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게르만 神話의 神 目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게르만 神話의 神 目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 文書는 北유럽 神話 를 비롯하여 게르만系 民族의 神話에 登場하는 神들의 目錄 이다.

男神 [ 編輯 ]

이름 이름의 意味 配偶者 또는 性關係 相對者 子息 登場 文獻
발드르 ( 古代 노르드어 : Baldr , 古代 英語 : Bældæg 노르드어 이름의 意味는 意見 紛紛.
앵글로색슨어 이름은 直譯하면 “燦爛한 낮”이라는 뜻 [1]
난나 포르세티 《메르制부르크 注文書》, 《高 에다》, 《新 에다》, 《데인인의 私的》, 《 레제 年代記 》, 《 베오울프
브라기 ( 古代 노르드어 : Bragi ) ‘詩(詩)’를 의미하는 ‘브라그’( Bragr )와 聯關이 있는 듯. [2] 利鈍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그 外 스칼드 市價들
델링그 ( 古代 노르드어 : Dellingr ) “새벽 餘名” [3] 또는 “燦爛한 者” [4] 노트 다그르 《高 에다》, 《新 에다》
포르세티 ( 古代 노르드어 : Forseti ) “우두머리” [5]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프레이 ( 古代 노르드어 : Freyr ), 프레아( 古代 英語 : Frea ), 윙非 ( 古代 노르드어 : Yngvi ), 잉그( 古代 英語 : Ing ) “君主” [6] 게르드 푤르니르 함부르크 敎區 主敎들의 私的 》, 《高 에다》, 《新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 誤그門드 뒤트의 社트르 》, 《데인인의 私的》, 그外 等等
헤임달 ( 古代 노르드어 : Heimdallr ) “世界를 밝히는 者” [7]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헤르모드 ( 古代 노르드어 : Hermoðr , 古代 英語 : Heremod ) “戰爭의 鬪魂” [8] 言及 없음 스키파 《高 에다》, 《新 에다》, 《베오울프》, 앵글로색슨 王室 族譜들
호드 ( 古代 노르드어 : Hoðr ) “전사” [9]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데인인의 私的》, 《레제 年代記》, 《베오울프》
回니르 ( 古代 노르드어 : Hœnir )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그 外 스칼드 市價들
로두르 ( 古代 노르드어 : Loðurr )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그 外 스칼드 市價들
로키 ( 古代 노르드어 : Loki ) 意見 紛紛함 時귄 , 앙그르보다 , 스바딜파리 나르피 , 발리 , 펜리르 , , 요르門間드 , 瑟레이프니르 《高 에다》, 《新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 로키의 社트르 》, 노르웨이의 룬 市價 들, 덴마크 民譚들 等
메일里 ( 古代 노르드어 : Meili ) “사랑스러운 存在” [10]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뇨르드 ( 古代 노르드어 : Njorðr ) 意見 紛紛함 스카디 , 이름 不明의 女同生 하나 프레이, 프레이야 《高 에다》, 《新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에길의 社가》, 《하우크의 서》, 地名의 어원 等
오딘 ( 古代 노르드어 : Oðinn ), 보덴 ( 서게르만語: W?den), 보타나츠 ( 게르만造語 : W?danaz) 오딘의 이름 目錄 參照. “狂亂” [11] 프리그 (配偶者) , 스카디 (《헤임스크링글라》에만 言及됨) , 군로드 , 要르드 , 린드르 오딘의 子息 目錄 參照 古代 게르만 宗敎의 거의 모든 要素에 登場
오드 ( 古代 노르드어 : Oðr ) “미친놈” [12] 프레이야 흐노스 , 게르세미 《高 에다》, 《新 에다》
歲악스네아트 ( 古代 색슨語 : Saxn?t, 古代 英語 : Saxnat )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古代 색슨의 洗禮 意識, 古代 英國 王室 族譜
토르 ( 古代 노르드어 : Þorr , 古代 英語 : Þunor ), 써나에르( 古代 색슨語: Thunaer (Old Saxon)), 度나르( 南方게르만어: Donar) 천둥 ”. 모두 게르만造語 Þunra R 에서 派生된 이름이다. [13] 시프 (配偶者) , 야른삭사 모디와 마그니 , 스루드 古代 게르만 宗敎의 거의 모든 要素에 登場
튀르 ( 古代 노르드어 : Tyr ), 튜, 티그( 古代 英語 : T?w, T?g ) “新(神)”. 게르만造語 티와츠 (*T?waz)가 어원 [14] 이름 不明. 아마도 致死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스칼드 市價들, 하드리아누스의 壁 祭壇
울르 ( 古代 노르드어 : Ullr ) “榮光” 또는 그 비슷한 意味 [15]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스칼드 市價들, 《데인인의 私的》, 토르스베르크 칼집쇠 ,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地名들
발리 ( 古代 노르드어 : Vali ) “戰鬪의 殺人” 또는 그 비슷한 意味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데인인의 私的》 (步우스Bous라는 이름으로 言及)
비다르 ( 古代 노르드어 : Viðarr ) 아마도 “廣範圍한 支配者” [16]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베이 ( 古代 노르드어 : Ve “聖地” [17] 아마도 프리그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빌리 ( 古代 노르드어 : Vili ) 意志 (will)” [18] 아마도 프리그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女神 [ 編輯 ]

이름 이름의 意味 配偶者 또는 性關係 相對者 子息 登場 文獻
바두헨나 ( 라틴化 게르만어: Baduhenna) ‘바두’( Badu- )는 “戰鬪”를 意味하는 게르만造語 ‘바드와’( *badwa- )와 語源이 같은 듯 하다. “헨나”( -henna )는 首看護師 들의 이름에 자주 나타나는 ‘헤내’( -henae )와 關聯이 있는 듯. [1] 言及 없음 言及 없음 타키투스 의 《 年代記
( 古代 노르드어 : Bil )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베윌라 ( 古代 노르드어 : Beyla ) “암소”, “콩”, “꿀벌” 等이 提案됨. [19] 뷔그비르 言及 없음 고 에다
에이르 ( 古代 노르드어 : Eir ) “平和, 寬容” [20] 또는 “도움, 自費” [21]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에오스트레 ( 古代 英語 : ?ostre ) “東쪽” [22]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時間의 計算
프레이야 ( 古代 노르드어 : Freyja )
프레이야의 이름 目錄 參照
“淑女” [23] 오드 , 프레이 흐노스 , 게르세미 《高 에다》, 《新 에다》, 《 헤임스크링글라 》, 《 소를리의 社트르
프리그 ( 古代 노르드어 : Frigg ) “사랑”이라는 意味의 인도유럽어족 語根에서 由來 [24] 오딘 발드르 《高 에다》, 《新 에다》, 《 데인인의 私的 》, 《 랑고바르드의 歷史
풀라 ( 古代 노르드어 : Fulla ) 아마도 “너그러운” [25] 言及 없음 言及 없음 Merseburg Incantations , 《新 에다》
게피온 ( 古代 노르드어 : Gefjun ) “寄附(giving)”와 關係가 있음. [26] 스쿌드 , 이름 不明의 要툰 하나 去勢한 水素 네 마리 《新 에다》, 《윙링 그 一族의 社가》, 《 볼시의 社트르
게르세미 ( 古代 노르드어 : Gersemi ) “寶物, 貴重한 物件” [27] 言及 없음 言及 없음 《헤임스크링글라》
게르드 ( 古代 노르드어 : Gerðr ) “울타리에 갇힌” [28] 프레이 푤니르 (《헤임스크링글라》) 《高 에다》, 《新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그나 ( 古代 노르드어 : Gna ) “發射하다”라는 意味의 노르드어 ‘그네파’( Gnæfa )와 關係 있는 듯. [29]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굴베이그 ( 古代 노르드어 : Gullveig )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하리餓死 (Hariasa) “머리터럭이 많은 與信”, ‘ 헤르야 ’( Herja )라는 이름의 발키리와 關係가 있는 듯. [30] 言及 없음 言及 없음 도이치 쾰른 에서 發見된 돌( CIL XIII 8185)
( 古代 노르드어 : Hel ) “무언가를 가리거나 숨기는 者” 뒤그비 (《윙링아탈》)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 윙링아탈
흘린 ( 古代 노르드어 : Hlin ) “保護하다”라는 意味의 노르드어 單語 ‘흘레이니르’( hleinir )와 關係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31]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흐레打 ( 古代 英語 : Hretha “有名한 者” 또는 “勝利한 者” [32]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時間의 計算》
흐노스 ( 古代 노르드어 : Hnoss ) “寶物” [31]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일름 ( 古代 노르드어 : Ilmr ) “氣分좋은 香氣”를 意味하는 노르드어 男性名詞 ‘일름’( ilmr )과 柳關係할 可能性 있음. [33]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스칼드 市價들
利鈍 ( 古代 노르드어 : Iðunn ) 아마도 “永遠한 젊음” [34] 브라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이르派 ( 古代 노르드어 : Irfa ) 아마도 “어두운 褐色” [35] 言及 없음 言及 없음 욤스바이킹의 社가 》, 《 냘의 社가
로픈 ( 古代 노르드어 : Lofn ) “讚辭”와 關係가 있는 듯. [36]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난나 ( 古代 노르드어 : Nanna ) “어머니”를 의미하는 ‘난나’( nanna ) 또는 “所重한 存在”라는 意味의 ‘難스’( nanþ- )에서 由來했을 可能性 있음. [37] 발드르 포르세티 《高 에다》, 《新 에다》, 《 데인인의 私的 》, 《 레제 年代記 》, 세트레 빗
네르투스 ( 라틴化 게르만어: Nerthus, 게르만造語: *Nerthuz ) 노르드어 ‘뇨르드’( Njorðr )가 西紀 1世紀 前後로 라틴語化 된 形態인 듯. [38] 言及 없음 言及 없음 게르마니아
뇨룬 ( 古代 노르드어 : Njorun ) 北유럽의 男神 뇨르드 및 로마의 女神 네리오 와 關係가 있는 것으로 推測됨. [39]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skaldic poetry
노트 ( 古代 노르드어 : Nott ) “밤[夜]” [40] 나글파리 , 안나르 , 델링그 아우드 , 要르드 , 다그르 《新 에다》
( 古代 노르드어 : Ran ) “도둑, 强盜” [41] 에기르 딸 아홉 名 《高 에다》, 《新 에다》, 《 프리드쇼프의 社가
린드르 ( 古代 노르드어 : Rindr ) ‘브린드르’( *Vrindr )와 關係가 있는 듯 [42] 오딘 발리 《高 에다》, 《新 에다》, 《 데인인의 私的
社가 ( 古代 노르드어 : Saga ) 아마도 “보는 것” [43]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skaldic poetry
산드라우디가 ( 라틴化 게르만어: Sandraudiga) “모래를 붉게 물들이는 女子” [44] 言及 없음 言及 없음 브라반트 北쪽의 돌
시프 ( 古代 노르드어 : Sif ) “사돈지간” [45] 토르 스루드 , 울르 《高 에다》, 《新 에다》
時귄 ( 古代 노르드어 : Sigyn ) “勝利한 愛人” [46] 로키 나르피 , 발리 《高 에다》, 《新 에다》
진트군트 ( 古代高地獨逸語: Sinthgunt) 意見 紛紛함 言及 없음 言及 없음 《메르制부르크 注文書》
쇼픈 ( 古代 노르드어 : Sjofn ) “사랑” [47]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스카디 ( 古代 노르드어 : Skaði ) 北유럽 一帶를 가리키는 ‘ 스칸디아 ’( Scandia )라는 말과 關係가 있는 듯. [48] 울르 , 오딘 , 뇨르드 歲밍그르 《高 에다》, 《新 에다》, 《윙링 그 一族의 社가》
스노트라 ( 古代 노르드어 : Snotra ) “怜悧한 者” [49]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 古代 노르드어 : Sol ), 준나( 古代高地獨逸語: Sunna) “太陽” [50] 글렌 《高 에다》, 《新 에다》, 《메르制부르크 注文書》
( 古代 노르드어 : Syn ) “拒否” [51]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綻破나 ( 라틴化 게르만어: Tanfana) 不明 言及 없음 言及 없음 《게르마니아》, ‘貪派나에 사크룸’ 名文
스루드 ( 古代 노르드어 : Þruðr ) “權力” [52]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칼레비 룬 鼻紋
小게르드 홀哥브루드 ( 古代 노르드어 : Þorgerðr Holgabruðr ) 文字 그대로 “小게르드 笏記의 新婦(Bride)” [53] 言及 없음 笏記, 더 있을 수도 있음 《욤스바이킹의 社가》, 《냘의 社가》, 《詩語法》, 《 페레잉의 社가
바르 ( 古代 노르드어 : Var ) “사랑받는” [54] 言及 없음 言及 없음 《高 에다》, 《新 에다》
보르 ( 古代 노르드어 : Vor ) 아마도 “思慮깊은 者” [55] 言及 없음 言及 없음 《新 에다》
致死 ‘티와츠’( *Tiwaz )와 關聯이 있는 듯 言及 없음 아마도 튀르

各州 [ 編輯 ]

  1. Simek (2007:26).
  2. Simek (2007:43).
  3. Bellows (1936:75).
  4. Orchard (1997:32).
  5. Orchard (1997:46).
  6. Orchard (1997:47).
  7. Orchard (1997:78).
  8. Orchard (1997:83).
  9. Orchard (1997:88).
  10. Simek (2007:210).
  11. Orchard (1997:123).
  12. Orchard (1997:121).
  13. Simek (2007:322).
  14. Simek (2007:337).
  15. Lindow (2001:301).
  16. Orchard (1997:174?175).
  17. Orchard (1997:173).
  18. Simek (2007:363).
  19. Lindow (2001:78).
  20. Lindow (2001:105).
  21. Orchard (1997:36).
  22. Barnhart (1995:229).
  23. Lindow (2001:126)
  24. Lindow (2001:129).
  25. Orchard (1997:49).
  26. North (1997:71).
  27. Simek (2007:106).
  28. Orchard (1997:54).
  29. Lindow (2001:147).
  30. Simek (2007:131).
  31. Lindow (2001:177).
  32. Simek (2007:159).
  33. Grimm (1888:1374).
  34. Lindow (2001:199).
  35. Simek (2007:176).
  36. Lindow (2001:213).
  37. Simek (2007:227).
  38. Lindow (2001:237-238)
  39. Finnur Jonsson (1913:110) suggests a Njorðr connection, Magnusson (1989:671) suggests Njorðr and Nerio.
  40. Orchard (1997:120).
  41. Simek (2007:260).
  42. Simek (2007:266).
  43. Lindow (2001:265).
  44. Nordisk Familjebok (1916:665).
  45. Lindow (2001:266).
  46. Orchard (1997:146).
  47. Lindow (2001:268).
  48. Simek (2007:287).
  49. Simek (2007:296).
  50. Orchard (1997:152).
  51. Orchard (1997:157).
  52. Orchard (1997:165).
  53. Simek (2007:326-327).
  54. Simek (2007:353).
  55. Simek (2007:368).

參考 文獻 [ 編輯 ]

  • Bellows, Henry Adams (Trans.) (1936). The Poetic Edda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 Barnhart, Robert K (1995). The Barnhart Concise Dictionary of Etymology . Harper Collins ISBN   0-06-270084-7
  • Grimm, Jacob (James Steven Stallybrass Trans.) (1888). Teutonic Mythology: Translated from the Fourth Edition with Notes and Appendix by James Stallybrass . Volume IV. London: George Bell and Sons.
  • Lindow, John (2001).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 Oxford University Press . ISBN   0-19-515382-0
  • Nordisk Familjebok (1916). Available online: [1]
  • North, Richard (1997). Heathen Gods in Old English Literatur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5183-8
  •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 Cassell . ISBN   0-304-34520-2
  •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 D.S. Brewer . ISBN   0-85991-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