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I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I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I , 小文字 i 로마字 를 借用한 여러 言語에서 쓰이는 글字이다. ' 트레마 를 씌운 글字 I '나 ' 움라우트 I'로 읽을 수 있다.

言語別 쓰임새 [ 編輯 ]

아프리칸스語 , 카탈루냐語 , 프랑스語 , 갈리시아어 , 웨일스語 , 南部 沙彌어 , 그리고 드물게 英語 에서는 다른 母音 뒤에 i가 오고, 그 單語가 母音 接續 (모음 사이에 杜絶이 있음)으로 發音될 때 쓰인다. 卽 두 母音끼리 부딪히더라도 二重母音 이나 二重音子 로 소리나지 않고 各各 다른 音節로 發音됨을 標示한다. 例를 들어서 프랑스語의 'mais' ( IPA:  [ma.is] , 옥수수 )는 트레마 符號가 빠진다면 글字 i는 二重音子 ai로 합쳐져 소리나게 된다. 네덜란드語의 'Oekraine' ( 發音 [ukraː?in?] , →우크라이나 )와 英語의 'naive' ( / n ? v / 或은 / n a? ? v / , →素朴한, 愚直한 )도 같은 例이다.

한便 튀르키예어 를 學術的으로 다룬 文獻에서 가끔씩 글字 i가 후설 悲願順 高母音 ( /?/ , 韓國語의 'ㅡ' 發音)을 表記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現代 標準 터키어 綴字法 에서는 같은 發音을 點 없는 i (ı)로 表記한다. [1] 古代 몽골語 의 후설 中性母音을 i로 表記하는 境遇도 있다. [2]

아마존 言語 들의 로마字 表記法에서도 中說 悲願順 高母音人 /?/를 I로 表記하기도 한다.

入力 코드 [ 編輯 ]

文字 情報
미리 보기 Ï ï
유니코드 이름 LATIN CAPITAL LETTER I WITH DIAERESIS LATIN SMALL LETTER I WITH DIAERESIS
인코딩 10陣 16陣 10陣 16陣
유니코드 207 U+00CF 239 U+00EF
UTF-8 195 143 C3 8F 195 175 C3 AF
數値 文字 參照 Ï Ï ï ï
命名 文字 參照 Ï ï
EBCDIC 系列 119 77 87 57
ISO 8859 - 1 / 2 / 3 / 4 / 9 / 10 / 14 / 15 / 16 207 CF 239 EF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arcel Erdal, A Grammar of Old Turkic ,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3 , ISBN   9004102949 , 2004, p. 52
  2. Juha Janhunen, ed., The Mongolic Languages ISBN   0415681545 , 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