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鋼鐵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鋼鐵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폴란드의 鐵鋼業 博物館

鋼鐵 (鋼鐵), (鋼), 또는 스틸 (steel)은 炭素 의 含有量이 0.035~1.7%인 이다. 熱處理에 따라 性質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여러 가지 機械, 器具의 材料로 쓴다. 鐵을 主成分으로 하는 金屬 合金이며, 철이 가지는 性能(强盜, 질긴 性質, 自省, 耐熱性 等)을 人工的으로 높인 것이다. 成分敵으로 炭素 의 含有가 0.3%에서 2% 以下의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0.3% 以下에서도 高合金인 스테인리스鋼 , 耐熱鋼 等도 鋼鐵의 範圍에 包含된다. 軟鐵 이나 鑄鐵 과 함께 鐵鋼 (鐵鋼)이라고도 불리고 鋼鐵로 完成된 材料를 鋼材 (鋼材), 板 模樣의 鋼材를 鋼板(鋼板)이라고 부른다.

種類 [ 編輯 ]

  • 亞共析綱
  • 共析鋼
  • 過共析鋼

鐵鋼業 [ 編輯 ]

鐵鋼業 (金屬製造業 또는 金屬工業)은 各種 金屬製品을 製造함에 使用되는 素材(素材)를 製造하는 '第1次金屬製造業'과 여기에서 生産된 金屬素材(金屬素材)를 使用하여 各種 金屬製品을 製造하는 '金屬製品製造業'으로 大別할 수 있다. 그러나 一般的으로 金屬工業이라 하면 제1차금속제조업과 一部 金屬製品製造業을 包含하여 말한다. 이는 生産業體가 한 工場에서 中間製品 또는 完製品까지 만들고 있어 그 區分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金屬工業은 金屬의 性質에 따라서 '鐵鋼工業(鐵鋼工業)'과 '非철金屬工業(非鐵金屬工業)'으로 區分한다. 金屬工業의 거의 大部分을 鐵鋼工業이 차지하므로 金屬工業이라면 普通 鐵鋼業을 뜻하게 되며, 非철金屬工業은 大部分 生産工程上 모두 製鍊(製鍊)이란 工程을 거치게 됨에 따라 通常的으로 '製鍊業(製鍊業)'이라고 한다. 鐵鋼業(鐵鋼工業의 줄인 말)은 鐵鑛石·石炭·古鐵(古鐵 또는 屑鐵) 및 그 밖의 여러 原料를 使用하여 여러 가지 鐵鋼材(鐵鋼材)를 生産하는 重工業 中에서도 가장 基礎가 된다. 産業 各 分野에 必要不可缺한 生産財 또는 消費財를 供給하는 基幹産業으로서 特히 機械工業·建設業·金屬鑛業·造船業 等 他 産業과의 聯關 效果가 가장 큰 産業이다. 鐵鋼業의 主要한 作業工程은 제선(製銑)·製鋼(製鋼) 및 壓延(壓延)의 3部分으로 區別되며, 이 3代 主要 作業工程이 1個 工場에서 連續的으로 이루어지는 作業形態를 鐵鋼 一貫作業이라 하여 鐵鋼業의 理想的인 經營形態로 되어 있다. [1]

鐵鋼業의 特性 [ 編輯 ]

産業의 近代化 乃至 重工業化는 鐵鋼의 大量消費를 基礎로 하고 있으므로 鐵鋼業의 成立과 發展은 産業近代化의 基本與件의 하나가 되고 있는데, 鐵鋼業은 代表的인 期間産業임과 同時에 莫大한 建設費를 要하는 裝置産業(裝置産業)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期間産業으로서의 그 特性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鐵鋼製品은 日常生活의 모든 分野에 必要不可缺한 것인 同時에 郡守倂記(軍需兵器)의 主要한 素材로서 使用되는 等 全 産業에 關聯되며 國民經濟 成長과 擴大再生産을 可能하게 하는 經濟發展의 基礎産業의 性格을 가지고 있다.
  2. 鐵鋼業은 巨大한 設備와 그에 따른 巨額의 固定資本의 投下를 必要로 하고, 製品原價 中 固定設備에 따른 固定費의 比率 卽 製品單位當 資本係數(資本係數)가 他 産業에 비하여 매우 높은 '資本集約的 産業'이라 할 수 있다. 例를 들면 現在 世界의 大鐵鋼企業은 新規 製鐵工場 建設에는 鳥綱(粗鋼)基準 演算(年産) 600萬T∼1,000萬T을 最適規模로 잡고 있다.
  3. 鐵鋼業은 莫大한 各種 原料를 消費하는 産業이다. 卽 鐵鋼材 1T을 生産하기 위하여 鐵鑛石·石灰石·古鐵 等 2.5T의 原料가 使用되고 있으며, 따라서 鐵鋼材 原價(原價) 中 材料費의 比重이 높다.
  4. 이러한 鐵鋼業의 特性에 따라 일찍부터 鐵鋼業은 獨占 乃至 集中度가 重要하여 企業의 統合과 集中化가 强한 傾向이 있다. 現在 鐵鋼業이 發達한 主要國家에 있어서 大體로 鐵鋼生産의 70%∼80%가 몇 個의 企業에 集中되고 있으며, 特히 上位(上位) 4大企業들이 全體에서 接하는 集中度는 美國이 55%, 英國 91%, 西獨56%, 日本이 59%이며, 蘇聯 等 社會主義 共産國家에서는 勿論 國英이고, 英國에서도 國有化되었으며, 印度 等 開發途上國에서도 大部分이 國營이라는 國家的 性格이 剛한 企業形態를 갖고 있는 것은 이같은 性格 때문이다.
  5. 至極히 國際的인 産業이다. 原料輸入, 製品輸出 等에 있어서 國際間 相互關係의 比重의 增大뿐 아니라 輸出市場에 있어서 價格維持, 貿易의 競爭回避를 試圖하는 國際카르텔의 움직임 等 各國 鐵鋼業은 크나큰 影響을 주면서 發展하고 있다. [2]
世界 朝講生産 推移 (單位:百萬T, %) [3] [4]

鳶島


區分

1991

1992

1993

1994

1995

年平均增加率


(1991∼95)

서 有 럽


E U

161.9


148.7

157.4


143.7

158.2


144.2

166.0


151.7

170.8


155.8

1.3


1.2

北 美


美 國

101.4


79.7

107.5


84.2

113.0


88.8

116.2


91.2

121.0


93.6

4.5


4.1

舊 蘇 聯


러시아 [5]

132.8


118.0


62.0

97.8


58.3

78.3


48.8

78.8


51.3

-12.2


-6.1

同 有 럽

22.7

19.5

19.6

22.0

23.2

0.5

아 時 아


일 본


中 國


期 타

249.1


109.6


71.0


68.5

250.7


98.1


80.9


71.7

268.6


99.6


89.5


79.5

271.9


98.3


92.6


81.0

273.2


101.7


93.0


78.5

2.3


-1.9


7.0


3.5

合 界

735.6

723.5

730.8

729.8

749.6

0.5

世界 鐵鋼業의 經營形態 [ 編輯 ]

美國 産業構造高度化에 따른 重厚長대 産業의 退潮와 經濟의 沈滯로 不振한 面을 보여왔으나 1987年 以後 鐵鋼産業의 設備合理化 및 經營多角化에 關聯 需要産業인 自動車·機械 等의 警 記號兆에 힘입어 回復勢를 보이기 始作했다. 鐵鋼消費는 1987年 以後 달러 弱勢에 따른 國際競爭力 回復과 設備投資의 活性化로 美國經濟가 年平均 3%의 成長을 維持한 데다가 鐵鋼消費産業의 景氣好調 持續歲로 增加勢를 보이기 始作, 1988年 111百萬M/T에 達해 前年對比 17.1%의 高伸張率을 記錄했다. 이와 같은 消費增加勢로 朝講生産量度 1989年에는 88.4百萬M/T를 記錄, 1986年 對比 19.5%의 增加를 나타냈다. 이러한 經營與件의 好轉과 함께 美國 鐵鋼業界는 財務構造의 黑字基盤으로의 轉換을 위한 經營合理化를 推進, 設備合理化의 一環으로 老朽한 故로設備의 閉鎖 및 미니 밀(Mini-mill)의 設備擴大를 통하여생산설비의 效率性을 提高하고 人力減縮을 통한 生産性 向上을 圖謀하였다. 또한 收益基盤의 擴大를 위한 經營戰略으로 化學·航空·宇宙·石油事業 分野에 對 韓 進出 等 業種多角化를 積極 推進하여 그 結果 1987年 黑字構造로의 轉換을 達成했다. 美國政府도 鐵鋼産業의 構造轉換을 圓滑히 할 수 있도록 鐵鋼輸出國들과 VRA(voluntary restraint arrangement)를 締結하여 輸入物量을 一定水準에서 制限하는 한便 韓國·日本 等 主要 鐵鋼輸出國 業體와 自國 鐵鋼企業들과의 合作投資를 誘導하여 鐵鋼業體들의 經營合理化의 促進 및 內需物量의 供給擴大를 圖謀할 수 있도록 支援하였다. 生産과 消費面에서 큰 位置를 차지하고 있는 美國은 1994年 競技가 好調를 보이고 鐵鋼業界가 構造改編 및 輕量化를 통해 效率性을 높여 鐵鋼業이 好況을 보였다. 따라서 鐵鋼生産은 8,900萬M/T에 이르렀으며, 內修道 生産과 같이 前年보다 2.2% 增加한 9,900萬M/T에 達하였다. [2]

EU [ 編輯 ]

1980年부터 鐵鋼産業合理化를 推進한 EC 鐵鋼業界는 需要不足에 따른 設備過剩이라는 構造的 不況으로 1986年 追加的인 合理化 事業計劃을 樹立하여 鐵鋼工業을 회생시키기 위한 構造改編作業을 繼續해 왔다. 그러면 不況으로 1986年 追加的인 合理化 事業計劃을 樹立하여 鐵鋼工業을 회생시키기 위한 構造改編 作業을 繼續해 왔다. 그러던 中 1987年부터 世界經濟 環境의 好轉에 便乘하여 EC 各國의 經濟도 急速한 回復勢를 나타내면서 慢性的인 需要不足으로 沈滯에 놓였던 鐵鋼工業度 黑字轉換의 轉機가 마련되었다. EU 地域의 鐵鋼材 消費는 1986年 以後 鐵鋼工業의 回復勢와 더불어 1988年 1億2,020萬t으로 1986年 對備 14.9% 增加하였으나 1990年 1億1,167萬t을 記錄한 以後 持續的으로 減少하여 1993年에는 9,188萬t으로 減少하였다. 조강 生産은 1989年 1億5,250萬t으로 減少하였다. 조강 生産은 1989年 1億5,250萬t에 到達한 以後 오랫동안 비슷한 水準을 回復하지 못하다가 1994年에 1億5,168萬t으로 回復되었다. EU 鐵鋼工業의 條鋼基準 設備能力은 1980年 演算 2億1940萬t에서 1989年에는 1億7410萬t으로 20.6% 減縮되었으며 從事者數 또한 大幅 縮小되었다. 反面에 設備稼動率은 1980年 64.0%에서 1989年 80.4%로 上昇함으로써 生産性 提高와 함께 人件費 節減 等을 통한 原價管理로 國際競爭力 强化의 契機를 마련하였고 鐵鋼製品의 高附加價値化를 圖謀하여 特殊鋼部門에 對한 設備投資에 主力, 그 結果 各國의 全體 鐵鋼生産에서 特殊鋼의 比重이 漸次 上昇하고 있다. 이와 같은 合理化 努力과 需要伸張勢의 持續으로 EC 主要 鐵鋼企業들의 營業實績도 大幅 改善되는 趨勢를 보여 西獨의 Th­yssem·Mannesmann, 英國의 BSC, 프랑스의 Usinor-Sacilor 等 主要 鐵鋼企業들의 純利益은 1986年을 分岐點으로 增加趨勢를 보이고 있다. 또한 EU의 經濟統合은 鐵鋼製品의 域內交易 活性化, 鐵鋼消費産業 景氣好調에 따른 需要急增 等 EU 鐵鋼工業에 肯定的 效果를 미칠 것으로 評價됨에 따라 鐵鋼業界는 이에 對備해 多角的인 經營戰略을 樹立하고 있다. 이러한 經營戰略은 主로 國家競爭力 强化에 集中되고 있는데, 老朽設備의 閉鎖와 企業間 M&A 等에 依한 適正設備의 確保, 高附加價値江 및 신공정技術의 開發을 위한 R&D(硏究開發)의 强化 等에 集中되고 있다. [6]

日本 [ 編輯 ]

1985年 以後 엔貨强勢로 인한 需要減少와 이에 따른 設備過剩으로 賣出額 減少와 함께 1986年에는 當期純利益이 赤字를 記錄하는 等 不況의 兆朕을 보였으나 1987年부터 始作된 鐵鋼工業 合理化事業이 成功的으로 遂行되어 經營危機를 克服하고 活性化되었다. 日本 鐵鋼工業의 合理化事業은 크게 設備 및 人員減縮에 依한 經營合理化와 非鐵鋼部門으로의 事業擴大 等 經營多角化로 나누어 推進되었다. 設備減縮에 있어서는 條鋼基準 生産能力이 1985年 演算 1億5220萬t에서 1989年에는 1億4320萬t으로 6% 減少하였는데 이는 主로 신일본제철·日本鋼管 等 鐵鋼·故로 5社와 其他 電氣爐業體의 設備減縮에 起因한 것이다. 生産能力의 縮小와 反對로 設備稼動率은 1985年 69.1%에서 1989年 75.3%로 上昇함에 따라 朝講生産은 9830萬t에서 1億0790萬t으로 9.8% 增加하였다. 人員減縮面에서는 非鐵鋼部門으로의 從業員 再配置, 他業種으로의 前職 等을 통하여 1985年 17萬9,785名이었던 從事者數가 1988年에는 14萬2,096名으로 21%나 減少되어 製造原價에서 큰 比重을 차지하였던 人件費 負擔이 줄어들어 國際競爭力 回復의 契機가 되었다. 日本 鐵鋼業界는 長期經營戰略 次元에서 收益基盤의 擴大를 위해 鐵鋼專業度를 낮추는 代身에 化學·플랜트·엔지니어링 事業 等 非鐵鋼部門으로의 經營多角化를 積極的으로 推進, 故로 5社의 全體賣出額 中 非鐵鋼部門이 차지하는 比重이 平均 20% 水準을 上廻하여 鐵鋼業界의 收益構造를 改善시키는 데 크게 貢獻하였다. 日本의 鐵鋼工業은 業界의 合理化 努力과 世界 鐵鋼景氣의 回復 및 엔高現象을 克服한 日本經濟의 堅實한 成長으로 鐵鋼需要가 急增함에 따라 經營實績도 大幅 好轉되고 있다. 故로 5社의 經營實績을 보면 賣出額은 1986年 6兆895億엔에서 1989年 7兆2,200億엔으로 18.6% 增加하였으며 同氣間의 經常利益도 554億엔 赤字에서 5,380億엔의 黑字로 轉換됨으로써 鐵鋼業界 收益構造 改善에 貢獻하였다. 1993年 日本의 朝講生産量은 9,962萬t으로 世界 總朝講生産量 7億2,583萬t 中 13.7%를 차지해 1位를 記錄하고 있으며, 1人當 鳥綱消費量도 647kg으로 世界 4位를 記錄하고 있다. 鐵鋼輸出에 있어서도 3,350萬t으로 世界 1位를 차지하고 있어 世界 第1位의 鐵鋼國으로서의 面貌를 굳히고 있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鐵鋼工業
  2.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 鐵鋼業의 特性
  3. IISI
  4. 韓國鐵鋼協會, 『鐵鋼統計年報』, 1996
  5. 러시아의 年平均增加率은 1992∼95年間을 基準으로 計算
  6.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EU
  7.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日本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