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聞覺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見聞覺知 (見聞覺知, 산스크리트語 : d???a-?ruta-mata-jn?ta , d???a-?ruta-mata-vijn?ta )는 (見)  · (聞)  · (覺)  · (知)가 합쳐진 것으로, 보고  · 듣고  · 깨닫고  · 아는 것을 總稱하는 낱말이다. [1] [2] [3]

(見)  · (聞)  · (覺)은 前5式 마음作用 에 該當하고, (知)는 第6意識 과 이 보다 더 深層의 (識)들의 마음作用 에 該當한다. 따라서, 見聞覺知 (見聞覺知)는 마음 [心] 卽 6式 또는 8式 이 客觀世界를 接觸 하는 것을 總稱한다. 卽 마음 의 모든 認識活動 또는 認識機能을 統稱하는 낱말이다. [1] [2]

한便, 一般的인 意味에서, 見聞覺知가 많다는 것은 經驗이 豐富하다는 뜻으로 解釋되기도 한다. [4]

一般的인 解釋 [ 編輯 ]

一般的으로 널리 쓰이는 解釋에 따르면, (見)  · (聞)  · (覺)  · (知)의 各各은 다음을 뜻한다. [1] [2] 이 解釋은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의 主要 논서 가운데 하나인 《 大毘婆娑論 》 第121卷에 나타난 見解와 一致한다. [3]

따라서 (見)  · (聞)  · (覺)  · (知) 가운데 (見)  · (聞)  · (覺)은 前5式 과 關聯된 마음作用 을 말하고, (知)는 第6意識 또는 그 보다 더 深層의 第7末那識 또는 第8阿賴耶識 과 關聯된 意識作用 을 말한다.

全體的으로 말하자면, 見聞覺知 (見聞覺知)는 마음 [心] 卽 6式 또는 8式 이 畏敬(外境) 卽 客觀世界를 接觸 하는 것을 總稱한다. [1] [2]

잡집論의 解釋 [ 編輯 ]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의 主要 논서 가운데 하나인 안혜 의 《 잡집론 》에 따르면 見聞覺知(見聞覺知)의 解釋은 一般的인 解釋과는 多少 差異가 있다. 《 잡집론 》에 따르면 (見)  · (聞)  · (覺)  · (知)의 各各은 다음을 뜻한다. [5] [6]

먼저, '見聞覺知(見聞覺知)하여 把握한 意味[義]'라는 낱말이 使用되는데, 《 잡집론 》에 따르면, 이것은 絹衣 (見義)  · 問議 (聞義)  · 角의 (覺義)  · 知의 (知義)를 統稱하는 낱말이다. [5] [6]

  • 絹衣 (見義): 보아서 把握한 意味라는 뜻으로, 眼根 으로 報告 받아들인 것[眼所受]을 말한다.
  • 問議 (聞義): 들어서 把握한 意味라는 뜻으로, 이근 로 들어서 받아들인 것[耳所受]을 말한다.
  • 角의 (覺義): (覺) 卽 (尋)으로 把握한 意味라는 뜻으로, 絹衣 問議 에 應하여 自然히 저절로 생각[思]李 構成[?]되어 把握한 것을 말한다. 例를 들어, (尋)의 마음作用 이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思)와 相應 하여 저절로 大綱 그린[?] 것을 말한다.
  • 知의 (知義)는 (知) 卽 (伺)로 把握한 意味라는 뜻으로, 自身의 內部 에서 받아들인 것[自內所受]을 말한다. 例를 들어, (伺)의 마음作用 이 '보고 듣고 저절로 大綱 그려진 것'을 (思) 또는 (慧)와 相應 하여 敵으로 意識的으로 '細密하게 살펴서 把握한 것 또는 그린 것'을 말한다.

見聞覺知와 賞(想) [ 編輯 ]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의 主要 논서人 無着 의 《 집론 》과 안혜 의 《 잡집론 》에 따르면, (想, 表象作用)의 마음作用 5溫 가운데 常溫 (想蘊)에 該當하는데, 救療上 (?了相) 卽 要별 을 構成하는 性質을 本質的 性質 [相]로 하는 마음作用 이다. [7] [8] [5] [6]

집론 》과 《 잡집론 》에 따르면, (想)의 마음作用 이 있기 때문에 유정 은 갖가지 의 上流(像類) 卽 模樣과 類型을 構成하여 그려낼 [??] 수 있으며, 見聞覺知(見聞覺知)하여 把握한 意味[義]에 따라 갖가지 言說 (言說) 卽 說明하는 을 일으킬 수 있다. 卽 言語 는 見聞覺知에 依해 把握된 意味[義]를 바탕으로 일어나는 (想) 卽 表象作用 槪念 들을 바탕으로 생겨난다 . [7] [8] [5] [6]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耘虛 , " 見聞覺知(見聞覺知) ". 2013年 4月 1日에 確認
    "見聞覺知(見聞覺知):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觸感을 알고, 뜻으로 法을 아는 것. 心識(心識)이 客觀世界에 接觸함을 總稱."
  2. 星雲 , " 見聞覺知 ". 2013年 4月 1日에 確認
    "見聞覺知:   乃心識接觸外境之總稱。?眼識之用?見,耳識之用?聞,鼻舌身三識之用?覺,意識之用?知。大日經疏卷一(大三九?五八二上):「如來五眼,以菩提心畢竟淨故;以一切種觀一切法,了了見聞覺知,無所??,能持如是金剛印。」又據瑜伽師地論卷二載,依見聞覺知之別,言說有依見言說、依聞言說、依覺言說、依知言說四種。〔雜阿含經卷十三、中阿含經卷四十九、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大智度論卷四十、瑜伽師地論卷五十六、成唯識論述記卷八〕 p3003"
  3. 佛門網 , " 見聞覺知 ". 2013年 4月 1日에 確認
    "見聞覺知:
    出處: 朱?煌《法相辭典》字庫
    解釋: 見聞覺知===大毗婆沙論一百二十一卷十頁云:此中眼識所受,名見;耳識所受,名聞;三識所受,名覺;意識所受,名知。說四境故。見聞覺知,是根非識。然?識者;顯眼等根,必由識助,方能取境。以同分根,能有作用;非彼同分故。問:何故眼等,三識所受,各立一種;而鼻舌身三識所受,合立一種,名?覺耶?尊者世友說曰:三識所緣,皆惟無記。境無記故;根立覺名。又以三根惟取至境。與境合故;立以覺名。大德說言:惟此三根,境界鈍昧,猶如死屍;故發識時,說名?覺。有餘師言:眼耳二識,依自界緣自他界;意識依自他界緣自他界;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依自界,惟緣自界;故彼所受,合立一種。如自界他界,同分不同分,說亦爾。有餘師言:眼耳二識,依同分,緣同分不同分;意識,依同分不同分,緣同分不同分;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種,惟依同分,惟緣同分;故彼所受,合立一種。此說界同分。有說:眼耳二識,依無記,緣三種;意識,依三種,緣三種;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依無記,惟緣無記;故彼所受,合立一種。有說:眼耳二識,依近,緣近遠;意識,依近遠,緣近遠;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依近緣近;故彼所受,合立一種。此三根境,無間而住,方能發識;故名?近。有說:眼耳二識,或所依大,所緣小,或所緣大,所依小,或所依所緣等。眼識所依大所緣小者:如見毛端等。所緣大所依小者:如見山等。所依所緣等者:如見蒲萄果等。如是耳識,如量應知。意識所依,雖不可說其量大小;而所緣境,或小或大,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所依所緣,大小量等。故彼所受,合立一種。隨所依根,極微多少,與爾所境極微合時,方能發生鼻等識故。有說:眼等三識,緣業非業;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非業;故彼所受,合立一種。有說:眼等三識,緣持戒犯戒,及緣餘法;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餘法;故彼所受,合立一種。有餘師言:眼等三識,通緣律儀,不律儀,及餘法;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餘法;故彼所受,合立一種。有說:眼等三識,通緣表及餘法;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餘法;故彼所受,合立一種。有說:眼等三識,通緣染不染法;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不染;故彼所受,合立一種。有說:眼等三識,通緣妙行惡行,及緣餘法;故彼所受,各立一種。鼻等三識,惟緣餘法;故彼所受,合立一種。由此所說見聞覺知,隨識依緣,有別有總。
    出處: 佛?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ruta-mata-jn?ta, d???a-?ruta-mata-vijn?ta.
    頁數: P.3414"
  4. 早期型 (2011), 《漢字成語·고사명言句事前》, 〈 見聞覺知(見聞覺知) 〉, 이담북스 / 네이버 知識百科. 2013年 4月 1日에 確認.
    "見聞覺知(見聞覺知):
    漢字 뜻과 音: 볼 犬, 물을 문, 느낄 各, 알 지.
    풀이: 보고 듣고 깨닫고 앎. 곧 經驗이 豐富함."
  5. 안혜 兆, 現場 漢譯 & T.1606 , 第1卷. p. T31n1606_p0695c07 - T31n1606_p0695c11 . 上(想)
    "問想蘊何相。答?了相是想相。由此想故??種種諸法像類。隨所見聞覺知之義起諸言說。見聞覺知義者。眼所受是見義。耳所受是聞義。自然思?應如是。如是是覺義。自內所受是知義。諸言說者。謂詮辯義。"
  6. 안혜 지음, 現場 漢譯, 이한정 飜譯 & K.576, T.1605 , 第1卷. p. 7 / 388 . 上(想)
    "‘常溫’은 그 模樣이 어떠합니까?
    認識하는 模樣이 ‘常溫의 模樣’이다. 常溫으로 因해서 온갖 모든 法(法)의 模樣을 認識하는 것이니, 그 報告 듣고 知覺하고 理解하는 理致에 隨伴해서 갖가지 言說(言說)을 일으킨다고 말한다.
    [釋] 여기서 ‘報告 듣고 知覺하고 理解하는 理致’란 눈으로 느껴 받아들이는 것이 보는 理致이고 귀로 느껴 받아들이는 것이 듣는 理致이니, 저절로 생각으로 그려내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이것이 知覺하는 것의 理致이다. 自身의 內部에서 느껴 받아들이는 바가 ‘理解한다는 것의 理致’이다. ‘갖가지 言說’이란 말로써 풀어내는 理致이다."
  7. 無着 兆, 現場 漢譯 & T.1605 , 第1卷. p. T31n1605_p0663b05 - T31n1605_p0663b07 . 上(想)
    "想蘊何相。?了相是想相。謂由想故。??種種諸法像類。隨所見聞覺知之義起諸言說。"
  8. 無着 지음, 現場 漢譯, 이한정 飜譯 & K.572, T.1605 , 第1卷. p. 3 / 159 . 上(想)
    "常溫(想蘊)은 그 模樣이 어떠합니까?
    認識하는 模樣이 常溫의 模樣이다. 常溫으로 因해서 온갖 諸法(諸法)의 模樣을 認識하는 것이니, 그 報告 듣고 知覺하고 理解하는 理致에 隨伴해서 갖가지 言說(言說)을 일으킨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