. 兩 어깨에 걸쳐입은 옷은 아래로 길게 흘러내려 佛像이 앉아 있는 臺座(臺座)까지 덮고 있는데, 옷자락이 물결무늬처럼 부드럽게 彫刻되어 全體가 아름답게 調和를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石佛은 慶州 南山에 남아있는 新羅 石佛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三國時代 後期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 佛像으로 인하여 溪谷 이름을 部處 골짜기라고 부르게 되었다.

特徵 [ 編輯 ]

높이 3m, 幅 4m 程度 되는 바위에 높이 1.7m, 幅 1.2m, 깊이 0.6m의 龕室을 파 그 안에 새긴 것으로 佛像의 높이는 1.4m 程度이다. 龕室은 入口가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石窟의 느낌을 주는데 단석산 의 石窟寺院, 軍威 第2石窟庵과 함께 石窟 樣式의 變遷을 硏究하는 데 좋은 資料가 된다. 山竹이 茂盛한 대숲 사이 작은 바위 속에 새겨진 石佛坐像은 彫刻樣式으로 보아 古新羅의 것으로 보이며 現在 남아 있는 南山의 佛像 中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2]

배를 그러안은 듯한 손갖춤을 斟酌할 수 있는 臺의(大衣)나 치마처럼 大義가 座臺를 덮는 상현좌(裳懸座)를 볼 때 백제의 豫算四面石佛 이나 泰安마애삼존불 에서 그 樣式的 先驅를 찾을 수 있다. [3]

얼굴은 高浮彫로 도드라졌으나 몸은 低浮彫로 얕게 彫刻되어 있다. 肉鷄는 낮고 머리는 소발이며 고개를 若干 숙여서 冥想에 잠긴 듯하다. 얼굴은 부드러운 量感으로 彫刻되었는데 광대뼈가 나오고 눈두덩도 불거져 있다. 어깨를 각지게 表現하여 上體가 네모나다. 두 손도 소매에 넣어 가슴에 모아서 全體的으로 네모진 모습이 安定感 있게 보인다. 오른발을 왼발 위에 올렸는데 발이 유난히 커서 三國時代의 큰 손발 表現을 確認할 수 있다. 不義는 洞見인데 두께가 느껴지고 옷깃이 매우 넓어 泰安마애삼존불上에서 볼 수 있는 三國時代 옷깃 彫刻의 傳統을 볼 수 있다. 모든 옷 주름 線은 先覺으로 表現되었다. 소매에서 내리는 線描들은 瀑布처럼 흘러내리고 무릎 위의 先導 물결처럼 겹겹이다. 무릎 아래서 흘러나오는 주름이 2段을 이뤄 臺座를 덮어 상현좌를 이룬다. 이처럼 安定된 構圖, 端雅한 形態, 부드러운 量感을 보이면서도 內面에서 發散하는 佛力을 隱隱히 表現하여 三國時代의 古拙美를 代表하는 佛像이라 할 수 있다. [4] 王卽佛 思想에 依據해서 實際 선덕여왕 의 얼굴이 本尊佛의 모델이라는 김기흥 敎授의 主張이 있다. [5] [6]

寫眞 [ 編輯 ]

各州 [ 編輯 ]

  1. 文化財廳考試制2010-89號(國家指定文化財 寶物指定) , 第17328號 / 官報(程顥) / 發行日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2. 社會 I·文化財 > 門 火 再 > 重要 文化財 > 慶尙北道 > 南山 佛曲石佛坐像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3. 최완수 (2006年 11月 30日 3刷). 《韓國 佛像의 源流를 찾아서 1》. 대원사. 260쪽. ISBN   89-369-0971-1 .  
  4. 문명대 (1994年 12月). “慶州南山佛蹟의 變遷과 佛谷龕室佛像考”. 《新羅文化》. 10·11: 25~26.  
  5. http://www.kjdaily.com/print.php?aid=1495100618408574162
  6. ““瞻星臺, 선덕여왕 꿈 담긴 宇宙木”” . 《慶北日報》. 2004年 10月 15日 . 2023年 11月 18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