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갈리폴리 轉役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갈리폴리 轉役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갈리폴리 戰鬪 에서 넘어옴)

갈리폴리 戰鬪
第1次 世界 大戰 의 一部

갈리폴리 戰鬪
날짜 1915年 4月 25日 ~ 1916年 1月 9日
場所
結果 오스만 帝國軍의 決定的 勝利
交戰國

대영 제국의 기 大英 帝國

프랑스의 기 프랑스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帝國

오스만 제국의 기 오스만 帝國
支援國
독일 제국의 기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 오스트리아-헝가리
指揮官

영국 이언 해밀턴
영국 허버트 키치너
영국 윈스턴 처칠
영국 윌리엄 버드우드
영국 존 디 爐벡
프랑스 앙리 高라드

프랑스 모리스 바이로

오스만 제국 무스타파 케말
오스만 제국 에사트 파샤
오스만 제국 第바트 파샤
오스만 제국 엔베르 파샤

독일 제국 오토 리만 폰 山더스
兵力
5個 師團 (初期)
16個 師團, 568,000餘 名(英國軍 489,000餘 名, 프랑스軍 79,000餘 名 (最終)
6個 師團 (初期)
15個 師團, 315,000餘 名 (最終)
被害 規模
252,000餘 名 死傷 210,000餘 名 死傷

갈리폴리 轉役 (The Gallipoli campaign, Turkish: Gelibolu Muharebesi, Canakkale Muharebeleri or Canakkale Sava?ı) 第 1次世界大戰 當時 英國, 프랑스 聯合軍이 오스만 帝國에 對抗하여 벌인 '다르다넬스 海戰', '갈리폴리 上陸作戰'이 發生한 全域을 의미한다.

聯合軍(英國, 프랑스, 러시아)은 1915年 2月 19日 2月 25日 , 3月 25日 에 各各 다르다넬스 海峽 터키軍 包袋를 砲擊했으나 터키軍의 反擊과 機雷 等으로 인해 3隻의 艦隊가 擊沈되고, 3隻이 大破되었다.

이로 인해 總責任者 윈스턴 처칠 이 銃官職에서 물러나고 英國 海軍의 피셔 提督도 辭任했다. 이에 聯合軍은 새로 任命된 英國 I. 해밀턴 將軍의 指揮 아래에 4月 25日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를 主軸으로 한 英聯邦 및 프랑스軍 7萬 名을 갈리폴리에 上陸시켰다.

하지만 獨逸 帝國 오토 리만 폰 山더스 將軍이 이끄는 獨逸軍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麾下 터키軍의 攻擊으로 失敗했다. 또 터키軍의 兵力을 잘못 把握하여 오스트레일리아 兵士가 8,587名이나 戰死하고 1萬 9367名이 負傷을 當했는데 聯合軍 銃思想者는 25萬 名에 達했으며 터키軍도 21萬 名의 死傷者를 냈다.

背景 [ 編輯 ]

그레이트 게임 [ 編輯 ]

그레이트 게임 (The Great Game, 1813~1907)은 1813年부터 1907年까지 이어진 大英帝國 러시아 帝國 의 戰略的 競爭을 의미한다. 中央아시아에서 印度까지, 그리고 黑海 沿岸에서 極東을 아우르는 유라시아까지 그 霸權을 두고 競爭을 벌였다. 이 競爭에서 러시아는 中央아시아로 南下하여 印度洋의 不凍港 을 確保하는 것이었고, 英國은 이러한 러시아의 南下를 沮止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07年 以後 英國과 러시아는 競爭을 끝내고 獨逸 帝國에 對抗하는 데 焦點을 두었다.

오스만 帝國은 中立을 標榜하면서 英國, 프랑스에게 借款을 받으며, 獨逸로부터는 軍事顧問團을 派遣받아 陸軍의 近代化를 이루는 等 强大國의 勢力 사이에서 中立的인 外交를 펼치고 있었다. 그러나 獨逸이 러시아, 英國에 對抗하며 1次 世界大戰이 勃發하며 오스만 帝國의 中立外交는 깨지게 된다.

第 1次 世界 大戰 [ 編輯 ]

1914年 6月 28日 사라예보 事件 으로 同盟國(大英帝國, 프랑스, 러시아 帝國)李 獨逸, 오스트리아-헝가리 勢力에 對抗하여 戰爭이 勃發하게 된다. 오스만 帝國은 이 戰爭에서 中立을 宣布했으나, 以後 獨逸의 便에 서게 되었다.

北海 地形
발트海 地形

다르다넬스 로의 選擇 [ 編輯 ]

1次 世界大戰의 地圖를 보면, 獨逸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西쪽으로는 英國과 프랑스, 東쪽으로는 러시아와 隣接해있어 英國을 비롯한 同盟國이 獨逸 勢力에 勝利하기 위해서는 러시아로부터의 東쪽에서의 獨逸에 對한 牽制가 반드시 必要했고, 이를 위해서 英國軍은 러시아軍에게 軍需物資 等을 支援하고자 했다. 그러나 獨逸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英國, 프랑스에서부터 러시아에 이르는 유럽大陸의 모든 陸路를 中間에서 遮斷해버렸기 때문에, 同盟國은 바다를 통해 러시아를 支援하고자 하였다. 이 作戰에서 처음으로 候補로 考慮된 바닷길은 約 3가지 길이 存在했다.

  1. 北海 를 통한 支援
  2. 발트海 를 통한 支援
  3. 黑海 를 통해 갈리폴리로의 進入

北海는 波濤가 險難하며 겨울에는 바다가 얼어버리기 때문에 적합하지 못하다고 判斷되었으며, 발트海는 海峽이 매우 좁으며 獨逸軍이 이미 駐屯하였기에 選定에서 除外되었다. 3가지 構想 中 3番째 黑海를 通한 갈리폴리로의 進入이 가장 效率的이라고 判斷한 英國軍은 갈리폴리 地域을 使用하기 위해 오스만 帝國을 本人의 便으로 迎入하려 했으나, 以前에 이미 獨逸과 軍事的으로 두터운 關係를 가졌던 오스만 帝國은 中立을 抛棄하고 獨逸과 함께하게 된다. [1] 그러나 갈리폴리로의 進入을 抛棄하지않은 英國軍은 갈리폴리 上陸, 이스탄불 占領을 通한 黑海의 海上運用權을 얻으려 했고, 이를 爲해서 다르다넬스 海峽을 통해 갈리폴리 進入, 그 後 이스탄불까지의 占領을 目標로 하였다.

다르다넬스 海戰 [ 編輯 ]

다르다넬스 海峽 은 入口의 幅이 約 3.7km이고 黑海 에서 에게海 로 急流가 흐른다. ' 헬레스 串 '에서 Marmara해까지의 距離는 約 66km이다. 海峽의 가장 좁은 部分은 1,500m上流로 約 23km이며 여기서 海峽은 北쪽으로 回轉하여 '나가라' 地點까지 6.4km程度로 넓어진다.

基本的으로 海峽의 幅이 宏壯히 좁고, 急流가 흘러 물살이 빨리지는 自然環境으爐因해 오스만 帝國에서는 이곳을 '요새'라고 불렀다. 다르다넬스 海峽을 가운데에 놓고 兩옆에 海上 防禦 要塞를 만들어 다르다넬스 海上의 防禦 戰線을 形成했다. 具體的으로 에게海에서 '車樂'으로 흘러가는 海峽 兩쪽에 防禦要塞가 建設되어있어 約 6.4km의 防禦線이 構築되어있다. [2]

海峽으로의 進擊 [ 編輯 ]

1914年 12月 러시아가 카르파티안 山脈 에서 오스만 帝國의 攻擊으로 苦戰을 면치 못하면서 도움을 要請했고, 이에 英國은 '사크빌 카르當' 海軍中將의 指揮下에 英國-프랑스 合同艦隊를 다르다넬스로 急派하여 다르다넬스를 攻掠하기로 했다.

1915年 2月 17日 [ 編輯 ]

英國의 아크 로얄의 水上 飛行機가 다르다넬스 海峽 上空에서 偵察 出擊을 始作했다. 첫 攻擊은 이틀 後, 英國의 퀸 엘리자베스 號 를 包含한 英國-프랑스의 艦船들이 海岸에 長距離 砲擊을 始作하면서 海戰이 始作되었다. 2月 25日까지 海峽 入口에 깔려있던 機雷들이 除去되며 英國 王立海兵隊는 海岸에 存在하는 大砲를 除去하기 위해 上陸하여 包袋로 移動했다. 以後 本格的으로 海峽에 進入하기 위해 英國 海軍은 ' 地雷除去函 (minesweeper)'을 海峽으로 派遣하였다. 그러나 오스만 帝國 包袋의 積極的인 牽制로 인해 어려움을 겪자, 처칠 은 英國 海軍 艦隊의 攻勢를 재촉했다. 同時에 다르다넬스 要塞의 海岸 包袋의 彈藥이 바닥나고 있다는 獨逸의 無錢 內容을 喝取한 聯合國은 本格的인 海峽으로의 進擊을 準備했다.

1915年 3月 18日 [ 編輯 ]

다르다넬스의 近接 地形圖

聯合軍 艦隊는 다르다넬스 海峽의 通路를 强制로 開放하기 위해 傳함 18隻과, 巡洋艦, 및 驅逐艦으로 構成된 聯合國의 艦隊는 幅 約 1.6km의 다르다넬스 海峽의 가장 좁은 地點에서부터 攻擊을 始作했다. 艦砲를 發射하여 要塞를 打擊했으나 效果는 적었다. 砲擊을 하는 동안 오스만 帝國 側의 요새는 고요했으나, 聯合國의 戰艦이 가까이 오자 砲擊이 始作되었다. 또한 오스만 帝國은 聯合國의 艦隊들이 다니는 목에 機雷를 미리 設置해놓으며 聯合國을 더욱 壓迫했다.오스만 帝國의 反擊으로 聯合國의 艦隊가 損傷됨에도 優先的으로 海峽의 機雷를 除去하기 위해 機雷除去함이 投入되었다. 그러나 이 機雷들은 機雷除去함에도 探知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프랑스 戰艦이었던 '부베( bouvet )'는 機雷가 터지며 顚覆되었고, 英國의 戰艦人 '이리지스터블( HMS-irresistible )', 또 다른 戰艦人 '人플렉서블( HMS-inflexible )'은 甚하게 損傷이 되어 作戰에서 撤收했다. 英國-프랑스 聯合艦隊는 結局 陷穽의 1/3을 잃었으나 얻은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이러한 다르다넬스 海峽에서의 海戰의 敗北는 갈리폴리 地上作戰 展開에 影響을 미쳤다. [3]

갈리폴리 上陸作戰 [ 編輯 ]

聯合軍의 上陸作戰의 準備 [ 編輯 ]

'Helles 串'에서부터 크리시아까지의 指導

聯合軍은 以前부터 純全히 海軍으로만 元來 意圖했던 攻擊計劃에 對해서 머뭇거리게 되었다. 英國政府가 戰略的으로 混同을 한 것은 政治人들이 從前에 해왔던 無作爲的인 海上介入과는 달리 現在 유럽에서 進行되고 있는 大陸戰爭 參戰의 影響을 理解할 能力이 없음을 보여주게 된 것이다. 以後 英國軍 第 29師團을 中心으로 濠洲-뉴질랜드의 聯合軍 軍團( ANZAC )과 英國海軍師團(RND)가 모여 이안 해밀턴 大將의 指揮下에 들어가게 되었고, 해밀턴 將軍은 갈리폴리 半島로의 上陸作戰을 통해 다르다넬스 海峽을 監製하는 '킬리드 바흐르' 高原을 確保하는 것을 目標로 決定했다.

重要한 것은 地形的으로 狹小하여 防禦하는 側에 유리한 갈리폴리 半島에서 上陸作戰을 어떻게 遂行할 것인가에 對한 苦悶이었다. 더군다나 地中海 遠征軍(MEF)李 集結해서 作戰을 準備하는데 遲延이 不可避했기에, 더 遲延시킬 境遇에는 터키 軍은 防禦强度를 補强하게 될 可能性이 높았다. 따라서 그는 오스만 帝國에 欺瞞作戰을 試圖하여 以後 戰術에 優位를 가져가려는 戰略을 使用했다. [4]

ANZAC軍이 上陸할 當時의 海邊

英國軍은 中心이 되는 第 29師團에 5個의 別途의 上陸部隊가 갈리폴리 半島의 '헬레스 串 [5] '에 上陸하여 作戰하도록 計劃하였다. ANZAC 軍團은 半島의 먼 北쪽 '클리드 바흐르'의 反對쪽에 있는 '가바 테페'의 北쪽海岸에 上陸하기로 決定했다. (ANZAC 群團이 上陸한 이곳의 海邊은 現在 ANZAC海邊이라고 불린다.)

프랑스 軍은 아시아 海邊에 있는 '쿰 칼레'에 上陸하여 英國軍 第 29師團의 後方을 掩護하기로 計劃했다. 오스만 帝國軍을 더 複雜하게 만들기 爲한 양공作戰을 計劃한 聯合軍은, 프랑스 軍이 '베시카'灣에서, 英國 海軍師團은 半島의 목에서 攻擊을 하기로 했다. 터키 君을 混同시키기 위해 해밀턴 將軍은 部隊들을 分割하여 어느 한 場所에서도 그들이 集中되지 않도록 하여 모든 곳에서 失敗 可能性을 열어두었다. 오토 리만 폰 山더스 將軍의 指揮아래 갈리폴리를 守備하고 있는 오스만 帝國 第 5軍은 豫備隊가 危險地域으로 移動하면, 逆襲을 實施하여 聯合軍들을 바다로 쓸어버린다는 計劃을 가지고 있었다. [6]


오스만 帝國의 準備 [ 編輯 ]

오스만 帝國軍의 5軍 配置

다르나넬스 海峽의 地形的 利點과 聯合軍의 잘못된 判斷으로 오스만 帝國은 큰 損失 없이 다르다넬스 海戰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如前히 오스만軍은 聯合軍에 비해 訓鍊이 덜 되었고, 指揮體系가 統一되지 않았으며, 武器體系 또한 統一되지 않았다. 過去 英國의 銃을 輸入하여 使用하다가 獨逸의 軍事顧問을 받던 時期에는 獨逸式 小銃을 使用한 까닭에 彈알의 規格 또한 맞지 않았다. 게다가 大部分의 指揮를 獨逸軍 將校들맡아 意思疏通과 指揮에 對한 問題點이 存在했다. . [7]

다르다넬스 海峽 兩側에 있는 陸地에 聯合國이 上陸하지 못하도록 오스만君은 이 附近에 9師團의 5個 大隊를 配置했다. '헬레스 串에서부터 '가바 테페', '贋作 海邊'까지 이어지는 海岸線에 이를 配置 했다. 갈리폴리 半島의 守備에 있어서 그들은 半島의 稜線 에 있는 高地를 지키는 것이 半島의 守備의 核心이라고 생각했다. 또 발칸 戰爭 當時 불가리아에 對한 作戰을 펼친 적이 있었던 ' 무스타파 케말 '中領은 갈리폴리 半島의 地形에 밝았으며, 이를 통해 敵(聯合軍)李 헬레스 灣과 가바 테페에 上陸할 可能性이 높다고 豫測했다. [8] 또한 그는 英國軍이 半島의 한 곳이 아니라, 多數의 地域에 上陸하여 四方에서 오스만 軍을 흔들것이라고도 豫測했었다.

山더스 또한 '가바 테페'에서 聯合軍이 上陸할 것이라 생각했고, 第 5軍의 約 1/3을 該當支店을 防禦하기 위해 配置했다. 또한 2個 師團은 갈리폴리 半島의 北쪽 끝에서 半島 아래로 向하는 補給線과 通信船을 保護하기 위해 配置했다. [4]

上陸作戰 [ 編輯 ]

1) 헬레스 上陸作戰(英國軍) 英國軍은 갈리폴리 半島의 南쪽 끝 部分이었던 헬레스 串에 처음 上陸할 것을 計劃했다. 이 作戰은 英國의 29師團에 依해 遂行되었다. 29師團長 所長 'Aylmer Gould Hunter-weson'은 헬레스 串을 둘러싼는 約 5個의 地點을 選擇하여 上陸地點으로 選定 後, 헬레스 串을 包圍하여 그곳을 防禦하는 오스만君을 擊滅하는 計劃을 가졌었다. 半島의 아래쪽 部分부터 時計方向으로 S, V, W, X, Y의 地點을 選擇 後 住公은 V와 W地點의 海邊에 上陸한 英國軍 第 86旅團에 依해 始作되며 朝貢部隊는 S, X및 Y 海邊에 上陸하여 터키 軍의 側傍을 威脅하는 戰略이었다. 上陸作戰과 同時에 프랑스 軍은 헬레스 串과 바다건너 마주보고 있는 '쿰 칼레'에 上陸하여 아시아 地域 요새로부터 聯合軍醫後方을 掩護하도록 計劃했다. 以後 英國軍이 헬레스를 占領 後 以後 半島 위쪽으로 進擊하여 ANZAC海邊에 上陸한 ANZAC君과 함께 킬리드 바흐 高原을 攻擊하는 것이 最終作戰의 目標였다. [9]

헬레스 串 上陸作戰 指導(왼쪽에서부터 S, V, W, X, Y 上陸地點이 標示되어있다.)

S, X, Y海邊 上陸作戰

거의 抵抗없이 順調롭게 上陸하는 것에는 成功했으나, 上陸 以後 作戰目的에 符合되는 攻擊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特히 Y海邊에 到着한 部隊는 오스만 帝國軍의 防禦를 위한 增員으로 因해 戰鬪가 혼란스럽게 進行되었다. [10]

W, V海邊 上陸作戰

오스만 帝國軍은 이곳에 不過 2個 中隊規模의 防禦를 配置했기 때문에, 聯合軍은 큰 抵抗과 被害없이 上陸作戰에 成功할 수 있었다. [10]

Y海邊 上陸作戰

Y海邊의 上陸作戰은 聯合軍에게 매우 絶望的이었다. 이곳의 오스만 帝國軍은 매우 勇猛하게 聯合軍의 上陸에 抵抗했다. 當時 海邊으로의 上陸은 큰 戰艦에서 小型斷定에 兵力들이 올라탄 後, 海邊에 가까이 닿았을 때 한名의 兵士가 내려서 斷定의 줄을 이끌고 海邊으로 直接 上陸시키는 方式으로 上陸作戰이 이루어졌다. 때문에 海岸의 牽制射擊으爐因해 많은 死傷者들이 나왔다. Y海邊은 다른 海邊과 달리 이들 小型斷定이 海邊에 가까워지자 수많은 小銃射擊이 있었다. 때문에 英國軍의 完全한 上陸이 이뤄질때까지 많은 時間과 많은 死傷者가 發生했다. [10]


2)쿰칼레 作戰(프랑스軍)

쿰 칼레에 上陸하는 聯合軍

'쿰 칼레'에 上陸한 프랑스軍의 目標는 오스만 帝國軍을 分散하는 陽動作戰의 遂行 任務를 맡았다. 그러나 쿰 칼레는 다르다넬스 海峽을 두고 갈리폴리 半島의 바다건너의 地點이었기에 聯合軍의 目標였던 兵力分散의 陽動作戰의 目標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以前에 프랑스 軍은 上陸作戰의 經驗이 없었기에, 上陸 當時 미리 駐屯하고 있었던 오스만 君에게 많은 被害를 입고 그대로 後退하였다. [11]



3)ANZAC海邊 上陸作戰(ANZAC)

贋作海邊(만)

旣存 作戰에서 ANZAC은 에게海의 '가바 테페'地域의 北쪽에 上陸할 豫定이었다. 가바 테페 地域으로의 上陸은 海岸에서 킬리드의 오스만 軍隊를 遮斷함과 同時에, 오스만 君의 增援軍이 英國軍이 上陸해있는 헬레스 串으로의 增援軍을 보내는 것을 遮斷할 수 있는 戰略的 要衝地였다.

上陸을 割當받은 버드우드의 部隊(濠洲 第 1師團)는 南쪽의 오스만 軍隊와 本部의 通信船을 끊기위해 上陸하여 內陸 쪽으로 進擊하는 任務를 받았다. 濠洲 第 1師團이 가장 먼저 上陸하고, 제 3步兵旅團이 內陸으로 移動해 陣地를 構築했다. 第 2步兵旅團은 ' 舍利 바이어 '高地帶를 戰鬪를 통해 占領했다. 第 1步兵旅團은 豫備軍으로 編成되어 가장 마지막에 上陸하였다.

4月 24日 午前 2時, 아리부르누의 언덕에서 海岸을 觀察하던 오스만 軍은 地平線 너머의 수많은 배를 確認했다. 그러나 午前 3時頃에는 달빛이 가려지며 肉眼으로 確認이 어려워 수많은 배가 上陸作戰을 遂行하는 것인지 單純히 起動하는 것인지 正確한 判斷이 어려웠다. 午前 6時頃 砲擊소리가 울렸다. 그러나 總 指揮官 山더스는 本部를 떠나 다른 곳에 있었으며, 그의 不在로 因해 部下들에게 明確한 指示가 떨어지지 않았고, 上陸을 위한 砲擊에 對한 防禦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12]

1915年 4月 25日에 贋作海邊으로 上陸하는 戰艦

4月 25日 午前 4時, 第 3旅團의 一部 兵力이 배를타고 海岸으로 移動했다. 이 掩護部隊는 航海 誤謬로 인해 旣存의 上陸 計劃地點이었던 '아리 不르누' 보다 約 2km 北쪽으로 떨어진 ANZAC海邊에 上陸했다. 旣存의 上陸計劃 地點이었던 아리 부르누보다 海邊이 가팔라 上陸에 어려움을 느꼈다. 또한 旣存의 上陸地點이 아닌 다른 곳에서 上陸하여 以後 作戰을 遂行하는데 있어 익숙하지 않은 地形과 正確하지 못한 地圖는 濠洲軍의 此後 作戰 遂行에 어려움을 갖게 했다. 가파른 溪谷과 鬱蒼한 森林은 濠洲軍의 進擊과 部隊 建制를 갖춘 餘件을 힘들게하였고 그들을 小그룹으로 나누게 만들었다. [13]


地上作戰(갈리폴리 半島) [ 編輯 ]

1915年 4月 [ 編輯 ]

크리티아 戰鬪

4月 27日 午後, 第 5師團의 6個 大隊에 依해 增强된 19師團은 ANZAC海邊에서 聯合軍에 反擊했다. 海軍의 砲擊支援과 함께 聯合軍은 밤乙새며 오스만君을 막았다. 다음날 英國軍은 갈리폴리 半島와 바다를 놓고 反對便에 있는 '쿰 칼레'에서 프랑스軍과 合流했다. 4月 28日 聯合軍은 마을을 占領하기 위해 '크리티아'에서 첫 番째 戰鬪 [14] 를 벌였다.

갈리폴리 上陸 後 地上作戰 初期에 론 파인 周邊에서 戰鬪 가 始作되었다. 1915年 4月 25日 ANZAC君이 贋作海邊에 上陸한 첫날 午前 7時頃 濠洲軍은 론 파인으로 進擊하여 오스만君의 砲兵隊를 攻擊하였다. 以後 오스만軍은 南西쪽 稜線으로 撤收하였으나 以後 오스만群 27聯隊가 南東쪽에서 론 파인을 向해 反擊을 始作하자 ANZAC聯合軍은 後退했다. 이에 400高地의 奪還을 目標로 6個의 大隊를 編成한 오스만軍은 ANZAC軍을 론 파인에서 '가바 테베' 地域까지 밀어붙였다. 많은 死傷者를 낸 ANZAC君은 北쪽의 론 파인에서 撤收해 防禦陣地를 構築했다. 以後 뉴질랜드에서 支援軍이 나오자 午後에 두 番째 오스만君의 77聯隊가 到着해 反擊이 鈍化되기 前까지 激烈한 白兵戰이 繼續되었다. 以後 어느 한쪽도 더 前進할 수 없는 塹壕戰이 론 파인 全域에서 펼쳐졌다. [15]

1915年 5月 [ 編輯 ]

5月 5日(헬레스 攻擊), 英國의 諸 42 步兵師團이 이집트에서 派遣되었다. 贋作 戰線이 比較的 다른 全域보다 安定的이라는 判斷下에, 해밀턴 將軍은 濠洲 2師團의 旅團과 濠洲 步兵旅團을 20門의 濠洲 野砲와 함께 第 2次 크리티아 戰鬪를 위한 豫備軍으로 定해 헬레스 前線으로 이동시켰다. 約 2萬餘名의 兵力을 包含한 戰鬪는 헬레스에서 벌어진 總攻擊으로, 週間에 進行되기로 計劃되어있었다. 戰鬪를 위해 프랑스 軍隊는 '케레베스 데레'를 占領하고 英國, 濠洲, 뉴질랜드 軍은 크리티아와 '아치 바바'를 戰鬪區域으로 割當받아 準備했다. 5月 6日, 脯를 通한 火力戰個의 30分 後,英國, 프랑스 聯合軍은 要塞化되고, 깊은 골짜기로 分離된 크리티아와 '케레베스 스퍼스'를 따라 進軍했다. 그러나 낯설고 힘든 地形은 그들이 제대로된 大型을 갖추기 힘들게 만들었다. 또한 오스만群 前哨基地의 砲擊火力, 機關銃 火力은 그들의 攻擊을 中斷시켰고, 攻擊이 中斷된 다음날, 오스만 軍은 增員된 軍과 함께 進擊했다. 이 攻擊은 5月 7日까지 繼續되었고, 뉴질랜드의 4個 大隊는 크리티아를 攻擊 [16] 했다. 늦은 午後, 濠洲의 第 2餘團은 空터를 넘어 英國 戰線으로 빠르게 進擊했다 小規模 武器 및 砲擊 속에서 旅團은 크리티아를 向해 突擊하였지만, 目標보다 約 400m不足한 地域을 占領하였다. 이 過程에서 約 1000餘名의 死傷者가 發生했다. 비록 目標値에는 到達하지 못하였지만, 뉴질랜드 君은 繼續해서 進軍하여 濠洲軍과 遭遇할 수 있었다.

5月 19日(贋作 攻擊) [ 編輯 ]

作戰 命令 中인 Esat pasha

42,000名의 오스만 軍이 17,000名의 濠洲, 뉴질랜드 軍을 다시 贋作 海邊으로 밀어내기 위해 攻擊했다. 彈藥이 不足했던 오스만軍은 奇襲과 兵力의 數를 통해 克服하려했으나, 英國 航空機가 오스만君의 戰鬪 準備를 發見했고, 奇襲의 利點을 使用할 수 없었던 오스만軍은 13,000名의 死傷者가 發生했고, 그 中 3,000名은 戰死했다. 反面에 ANZAC君은 160名 死亡, 468名 負傷에 그쳤다. [17] 오스만軍의 被害가 너무 深刻했기에, 5月 24日, 오브리 히버트를 비롯한 이들은 잠깐의 休戰을 提議했는데, 戰鬪에서 犧牲된 이들의 屍身을 묻기 위함이었다. 이는 마치 1914年 西部 戰線의 크리스마스 休戰처럼 梁君 間의 同意下에 이루어졌다. [15] 그러나 休戰은 더 異常 없었다.

英國은 海戰에서 宏壯한 軍事力을 가지고 있었다. 5月 13日, 英國海軍은 HMS Goliath을 利用하여 Muavenet-i Milliye를 擊沈시키는데, 이 過程에서 750名의 乘組員 中 570名이 死亡했고, 艦長度 이에 包含되었다. 한便 獨逸 潛水艦 U-21은 25日에 英國의 HMS Triumph를 그리고 27日에는 HMS Majestic을 擊沈시켰다. 이에 英國은 더 많은 偵察機를 派遣하여 巡察飛行을 했고 U-21은 該當 作戰地域을 벗어나게 되었다.

한便 오스만軍은 持續的으로 小銃 銃알과 砲彈이 不足했다. 그들은 5月에서 6月 첫째週刊 約 18,000發의 砲彈밖에 使用하지 못했다. 軍需品 普及이 攻擊을 따라가지 못하자 오스만軍은 5月의 贋作攻擊 失敗 後 正面攻擊을 中斷했다. 代身에 퀸스 哨所周邊에 터널을 파고 地雷를 심는 等의 攻擊을 통해 ANZAC君에 맞섰다.

1915年 6月~ 7月 [ 編輯 ]

헬레스 地域

75mm砲를 運用하는 프랑스

聯合軍, 오스만軍이 廣範圍하게 자리잡은 헬레스 地域에서 聯合軍은 6月 4日에 29步兵師團, 英國王立海軍師團, 42步兵師團 및 2個의 프랑스 師團과 함께 크리티아에서의 3次 戰鬪 [18] 를 遂行했다. 主 攻擊이었던 中央 42師團의 攻擊 成功이 있었으나, 나머지 王立해병사단, 29師團의 攻擊이 失敗하고 莫大한 死傷者가 發生하였다. 오스만群 또한 큰 被害를 입어 聯合軍은 이를 追擊하여 擊滅하려했으나, 프랑스軍의 作戰持續能力이 制限된다고 判斷하여 追加的인 攻擊은 없었다. 이 戰鬪는 끔찍한 塹壕戰으로 死傷者는 兩側의 25%였다. 英國軍은 20,000名에서 4,500餘名을 잃었고, 프랑스軍은 10,000名 中 2,000名의 死傷者가, 그리고 오스만軍은 9000餘名의 死傷者가 發生했다. 3次 크리티아 戰鬪가 끝나고, 聯合軍의 突破可能性은 더 以上 보이지 않았다. [19]

1915年 8月/ 론 파인 戰鬪 [ 編輯 ]

戰鬪 後 론 파인 塹壕의 모습

聯合軍이 크리티아를 占領하는데 失敗하며 헬레스 戰線에서의 進展을 보이지 못하자 해밀턴 將軍은 '事理 바이어'戰鬪를 통해 언덕을 確保함과 同時에 '秋눅 바이어'에서 971高地를 占領하기 위한 計劃을 세웠다. 當時 戰鬪 以前에 聯合軍, 오스만群 모두 增强되어 各各 15個師團으로, 16個의 師團으로 兵力이 增强되었다. 聯合軍은 贋作支店의 北쪽으로 約 8.0km떨어진 곳에서 9軍團의 2個 步兵師團을 上陸시키고, 北西쪽에서 바로 '事理 바이어'로 進擊시킬 計劃이었다. 한便 ANZAC에서는 北쪽地形을 통해 前進하여 舍利 바이어 地域에 對한 攻擊을 計劃했다. 영,프群 聯合軍이 秋눅 바이어 地域의 攻擊을 遂行하는 한便, 뉴질랜드 步兵 旅團은 秋눅 바이어의 頂上에 對한 攻擊을, 971高地는 印度 29旅團과 濠洲 第 4步兵旅團이 攻勢할 計劃이었다. 攻勢는 8月 6日 저녁에 展開되었다. [20]

한便 뉴질랜드 步兵 旅團은 8月 7日 새벽에, '秋눅 바이어'의 正常 근천에 到達했지만, 頂上을 占領할 수 없었다. 8月 7日 아침, 濠洲 第 3 競馬 旅團은 오스만君의 防禦線 後方에 對해 좁은 戰線을 集中的으로 攻擊했는데, 同時에 뉴질랜드의 秋눅 바이어 攻擊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攻擊은 큰 代價만을 남기고 失敗했으며, 目標였던 971高地를 擔當한 濠洲 第 4步兵旅團과 印度 29餘團은 어둠으로 인해 進擊方向을 잃은채 攻擊이 適期에 進行되지 않았다. 다시 攻擊을 再開하려했으나, 오스만 軍에 依해 너무나도 쉽게 그들은 擊退되었고 聯合軍은 엄청난 被害를 입었다. 戰鬪 後 남은 聯合軍은 秋눅 바이어에서 救出되기를 기다리며 約 이틀을 버텼으나, 케말 中領이 이끄는 오스만軍은 高地를 占領 後 그들을 掃蕩했다. 오스만軍이 971高地를 完全히 奪還하면서 聯合軍의 勝利의 可能性은 漸漸 더 낮아지게 되었다. [21]

1915年 數블라 萬

'數블라만 上陸'은 8月 6日에 이루어졌다. 이 上陸作戰은 英國이 갈리폴리 戰鬪의 膠着 狀態를 打破하고했던 英國軍의 試圖였다. 이 作戰의 司令官이었던 ' 프레더릭 스톱포드 '將軍은 初期에 制限的으로 目標를 設定했으며 實際로는 數블라 海邊보다 조금 더 많은 곳만을 占領할 수 있었다. 오스만軍은 '아나파르타 언덕'을 占領함으로써 英國軍의 上陸과 內陸으로의 進擊을 沮止했다. [22] 以後 8月 7日에 到着한 아일랜드의 10師團, 8日에 上陸한 웨일스의 第 53步兵師團, 10日에 到着한 英國의 第 54步兵師團은 아나파르타 平原을 건너 '카朴 테페', '테케 테페'地域을 攻擊했다. 그러나 攻擊은 失敗했고 해밀턴 將軍은 數블라 만의 地域과 贋作 地域의 待避를 考慮했다.

撤收 [ 編輯 ]

8月 攻勢의 失敗 以後 갈리폴리 全域은 孤立되었다. 오스만의 成功은 記者들에 依해 해밀턴의 成果에 對한 批判이 言及되면서 英國의 輿論에 影響을 미치기 始作했다 . 더 以上의 成果 없이 持續的으로 犧牲만이 커지자, 1915年 10月 11日 撤收 可能性이 提起되었습니다. 해밀턴은 英國의 威信이 損傷될 것을 두려워하여 提案에 抵抗했지만 補職解任되었고 찰스 中將으로 交替되었다. 가을과 겨울은 더위를 식힐 수 있었지만 强風, 눈보라는 君을 추위에 떨게하며 銅像에 걸리게 만들었다. 한便, 1915年 가을 세르비아全域에서 세르비아가 敗北하자 프랑스와 英國은 軍隊를 갈리폴리 全域에서 그리스 마케도니아로 移轉했다.

불가리아가 獨逸, 오스트리아 軍에 加擔하는 代價로 協商한 트라키아 地域

갈리폴리 全域의 狀況은 불가리아 가 中央 强大國에 合流하면서 複雜해졌다. 불가리아는 地政學的으로 오스만 帝國의 後方을 攻擊할 수 있는 位置였기에, 英國은 불가리아에게 聯合國에 들어올 것을 提案했다. 불가리아는 1次 世界大戰 始作 以後 持續的으로 中立을 維持했다. 러시아, 獨逸 그 어느 國家와도 紐帶가 깊지 않았던과 同時에 한 해前에 끝났던 발칸 戰爭의 被害가 아직도 累積되어있었기 때문이다. 英國은 불가리아에게 오스만 帝國을 攻擊하면 투르크의 유럽地域人 ' 트라키아 '를 約束했다 그러나 불가리아는 이 機會를 통해 마케도니아 地域 모두를 되찾겠다는 戰略을 가지고 있었다. 聯合國側이 불가리아에게 도움을 要請하는 한便, 獨逸과 오스트리아도 불가리아에게 손을 내밀었다. 獨逸은 불가리아에게 當時 세르비아와 그리스가 차지하고 있던 마케도니아 領土 全部를 줄 것을 約束했다. 이에 불가리아는 오스만 帝國의 트라키아 땅까지 追加로 協商하여 가져옴으로써 獨逸, 오스트리아의 便에 서게 되었다. [23]


1915年 10月 初 英國과 프랑스는 그리스 살로니카 地中海 를 確保하고 2個의 師團을 갈리폴리로 이동시켰다. 불가리아를 통해 獨逸과 오스만 帝國 사이의 陸路 열렸으며 가 通過하는 獨逸과 오스만 帝國 사이의 陸路가 열렸고, 獨逸軍은 聯合軍이 塹壕를 破壞할 수 있는 重砲와 現代式 航空機 및 熟鍊된 乘務員을 準備하며 오스만君을 再整備했다.  11月 末, 獨逸 알바트로스의 오스만 乘務員이 가바 테페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上空에서 프랑스 航空機를 擊墜했다. 헬레스에서 제8군단, 數블라와 贋作에서 제9군단의 指揮官들과 相議한 後, 키치너는 몬로의 意見에 同意하여 12月 初에 英國 內閣에 避難 決定을 承認했다.


사람이 살지 않는 좁은 땅과 겨울 날씨로 인해 배를 타는 동안 많은 死傷者가 豫想되었다. 數블라의 暴雨는 3日 동안 持續되었고 12月 初에 눈보라가 發生했다. 비로 塹壕가 沈水되고, 軍人들이 溺死하고, 埋葬되지 않은 屍身들이 戰線으로 빨려들어갔다. 數블라와 안작은 12月 末에 撤收할 豫定이었고, 12月 20日 東트기 前에 떠나는 마지막 部隊였다. 12月 7日 以後 兵力 數는 徐徐히 줄어들었고, '윌리엄 스커리'의 自動小銃과 같이 방아쇠에 달린 냄비에 물을 떨어뜨려 發射하도록 만든 裝置와 計劃이 英프聯合軍의 出發을 僞裝하는 데 使用되었다. 贋作 海邊에서 軍隊는 한 時間 以上 沈默을 지켰고, 好奇心 많은 오스만 軍隊가 塹壕를 調査하고, 贋作海邊에 砲擊을 始作했다. 이 事件은 오스만 帝國軍이 實際로 撤收했을 때 調査하는 것을 成功的으로 斷念시켰다. '네크' 江에서 地雷가 爆發하여 70名의 오스만 軍人이 死亡했다. 마지막 날 밤, 濠洲軍은 死傷者가 發生하지 않았지만, 많은 量의 補給品과 食料品들이 오스만 帝國의 손에 넘어갔다. [13] [24]

헬레스에서의 陣營은 一定 期間 동안 維持되었지만 12月 28日 撤收하기로 決定했다. 贋作 海邊에서 撤收한 것과 달리, 오스만 軍은 撤收의 兆朕을 찾고 있었다. 1916年 1月 7日, 샌더스 將軍은 英國軍을 向해 步兵과 砲兵을 動員하여 攻擊을 開始했지만, 失敗로 끝났다. 地雷는 時限爆彈 裝置와 함께 埋藏되어 있었으며, 1月 7日과 8日 밤 海軍의 爆擊으로 英國軍은 戰線에서 海邊까지 8km 後退하기 始作했다. 마지막 英國軍은 1916年 1月 8日 4時頃 랭커셔에서 出發했다. 뉴펀들랜드 連帶는 後衛隊의 一部였고 1916年 1月 9日 撤收했다. 最初로 上陸했던 英國 王立 海兵隊 輕보병隊代의 殘存 兵力은 半島를 마지막으로 떠났다. [25]


最大 30,000名의 死傷者가 發生할 것이라는 豫想에도 不拘하고, 35,268名의 兵力, 3,689名의 말과 노새, 127門의 大砲, 328代의 車輛, 1600톤의 裝備가 戰爭으로 인해 破壞되었다. 贋作의 境遇, 破壞된 15個의 英國軍 砲兵과 프랑스軍의 많은 量의 補給品, 總車, 彈藥이 남겨져 있었다. 한 船員이 早期에 暴發한 雜誌의 破片에 맞아 死亡했고 라이터와 피켓보트가 流失됐다. 동틀 무렵 結局 오스만軍은 헬레스를 奪還했다. 作戰의 마지막 날, 獨逸-오스만 戰鬪機 編隊에 依해 오스만 帝國의 防空網이 强化되었고, 헬레스가 撤收한 지 며칠 後에 3代의 防空砲가 2代의 RNAS 航空機를 擊墜시켜 英國軍의 첫 飛行 損失을 입혔다. [26]

갈리폴리 全域에서의 艦船, 倍 [ 編輯 ]

이리지스터블(HMS-irresistible) : 滿載排水量 [27] 1萬톤, 305mm 主砲 4門, 152mm扶抛 12門, 76mm 16門 塔

HMS_irresistible

오션(HMS-Ocean) : 滿載排水量 1萬 3000千톤, 305mm主砲와 152mm의 부포를 搭載.

HMS_Ocean

人플렉서블(Inflexible) : 滿載排水量 2萬톤, 305mm 主砲 6門, 102mm 扶抛 16門을 搭載.

HMS_Inflexible


부베(boubet) : 滿載排水量 1萬 3000톤, 305mm 2門, 274mm 2門 138mm 8門, 100mm 8門 搭載.

Boubet 프랑스의 傳함

怪벤(SMS Goeben) : 獨逸의 巡洋艦으로, 滿載排水量 2萬5千톤, 280mm 10門, 150mm 12門 搭載.

SMS Goeben

술탄히사르(터키) : 오스만 海軍의 魚雷艇, 戰艦이 아닌 보트級

sultanhisar

關聯된 記念日, 記念場所 [ 編輯 ]

안작데이(ANZAC day) : 每年 4月 25日 갈리폴리 戰鬪에서 戰死한 濠洲, 뉴질랜드 軍人들을 기리는 날.

Anzac day

론 파인: 戰死者들의 合同墓가 있는 곳.

론 파인 戰死者 記念公園

參考 文獻 [ 編輯 ]

  • 매슈 휴스 지음, 나종남, 정상협 옮김, 《地圖로 보는 世界戰爭史 第 1次 世界大戰》, 생각의 나무, 2008年
  • 피터 하트 지음, 정재면 옮김, 《더 그레이트 워, 第 1次 世界大戰社》, 冠岳出版社, 2014年
  • 황수현 지음, 《獨逸帝國과 第 1次 世界大戰의 起源》, 좋은땅, 2016
  • Carlyon Les, 《Gallipoli》,Pan Macmillan, 2010年

關聯 論文 [ 編輯 ]

  • 이내주, 〈처칠, 키치너, 그리고 해밀턴의 삼중주?―1915年 英國軍 갈리폴리 遠征 失敗 責任을 中心으로―〉, 《英國 硏究》 20, 2008年 12月
  • ―, 〈英國 갈리폴리 遠征 作戰(1915年)의 敗因(敗因)古刹- 英國軍 首腦部의 帝國主義的 視角과 터키軍의 實狀(實狀)을 中心으로-〉, 《軍事(軍史)》 88, 2013年 9月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토크멘터里 戰爭史] 53部 第1次 世界大戰 갈리폴리 戰鬪 1彈”.  
  2. Aspinall-Oglander, 세실 파버(1929), 갈리폴리 戰鬪 作戰: 1915年 5月까지의 캠페인 始作.
  3. 피터 하트 (2014年 3月 28日). 《더 그레이트 워》 1板. 218쪽.  
  4. 피터 하트 (2014年 3月 28日). 《더 그레이트 워》. 220쪽.  
  5. 갈리폴리 半島의 가장 南쪽의 串
  6. 피터 하트 (2014年 3月 28日). 《더 그레이트 워》. 220쪽.  
  7. “國防TV” . 《[토크멘터里 戰爭史] 54部 第1次 世界大戰 갈리폴리 戰鬪 2彈》. 2017年 6月 19日.  
  8. Carlyon, Les (2001年). 《Gallipoli; Sydney: Pan Macmilan.》.  
  9. 피터 하트 (2014年 3月 28日). 《더 그레이트 워》. 221쪽.  
  10. 피터하트 (2014年 3月 28日). 《더 그레이트 워》. 222쪽.  
  11. 토크멘터里 戰爭史, 54部 第1次 世界大戰 갈리폴리 戰鬪 2彈, 23:44
  12. Ozakman, Turgut (2008). 《Dirilis: Canakkale 1915》. Ankara: Bilgi Yayinev.  
  13. Dennis, Peter; Grey, Jeffrey; Morris, Ewan; Prior, Robin; Bou, Jean, 2008.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Military Histor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14. 第 1次 크리티아 戰鬪
  15. Broadbent, Harvey (2005年). 《Gallipoli: The Fatal Shore.》. Camberwell, Victoria: Viking/Penguin.  
  16. 第 2次 크리티아 戰鬪
  17. Erickson, Edward J (2001年). 《Ordered to Die: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18. 第 3次 크리티아 戰鬪
  19. Aspinall-Oglander (1932). 《Chapter IV The Third Battle of Krithia》. History of the Great War. London: William Heinemann. 41-55쪽.  
  20. Coulthard-Clark, Chris (2001年). 《The Encyclopaedia of Australia's Battles (2nd ed.)》. Crow's Nest, NSW: Allen & Unwin.  
  21. Stevenson, Robert (2007年). 《"The Forgotten First: The 1st Australian Division in the Great War and its Legacy"》. Australian Army Journal. IV.  
  22. Aspinall-Oglander, Cecil Faber (1932年). 《Military Operations Gallipoli: May 1915 to the Evacuation. History of the Great War Based on Official Documents by Direction of the Historical Section of the Committee of Imperial Defence. Vol. II》. (facs. repr. Imperial War Museum Department of Printed Books and Battery Press ed.). London: Heinemann.  
  23. 김현민 (2020年 7月 25日). “1次大戰 그後2, 獨逸의 便에 선 불가리아” . 《아틀라스 뉴스》.  
  24. Hart, Peter (2007年). 《War is Helles: The Real Fight for Gallipoli》. Australian War Memorial.  
  25. Lockhart, Sir Robert Hamilton Bruce (1950年). 《The Marines Were There: The Story of the Royal Marines in the Second World War.》. London: Putnam.  
  26. Gilbert, Greg (2013年). 《Air War Over the Dardanelles》. Wartime. Canberra: Australian War Memorial.  
  27. 滿載排水量(full load displacement)는 배가 最大 吃水線까지 잠겼을 때의 排水量을 意味한다. 卽 乘組員이 搭乘하고 모든 貨物들의 적裁可完了되었을 때의 排水量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