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敬虔主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敬虔主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敬虔主義 (敬虔主義, 獨逸語 : Pietismus 피에티스무스 [ * ] , 英語 : Pietism 파이어티즘 [ * ] )는 16世紀末에서 17世紀에 形成되었던 改新敎 正統主義 神學의 克服을 위해 17世紀 유럽 西方敎會 改新敎會 의 獨逸 敎會에서 形成되기 始作하여 유럽 全域에 基督敎人다운 敬虔 生活과 實踐 中心의 宗敎 運動이다. 西方敎會의 正統性을 强調하는 改新敎 內部의 改新敎 正統主義 를 克服하기 위해 神學的 槪念보다 基督敎人의 生活과 實踐을 强調하는 思想이자 宗敎 運動이다. 獨逸에서 始作되어 유럽 全域과 美大陸까지 퍼진 基督敎 活動이었다. 두 番째 宗敎改革 이라고 評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유럽 啓蒙主義 運動의 背景으로 相互 直間接的 影響을 끼쳤고, 유럽 哲學思想과 政治的 思想에도 그 影響을 남겼다. [1]

敬虔主義 用語 [ 編輯 ]

敬虔主義는 敬虔한 生活을 强調하는 敬虔主義 冊子에서 登場하였고, 敬虔主義者에 對한 槪念도 敬虔主義 系列의 冊子를 통해서 나타났다. 敬虔主義는 敬虔에 對하여 理論을 硏究하는 槪念的 活動이 아니라 改新敎徒의 敬虔한 生活을 形成하고, 이루기 위한 實際的인 生活 運動이자 社會的인 基督敎 運動이었다. 敬虔主義의 槪念은 매우 넓은 槪念으로 敬虔主義 思考, 讀書와 實踐, 商業 活動, 社會 開花, 宗敎的 經驗, 學校 設立까지 廣範圍의 影響力을 發揮했고, 17世紀에서 18世紀까지 影響을 주었고, 啓蒙主義 發電의 基督敎的 背景을 마련하였다. [2]

敬虔主義는 基督敎人의 敬虔하고 올바른 生活과 價値觀에 對한 運動이었고, 實際的인 生活을 改善하는 過程이 包含되었다. 基督敎人의 生活과 價値觀, 異性, 經驗을 敬虔하도록 實踐하는 過程이 따르는 宗敎이자 社會 運動이었다. 따라서 旣存 유럽의 잘못된 慣習, 特히 反理性的 活動과 基督敎와 關聯이 없는데도 宗敎의 이름으로 恣行된 蠻行 等에 對한 反省 및 改善을 强調하고 實踐으로 옮겼다. 이 實踐過程과 價値觀은 유럽의 啓蒙主義 運動의 同時代的 背景이며, 基督敎 運動으로 啓蒙主義의 實踐에 直間接的 影響을 끼쳤다. 敎會를 通한 敬虔主義는 유럽 全域에 啓蒙主義 運動과 活動이 發生하도록 하였다. 유럽의 啓蒙主義 思想과 活動은 改新敎 敬虔主義와 뗄 수 없는 關係로 敬虔主義 社會的 發展 形態로 理解할 수 있다. [3]

敬虔主義 發生 時代 背景 [ 編輯 ]

16世紀 에 西方敎會는 宗敎 改革 으로 贊成派人 改新敎會와 反對派인 天主敎會로 나뉘어 國家別 또는 地域別로 區分되었다. 유럽의 中心思想과 社會 基本이었던 西方敎會의 分離는 유럽社會의 政治, 經濟, 文化에서도 改新敎徒와 天主敎徒의 對立으로 完全히 나뉘었다. 16世紀가 지나고 17世紀를 거치며 西方敎會 의 改革 反對派 天主敎會와 改革 贊成派 改新敎會는 完全히 敎派로 分離되어 各自의 正統性을 强調하는 形局으로 變化하였다.

西方敎會의 基督敎人들은 西方敎會의 兩分 以後 社會的으로, 經濟的으로 混亂한 時期를 맞이했다. 西方敎會 改革 贊成派人 改新敎會는 改新敎 正統主義 神學으로 西方敎會의 正統性을 主張했고, 改革 反對派인 天主敎會는 트리엔트 公議會 를 거치며 西方敎會는 分離되고 두 敎派가 西方敎會의 正統性을 主張하며 相互 對立하는 形局이 되었다. 이 狀況에서 大部分이 基督敎人이었던 유럽 社會에서 敎理的으로 天主敎와 改新敎 中 어디에 屬하는지에 對한 質問은 社會生活과 實生活에도 影響을 끼쳤다. 政府의 性向에 따라 改新敎徒의 商人協會와 天主敎徒의 商人協會가 따로 設立되었고, 敎派 差異로 인한 同一 地域內에서도 社會的 交流 斷絶이 나타나기도 했다. 西方敎會는 宗敎改革의 贊成과 反對 立場에서 漸次 敎理的으로, 思想的으로 對立하였고, 그 敎理가 信者들이 經濟的으로 社會的으로 分離, 聯合하는 基準이 되었다. [4]

改新敎會 內部에서도 敎會의 正統性, 卽 正統主義 神學의 敎理的 强調에 重點을 두게 되었고, 改新敎會의 說敎 宣敎 도 基督敎人의 態度와 實踐보다는 敎理의 認定에 重點을 두게 되었다. 漸次 改新敎會는 正統을 强調하는 敎理 中心이 되어갔다. 改新敎의 制度 中心化, 敎理 中心化가 信仰의 實踐, 變化의 經驗을 막는 것에 對한 反省이 나타났고, 이 反省은 獨逸 改新敎會人 루터敎會 의 內部에서 敬虔主義로 發生하여 漸次 全 유럽 全域과 英國과 美主義 改新敎會들로 퍼져갔다.

批判 [ 編輯 ]

프란시스 쉐퍼 는 그의 著書 基督敎 宣言 에서 敬虔主義가 플라톤的 靈性 卽, 世界를 靈的인 面과 物質的인 面으로 二等分하는 데에 批判하였다. 卽, 人間 存在의 冢弟的인 側面을 갖지 못한다고 主張하였다. 그것은 基督敎의 知性的인 面을 看過하였다는 것이다. 그러한 結果 個人的인 삶과 全體 文化에 悲劇을 가져왔다고 主張하였다. [5]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敬虔主義". 《맑스事前》, [1]
  2. 정인모. 〈啓蒙과 敬虔의 辨證法: 18世紀 獨逸 思想의 地形도〉. 《信仰과 學問》. 2018. Vol. 23(3). 243-261.
  3. 카터 린드버그. 《敬虔主義 神學과 神學者들》. 李恩宰 옮김. (서울: 基督敎文書宣敎會, 2009)
  4. 디아메이드 脈클로흐. 《宗敎改革의 歷史》. 李恩宰, 조상원 옮김. (서울: 基督敎文書宣敎會, 2011)
  5. Schaeffer, Francis A. (Francis August) (1981). 《A Christian manifesto》 . Westchester, Ill.: Crossway Books. 18-19쪽. ISBN   0-89107-2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