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여러 유럽 言語의 格 個數.

言語學에서 (格, grammatical case) 또는 자리 名士 에 關聯된 文法 範疇 의 하나로 該當 名詞가 文章에서 어떤 通史的 機能을 하는지 表現해 주는 것을 말한다.

西歐 言語學의 傳統的에서는 名士 形容詞 에 關聯된 文法 範疇로 , , 格이 論議되어 왔다. 이것은 인도유럽어족 의 特性에서 나온 分析이다. 苦戰 인도유럽어人 古代 그리스어 라틴語 에서 名詞와 形容詞는 形態가 變化하여 性, 數, 格의 文法的 意味를 表現했으며 現代의 인도유럽어들에도 이러한 現象이 남아있다. 이러한 名詞의 形態 變化를 曲用 이라고 한다.

嚴密한 意味에서 格은 이러한 印度유럽語族의 現象에서 보듯이 名詞의 曲用 을 통해 表現되는 文章에서의 機能, 代表的으로 動詞와 맺고 있는 關係를 나타내는 文法 意味를 말한다.

그러나, 格이라는 用語는 名詞의 曲用이 없는 言語에 對해서도 널리 使用된다. 韓國語 調査 와 같이 文法的인 關係를 標示하는 標識가 나타나는 境遇에도 格으로 指稱하며, 英語 의 境遇에서처럼 名詞의 形態 變化는 全혀 없지만 文章에서의 位置에 따라 通史的 機能이 定해지는 境遇에도 格이라고 한다. 韓國에 잘 알려진 外國語들의 境遇를 例로 들어 보면:

여기서 더 나아가, 라틴語 曲用 과 같은 形態論 的 要素나, 韓國語 調査 와 같은 形態-統辭論 的 要素, 또는 英語 의 名詞의 位置와 같은 統辭論 的 要素가 아니더라도 名詞의 文章 內에서의 機能 또는 役割을 意味上으로 區分할 수 있을 때 그 文法 意味를 格으로 指稱하기도 한다.

格의 目錄 [ 編輯 ]

格은 形態와 意味에 따라 다양하게 分類된다. 格 代身에 '자리'라는 用語를 使用하는 境遇도 存在하며 大韓民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 學界에서 使用되는 用語 사이에도 相當한 差異가 있다.

格은 言語別로 다른 方式, 다른 區分으로 定義된다. 例를 들어 印歐語 에서는 主格-待擊-與格-奪格-俗格-呼格-處格-具格의 8分類가 人口造語 로부터 이어져왔다는 說이 一般的이다. 한便 普遍文法이나 意味論에 依據하여 言語들의 格을 一律的, 普遍的으로 區分하려는 試圖도 있다.

韓國語 硏究에서 [ 編輯 ]

傳統的 韓國語 硏究에서, 隔意 區分은 體言에 붙는 調査의 文法的 機能을 나타내기 위해 使用된다. 이는 普遍的 文法論에서 일컫는 意味論的 格 分類와는 範圍나 區分이 다를 수 있다.

  • 主格(主格): 主格助詞 '-李/가'에 主語로도 使用되는 '-에서/께서'까지 包含한다.
  • 敍述格(敍述格): 繫辭 '-이다'를 반드시 名士와 結合한다는 데서 敍述格 助詞라 稱한다.
  • 冠形格(冠形格): 俗格 을 이른다.
  • 目的格(目的格): 對格을 이른다.
  • 補格(補格): 敍述語가 '되다' 또는 '아니다'인 境遇에 붙는 '-李/-가'는 主格과는 意味上 差異가 發生하므로 補格 助詞라 特稱한다. 이를 陵格性 (ergativity)으로 說明하는 學者도 많으나 反論도 있다. [1]
  • 副詞格(副詞格): 體言을 副詞語로 만든다.
  • 呼格(呼格): 呼格을 이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年 재훈. (2008). 韓國語에 陵格性이 存在하는가: 陵格의 槪念과 다양한 使用. 《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