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게르하르트 폰 샤른호르스트
Gerhard Johann David von Scharnhorst
出生地 하노버 보르데나우
死亡地 프라하
忠誠 對象 프로이센
服務期間 1778年 - 1813年
最終階級 中將
主要 參戰 나폴레옹 戰爭
기타 履歷 프로이센 參謀本部 初代 總長
徐薰 프루 르 메리트 勳章

게르하르트 요한 多피트 폰 샤른호르스트 (Gerhard Johann David von Scharnhorst, 1755年 11月 12日 - 1813年 6月 28日 )는 프로이센 王國의 軍人이다. 프로이센의 軍制改革에 莫大한 影響을 끼쳤고, 參謀本部의 初代 總長으로서 나폴레옹 戰爭 中에 프로이센軍을 指導했다. 後任인 아우구스트 나이트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와 더불어 參謀本部制度 誕生의 아버지로서 軍事上에서도 特筆할 만한 人物이다.

生涯 [ 編輯 ]

1755年 11月 12日 샤른호르스트는 하노버 의 富農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父親은 예전에 騎兵隊의 下士官이었기에 그 影響으로 軍隊에서 成功할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1773年 샤른호르스트는 빌헬름스타인 士官學校에 入學하여 軍事理論 및 軍制改革에 對해서 工夫했다. 1778年 하노버軍에서 少尉로 軍 生活을 始作했고, 처음엔 起兵連帶 附屬學校의 敎官으로 任命되었다. 1783年 中尉로 昇進해 砲兵學校의 敎官으로 옮겼다. 그때부터 샤른호르스트는 軍事에 關聯된 多數의 論文 및 雜誌, 書籍을 出版하기 始作했다. 그가 創刊하고 編輯을 맡은 『軍事저널』은 1805年까지 出版을 繼續해 廣範圍하게 유럽에서 읽혀지게 되었다. 1788年 出版된 『將校를 위한 應用軍事科學(Handbuch fur Offiziere in den anwendbaren Teilen der Kriegswissenschaften)』 및 1792年 出版된 『野戰必携 [1] (Militarisches Taschenbuch fur den Gebrauch im Felde)』는 여러 番 增刊되었다. 出刊된 書籍 모두 높은 評判을 불러 일으켜, 샤른호르스트는 軍事理論家로 有名해졌다.

1792年 샤른호르스트는 大尉로 昇進했다. 1793年 하노버 프랑스 革命 戰爭에 參加하고 샤른호르스트는 砲兵將校로서 요크 工作 프레더릭 의 麾下에서 네덜란드 의 作戰에서 從事했다. 1793年 9月 6日부터 8日에 걸쳐 벌어진 魂드스크트 戰鬪 에서 샤른호르스트는 我軍의 後退를 支援해 첫 戰功을 세웠다. 1794年 메닌이 프랑스軍에게 包圍되었다. 當時 하마슈타인 將軍의 麾下에 있던 샤른호르스트는 包圍網에 갇힌 我軍의 救出作戰을 構想해 直接 部隊를 이끌고 救援軍에 加勢했다. 이 作戰은 成功해 市內의 我軍은 救出되었다. 샤른호르스트의 功績은 높은 評價를 받아, 하마슈타인 의 推薦으로 少領으로 昇進하여 하노버 參謀本部에 參加했다. 이때까지의 戰鬪로 샤른호르스트는 單純한 理論家일 뿐만 아니라 實戰指揮官으로서도 有能하다는 것을 證明하였다. 또한 1803年에는 이 메닌 의 攻防戰을 考察한 『메닌視 防衛(Vertheidigung der Stadt Menin)』란 書籍을 出版했다.

1795年 3月 5日 바젤 條約 後 샤른호르스트는 하노버로 歸國했다. 프랑스 革命軍의 勝利要因을 考察하고 軍事저널에 『프랑스 革命軍의 勝利原因(Die Ursachen des Glucks der Franzosen im Revolutionskrieg)』이란 題目의 論文을 記載했다. 이 論文 속에서 샤른호르스트는 프랑스軍의 强力함은 第一 첫 番째로 뛰어난 組織에 있다고 보고, 그 背景에는 國民國家라는 프랑스 讀者의 社會體制에 있다는 것을 看破했다. 이것은 샤른호르스트의 論文 中에서도 가장 有名한 것이 되었다. 이미 샤른호르스트의 軍人으로서의 名聲은 確固했고, 各國에서 招聘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1801年 샤른호르스트는 貴族의 稱號와 中領의 地位라는 매우 좋은 條件을 내놓은 프로이센軍에서 勤務하게 되었다. [2]

프로이센에서 샤른호르스트가 最初로 맡은 일은 베를린 士官硏究所의 敎官이었다. 當時 硏究所 所長은 兵站總長 [3] 고이자우 가 兼任하고 있었으나, 바쁜 그는 샤른호르스트에게 全權을 委任했다. 샤른호르스트는 硏究所의 講義內容을 크게 고치고, 熱心히 젊은 將校 敎育에 힘썼다. 그의 講義를 받은 將校 中에는 클라우제비츠 그로르망 , 티데만 等 後날 프로이센군 改革에 힘을 發揮한 이들이 多數 輩出되었다.

1802年 1月 24日(프리드리히 大王의 誕生記念日) 샤른호르스트는 同僚와 더불어 軍事協會를 設立하고 프로이센軍의 改革을 徐徐히 進行해 나아가면서 意見交換을 할 수 있는 場所를 만들었다. 1804年 샤른호르스트는 硏究所의 組織을 再編하여 기초적인 將校敎育을 擔當하는 硏究所外에 高度의 敎育을 專門으로 하는 베를린 陸軍士官學校(後날의 베를린 陸軍大學)를 設立하였다.

이렇게 軍內部의 意識改革부터 始作해 나갔던 샤른호르스트였으나, 會心의 軍制改革은 그리 簡單하게 實行에 옮기지 못했다. 改革을 妨害하는 最大의 原因은 7年 戰爭 以來의 功臣들의 存在였다. 프리드리히 大王의 아래에서 프로이센軍의 榮光을 擔當했던 選任 將校들은 이미 確立된 從來의 方針을 바꾸는 것을 願하지 않았던 것이다.

1804年 마센 바흐의 提案으로 因해 兵站總長富의 再編이 이루어졌다. 샤른호르스트는 兵站總長部 第3旅團長(參謀本部 次長에 該當된다)에 任命되었다. 다만 이 時點에서 明確한 權限 및 責任이 規定되지 않아서 將軍의 相談相對의 役割을 벗어나지 못했다.

1805年 프랑스는 아우스터리츠 戰鬪 에서 勝利하고 第3次 大프랑스 同盟 을 붕괴시켰다. 나폴레옹은 라인 同盟 을 結成하고 이것으로 그의 霸權은 獨逸 中部에까지 미치게 되었다. 이에 危機感을 느낀 프로이센은 1806年 第4次 大프랑스 同盟 에 參加해 프랑스에 對해 宣戰布告를 했다. 그러나 얼마안가 프로이센군은 10月 14日 예나-아우어슈테트 戰鬪 에서 프랑스軍에게 大敗했다. 敗走 中에 샤른호르스트는 블뤼허 의 軍과 合流했다. 프랑스軍은 프로이센 本土까지 侵攻해 모든 領土가 프랑스의 支配下에 들어갔다. 11月 5日 블뤼허와 샤른호르스트의 軍은 뤼벡크 에서 降伏하였고, 다음날 6日 마그데부르크 에서 바이마르 工作 그나이제나우 의 軍隊도 降伏해 國內의 프로이센군은 消滅되었다. 國王 프리드리히 빌헬름 3歲 는 側近과 더불어 쾨니히스베르크 로 逃亡쳤다.

捕虜交換으로 釋放된 샤른호르스트는 쾨니히스베르크로 가서 레스토크 將軍의 補佐官이 되어 軍隊 再建에 힘을 기울였다. 1807年 2月 7日 및 2月 8日 벌어진 아일라우 戰鬪 에서 雙方은 큰 被害를 입고 끝났으나, 샤른호르스트는 뛰어난 作戰地圖를 認定받아 프루 르 메리트 勳章을 授與받았다. 같은 해 7月 7日 틸지트 條約 에 依해 프로이센과 프랑스는 强化를 締結했다. 講和 後 샤른호르스트는 軍備再編委員會의 議長으로 任命되어 本格的인 軍制改革에 着手하게 되었다. 그나이제나우, 보이엔, 그로르망 等 그와 意見을 함께하는 將校들이 委員에 任命되어 改革을 補佐했다. 1808年부터는 클라우제비츠도 이 委員에 加勢했다.

샤른호르스트는 곧 예나-아우어슈테트 戰鬪의 敗因을 硏究했다. 그는 프랑스軍과 獨逸軍의 軍事力의 差異는 本質的인 組織 및 指揮統制의 質의 差異에 있다고 생각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의 卓越한 指揮와 그에 相應하는 프랑스軍의 柔軟한 軍士編成이 勝利를 불러들인 것이다. 이에 對抗하기 위해서는 프로이센軍을 根本부터 변화시키는 大改革이 必要했다.

當時 프로이센軍은 傭兵主體의 軍隊였다. 將校는 貴族出身者들이 차지하고 있었고, 平民出身 將校에게는 出世의 길은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프랑스를 除外한 他國의 軍隊에서도 마찬가지였기에 샤른호르스트가 프로이센에 任官하기 前에 貴族의 地位를 要求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그런데도 그는 性이 안찼기에 同僚로부터 白眼視當했다). 샤른호르스트의 改革의 要點은 이러한 舊習을 打破하는 것이었다.

1808年 軍事에 關聯한 事務를 處理하는 一般軍士部와 그中에서도 經濟에 關聯된 事務를 處理하는 軍事經濟部가 創設되고, 샤른호르스트는 一般軍士富의 部長이 되었다. 이것으로 인해 그는 改革을 위한 實權을 손아귀에 쥐게 되었다. 같은 해 8月 프로이센은 義務 兵役制度를 導入했다. 다만 實際 徵兵이 이루어진 것은 프랑스와의 戰爭이 開始된 1813年 때부터였다.

1808年 12月 一般軍士部와 軍事經濟部는 統合되어 軍事에 關聯된 業務 一切를 取扱하는 軍事性이 誕生하고 初代 軍事上에는 國王의 側近 로툼 伯爵 이 就任했다. 軍事性은 軍事總務局과 軍事主計局의 2個의 富國으로 나뉘어 샤른호르스트는 軍事總務局長으로서 實務를 擔當했다. 軍事總務局은 國王의 相談役을 맡는 第1師團, 君의 統括을 맡는 第2師團, 兵器 監査를 擔當하는 第3師團의 3個 富國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샤른호르스트는 제2사단감독(국장)을 兼任했다. 이 第2師團이 後날의 參謀本部의 原形이 되었다. 또한 第2師團은 옛 兵站總長部와 같은 役割을 遂行했기 때문에 제2사단감독은 兵站總長이라고 불렀다.

베를린 에 있는 샤른호르스트 彫刻像

1809年 프로이센군의 編成은 제병과 聯合의 社團 ( 旅團 )을 中心으로 變更되었다. 샤른호르스트는 各 師團에 參謀將校를 配屬시켜 中央에서 내린 指示의 徹底함과 作戰行動市의 獨自性 向上에 重點을 두었다. 또한 샤른호르스트는 平民(主로 부르주아 )에게서 積極的으로 將校를 採用하였다. 이것은 參謀將校 倍速으로 增加된 將校의 需要를 補完하기 위해서이면서도 結果的으로 平民의 軍隊 參加를 促進시켰다. 平民의 政治參與가 許諾되지 않던 프로이센에서는 國政에 影響力을 끼칠 수 있는 軍隊는 平民에겐 魅力的인 就職자리였다. 1810年 샤른호르스트는 陸軍士官學校를 陸軍大學으로 變更하고, 거기서 入學希望者의 範圍를 넓혔다.

그러나 이런 積極的인 改革은 나폴레옹의 警戒心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憤怒를 사는 것을 두려워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3世는 샤른호르스트에게 改革을 一時 中止할 것을 命令했다. 1811年 프랑스가 러시아 遠征 의 準備를 進行해 나가던 途中, 샤른호르스트는 러시아 帝國 과 프로이센의 同盟締結을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 로 向했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3世는 그가 歸國하기 前에 나폴레옹의 脅迫에 屈服하여 프랑스와의 同盟을 決定했다. 이에 失望한 샤른호르스트 및 그나이제나우 等 改革派 將校들은 프로이센軍을 떠나 슐레지엔 으로 亡命하거나, 一部 將校는 러시아軍에 投身했다.

1813年 나폴레옹의 러시아 遠征이 失敗로 끝나자 샤른호르스트는 프로이센軍에 다시 한 番 招聘되었다. 샤른호르스트는 다시 兵站總長(參謀總長)李 되었고, 얼마안가 中將으로 昇進해 프로이센군 總司令官 블뤼허 의 곁에서 國家 間 戰爭 을 指導하게 되었다. 샤른호르스트는 그나이제나우를 選任參謀將校로 임명하고 그와 더불어 作戰樹立을 擔當했다.

같은 해 3月 프로이센군은 攻擊을 開始했다. 5月 2日 서전人 뤼첸 戰鬪 에서 프로이센軍은 敗頹하고 샤른호르스트는 정강이에 銃傷을 입는 負傷을 當했다. 그런 渦中에도 샤른호르스트는 오스트리아 帝國 을 友邦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傷處를 안고 빈으로 向했다.

6月 28日 傷處가 惡化되어 敗血症 에 感染된 샤른호르스트는 프라하 에서 죽었다. 그나이제나우와 클라우제비츠는 共同으로 追悼의 便紙를 썼으나, 그의 業績은 아직 評價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理由로 政府는 그 公表를 認定하지 않았다. 그나이제나우는 猛烈히 抗議를 繼續해 公表를 認定받았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世는 라우퍼에게 命令하여 베를린에 샤른호르스트의 彫刻像을 乾燥하게 하였다.

評價 [ 編輯 ]

近代 參謀本部制度 誕生의 아버지로서 샤른호르스트의 業績은 매우 높은 評價를 받았다. 그 以外의 經歷을 보더라도 總體的으로 뛰어난 軍人이란 評價는 흔들리지 않는다. 하노버群 時代에는 野戰指揮官으로서 有能하다는 것을 證明하고, 雜誌, 書籍의 出版으로 軍事理論家로서 名聲을 確立했다. 프로이센에 任官하여 그곳에서 活躍의 場所를 넓혀 敎育者로서 클라우제비츠, 그로르망等 뛰어난 弟子를 育成하고 組織改革者로서 프로이센軍의 엄청난 改革에 成功했다. 參謀總長으로서 戰爭을 指導하던 時期는 짧았으나 國家 間 戰爭에서는 大膽한 作戰을 樹立해 後任 參謀總長 그나이제나우는 그 基本構想을 물려받았다.

클라우제비츠에 依하면, 샤른호르스트의 風貌는 軍人 같지 않다고 한다. 貴族的 風采를 요하는 프로이센군 將校 中에서 그는 야무지지 않은 모습이었어도 平衍하였다. 무뢰하고 傲慢한 貴族將校가 많은 가운데, 그는 知的이며 조용하였다. 恒常 憂愁에 잠긴 雰圍氣를 품겼으며, 하노버 말을 使用하는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를 哲學者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人間的인 魅力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敎官時節에는 親切하게 손수 指導해 주었고, 參謀總長時節에는 優秀한 人材를 出身에 關係없이 받아들여, 모든 이들의 깊은 尊敬을 얻었다. 클라우제비츠는 샤른호르스트를 第2의 아버지라고 敬愛했다. 샤른호르스트의 業績을 물려받아 完成시킨 클라우제비츠는 自身을 그의 베드로(예수 그리스도의 弟子, 사도)에 不過하다고 말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野戰視 반드시 携帶할 物件
  2. 하노버軍에서는 貴族出身이 아닌 샤른호르스트는 많은 差別을 받아 軍制改革의 提案도 後退했다.
  3. 當時 프로이센에서는 參謀本部는 兵站總長部라고 불리고 있었다.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書籍 [ 編輯 ]

  • ヴァルタ??ゲルリッツ著、守屋純?『ドイツ?謀本部興亡史』?習?究社
  • ピ?タ??パレット著、白須英子?、『クラウゼヴィッツ 「??論」の誕生』、中央公論社
  • 渡?昇一著『ドイツ?謀本部 その?光と終焉』中央公論社
前任
新設
第1代 프로이센 王國 將軍參謀長
1808年 3月 1日 ? 1810年 6月 17日
後任
카를 폰 하케
前任
(新設)
第1代 프로이센 王國 戰爭代身
1808年 ? 1810年
後任
카를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에른스트 폰 하케
前任
구스타프 폰 라우흐
第4代 프로이센 王國 將軍參謀長
1813年 3月 ? 1813年 6月 28日
後任
아우구스트 폰 그나이제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