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가브리엘 무통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가브리엘 무통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가브리엘 무통 (Gabriel Mouton, 1618年~ 1694年 9月 28日)은 프랑스의 修道院長이자 科學者였다. 그는 리옹 出身의 神學 博士였지만 數學과 天文學에도 關心이 있었다. 1670年 그의 著書 <太陽과 달의 直徑 觀察( Observationes diametrorum solis et lunae apparentium )>에서 地球의 둘레를 바탕으로 길이의 自然 標準을 定하고 十進法 單位 體系의 使用을 提案하였다. 1799年 미터法 採擇에 影響을 미쳤다.

밀리아르, 길이의 單位 [ 編輯 ]

볼로냐의 리치올리 가 測定한 地球의 크기(32萬 1815 볼로냐 피트)를 바탕으로 무통은 自然에 根據한 시스템의 長點을 說明하면서 地球의 둘레를 基準으로 한 十進法 測定 시스템을 提案했다.

單位 體系
이름 비르歌의 排水 大略的인 길이
Milliare 1000 約 2 km, 1 海里
Centuria 100 200 m
Decuria 10 20 m
Virga 1 2 m
Virgula 0.1 20 cm
Decima 0.01 2 cm
Centesima 0.001 2 mm
Millesima 0.0001 0.2 mm

그는 子午線 好意 1分(1度의 1/60)을 밀리아르(milliare)로 定하고 이것을 連續해서 다시 10等分하여 센추리아(centuria), 데推理아(decuria), 비르歌(virga) [1] , 비르굴라(virgula), 데緦麻(decima), 센테시마(centesima), 밀레시마(millesima) 로 나누는 體系이다. [2] 밀리아르의 1/1000人 비르歌는 64.4 볼로냐 인치로서 約 2.04 m에 該當하며 當時 使用되던 單位인 토이즈 (~1.95 m)에 相當히 가까웠으므로 새로운 單位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다.

實際로 具現할 때는 振子의 길이를 利用하였는데 리옹에 位置한 길이 1 비르굴라(1/10 비르歌)의 振子는 30分에 3959.2回 方向을 바꾸도록 提案했다. 그러면 振子의 길이는 約 20.54cm가 된다.

그의 提案은 當時에 注目을 받았으며 1673年에는 下違憲스 張 피카르(Jean Picard) 도 支持하였고 런던의 王立學會 는 이 方法에 對해 調査하였다. 1673年 라이프니츠 는 獨立的으로 무通過 비슷한 提案을 하였다.

그러나 프랑스 科學 學術院 의 무게 및 測定 委員會가 地球 둘레를 細分한 것을 미터로 制限한 것은 그로부터 한 世紀가 지나서이다. 프랑스에서 公式的으로 미터法을 받아들인 것은 1791年이다.

오늘날의 尺度로 1 밀리아르는 1 海里(nautical mile) 에 該當하며 1 비르歌는 1.852m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G. Bigourdan: Le systeme metrique des poids et mesures , 1901, chapter Les precurseurs de la reforme des poids et mesures
  • Ferdinand Hoefer: Historie de l'astronomie , Paris 1873

各州 [ 編輯 ]

  1. 라틴語 virga는 '막대기'라는 뜻이고, virgula는 '작은 막대기'라는 뜻이다.
  2. Mouton, Gabriel (1670). Observationes diametrorum solis . Ex Typographia Matthaei Liberal. Retrieved 2016-02-22. "decu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