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肝吸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肝吸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肝吸蟲
Clonorchis sinensis
Clonorchis sinensis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扁形動物門
江: 吸蟲綱
亞綱: 이생흡충亞綱
목: 事故흡충목
과: 후고흡충과
속: 肝吸蟲속
種: 肝吸蟲 ( C. sinensis )
學名
Clonorchis sinensis
Looss, 1907

肝吸蟲 (肝吸蟲, Clonorchis sinensis )은 후고흡충과 에 屬하는 扁形動物 이다. 간디스토마 (肝distoma)로 많이 알려져 있다.

中國 , 日本 , 大韓民國 , 베트남 等 東部 아시아 地域에 主로 分布한다.

이름의 誤謬 [ 編輯 ]

本來 間 디스토마 로 알려진 理由는 이 生物이 처음 發見되었을 때 입처럼 생긴 機關이 2個가 있어 "입을 2個 가지고 있다"는 意味로 디스토마(Distoma)라고 하였지만 時間이 흘러 이 生物을 다시 顯微鏡으로 觀察한 結果 입이라고 생각한 部分이 모두 吸盤(sucker)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더以上 '디스토마'라는 名稱은 옳지 않으며 '흡충'이라고 부르는게 맞다. 따라서 간디스토마가 아니라 肝吸蟲이 올바른 名稱이다. [1]

形態 [ 編輯 ]

肝吸蟲의 成蟲의 모습은 긴 나뭇잎 模樣이며 色은 淡紅色을 띠고 있다. 길이는 10~25mm에서 너비는 約 3~5mm 程度까지 되며 이 生物이 寄生하는 宿主와 寄生하는 個體 數에 따라 差異가 있다. 소와 羊 等의 草食動物 윤담館에 寄生한다.

生活史 [ 編輯 ]

알은 宿主의 排泄物과 함께 밖으로 나오는데, 約 2週 後 알 속에 미라시듐儒生이 생긴다. 미라시듐儒生은 빛을 쪼이면 알껍질의 뚜껑을 열고 물 속으로 헤엄쳐 나와 刷쨈물우렁이의 몸 속으로 侵入해 들어간다. 그 後 數 時間 뒤에는 스포로시스트유생이 되며, 다시 한 時間 안에 레디아儒生으로 變態하여 成熟하는데, 이때 몸 안에는 올챙이와 비슷한 많은 세르카리아를 만든다. 成熟한 세르카리아는 宿主로부터 헤엄쳐 나와 물풀 等에 붙어 메타세르카리아가 된다. 이들은 풀과 함께 에게 먹혀, 十二指腸 을 거쳐 창자 안에서 組織으로 들어가며, 約 1個月 後에는 윤담館에 到達하고 다시 3~4個月 後에는 어미로 成熟한다.

病理 [ 編輯 ]

肝吸蟲은 感染되면 膽管 에서 主로 棲息하기 때문에 膽管에 深刻한 被害를 입힌다. 이 生物이 움직임으로 인해서 發生하는 物理·機械的 刺戟은 膽管 上皮細胞 에 炎症을 일으켜 細胞 一部가 탈락하게 하며, 이게 다시 細胞의 復舊와 脫落이 反復되면서 損傷 部位에 變性을 일으켜 周圍가 纖維化 가 일어난다. 더 나아가면 上皮細胞가 惡性化 卽, 癌細胞 로 變異하여 이것이 增殖하면 肝癌 의 一種인 담관암 이 發生하게 된다. 이러한 病的 變化는 매우 深刻하여 國際 癌 硏究 機關 (IARC)에서는 이 生物을 1軍 發癌 物質로 規定하고 있다. 普通 이 生物로 인해 發生하는 肝癌은 大部分이 담관암 이며 다른 癌과 달리 癌細胞 等에 粘液을 多量 生産하는 게 特徵이다. 種種 이 生物이 侵犯하지 않은 膽管 部分에서도 위와 같이 病理가 發見되는 境遇가 있는데, 이것은 이 生物이 寄生하면서 發生시킨 代謝産物에 依한 것이다.

治療 및 豫防 [ 編輯 ]

이 生物에 感染되었을 때 프라지콴텔 을 하루 세 番 씩 約 2日 程度 服用하면 大部分 效果가 매우 크다.

민물에서 棲息하는 魚類를 날로 먹을 境遇 가장 많이 感染되므로, 민물 魚類를 날로 먹지 않는 것이 重要하다. 또한 이 生物이 자주 出沒하는 地域에서는 민물生鮮을 條理 後 調理器具는 모두 깨끗하게 씻고 消毒을 해줘야 다른 感染을 막을 수 있다. 食水를 통해서도 感染될 수 있으므로 常習 出沒 地域에서는 반드시 물을 끓여서 마셔야 한다. 또한 이 生物은 사람 뿐만 아니라 고양이 와 같은 動物이 感染될 수도 있으니 注意해야 한다.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 人體寄生蟲學 (2011年), 정문각, 113~116쪽

各州 [ 編輯 ]

  1. 네이버 食品科學技術大辭典 - 흡충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內容 參考.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肝吸蟲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