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江과 平原, 켜켜이 내려앉은 時間을 들추며 걸어간 길 扶餘|여성동아

LIFE STYLE

#koreatrails #buyeo

江과 平原, 켜켜이 내려앉은 時間을 들추며 걸어간 길 扶餘

editor Choi Eun Cho Rong

2017. 09. 28

無時로 훌쩍 집을 나서곤 했던 그이를 마음먹고 따랐던 길에 附與가 있었다. 땅과 사람의 옛 時間을 그러모은 곳들에서 扶餘와의 긴 因緣은 그렇게 첫 張을 넘겼다. 
扶餘는 별스럽다 싶으리만치 애틋함이 크게 다가온다. ‘扶餘’라고 낮게 부르면 긴 時間 남겨져 삭아버린, 낡아 바스락 소리가 나는 오래된 옷감이 떠오른다. 바라보기 아까워 손이라도 쓸어볼라치면 먼지로 풀어헤쳐져 痕跡도 남지 않을 듯하다.

그런데 낡아빠지고 볼썽사나워진 무엇을 보는 느낌이 아니라 그 胎가 바랜 모습까지 오래도록 눈길이 머무는 貴한 存在感이 傳해지는 곳. 附與가 익숙하지 않다는 아나운서 조우종에게 길잡이를 自請했다. 1千4百 年의 길 위에서 만나는 오랜 돌덩이 하나, 그 위를 빌려 난 이끼 한 줌에 마음을 내어주는 사이 日常이라는 팽팽한 縣이 어느새 느슨해져 있음을 느끼게 될 거라는 壯談도 잊지 않았다.



버드나무 그늘 아래 바람의 休息에 빠져든 王의 湖水,궁남지

新羅 都城 아이들에게 童謠를 부르게 부추겨 結局 아름다운 公主를 아내로 얻은 靑年은, 後날 백제의 王이 된 後 이 땅에서 가장 오래된 人工 蓮못을 만들고 그 위에 배를 띄워 아내와 함께했다. 6百34年 百濟 武王이 宮闕 南쪽 庭園으로 지었다는 궁남지는 언제나 이 豪放하고 애틋한 王의 이야기가 있어 ‘亦是 百濟답다’는 微笑를 머금게 했다.

그러나 정작 궁남지를 자꾸 찾곤 했던 理由는 딴 데 있었다. 꽃가루 사납다고 驅迫받으며 곳곳에서 베어지기 일쑤인 垂楊버들이 마치 蓮못을 護衛하듯 例의 긴 草綠 머리칼을 늘어뜨리고 능청거리는 長官과, 어른 키만큼 훌쩍 자라 亦是나 蓮못 周邊을 넉넉히 두르는 蓮꽃 때문이다. 마침 바람이 길어 버들의 흔들림도 오래간다.



조우종의 손을 이끌고 버들가지가 발처럼 드리운 그늘 한가운데 서게 했다. 이런 風景 참 오랜만, 이라고 말하는 그의 목소리는 가느다란 가지와 豐盛한 잎사귀 뒤엉킨 바람 소리에 얹혀 傳해졌다.




수줍고 素朴함 속에 담긴 華麗하고 뜨거운 性情, 扶蘇山城과 新東엽生家文學觀

“巨創하고 華麗한 것과는 距離가 멀어요. 투박하면서 男性的인 듯 氣魄이 있지만 한便으로는 그 속의 섬세함을 감출 수 없었던 그런 사람들이었나봐요.”

扶蘇山城을 따라 落花巖으로 거닐던 遭遇종이 扶餘의 斷想들을 찬찬히 짚어가며 말한다. 扶蘇山城度 그런 곳이다. 모르고 걸었다면 山허리 둔덕쯤이라 여겼겠지만 이곳은 百濟 義慈王이 마지막을 버텼고, 길 끝에 이르면 더 以上 발로는 디딜 수 없는 絶壁을 앞두고 江으로 삶을 내던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寶石처럼 빛나는 백제의 마지막 要塞였다. 어른 몸통 하나쯤은 우습다는 듯 자란 酸性의 소나무와 참나무들이 그 時間의, 그 莊嚴한 歷史의 目擊者日 게다. 두툼하게 돋운 껍질 틈에 귀라도 갖다 대고 싶은 心情이다.

뜨거움으로 들끓는 속내를 거칠되 섬세한 言語들로 터뜨렸던 詩人에게서도 百濟와 백제 사람의 殘影이 겹쳐진 듯했다. 껍데기는 가라며 외치고, 人事도 없이 지나친 因緣을 죽는 날까지 간직하자던 詩人 申東曄은 扶餘에서 태어나 詩와 삶으로 世上에 抵抗하던 속 뜨거운 사람이었다. 짧게 툭툭 던진 듯한 詩語는 어느 하나 흘려 담을 수 없이 아름답다. 그런 그의 時間도(백제가 그랬듯) 짧았다. 겨우 나이 四十이 되었을 때 詩는 남고 詩人은 떠났다. 뭐가 그리 多急했을까 慌忙스러움에 그가 살던 집 退마루에 더 늑장 피우며 머물러 있었다.



손에 잡힐 듯 백제의 땅이 四方을 두른 絶景,性興産

성흥山에 오르는 동안 山허리를 휘감으며 지나는 안개가 신비로웠다. 안개는 소나무 가지 사이에 잔불이 난 듯 희멀건 기운을 피워내더니 이내 山 저便으로 자취를 감춘다. 그 안개를 뚫고 올라간 性興産 頂上은 너른 丘陵 周邊에 石城을 두른 天惠의 酸性이다. 論山과 强勁, 益山까지 맨눈으로 가늠된다. 그러고 보니 황산벌(論山)李 저만치다. 아마 옛날 그 하루, 階伯이 軍士를 이끌고 저 平原으로 進軍하던 날 이 山城을 지키던 異議 億丈은 어떠했을까 더듬어본다. 가슴이 먹먹해져 扶餘 最高의 絶景을 만든 4百 살 된 性興産 사랑나무에 暫時 기대어 숨을 고른다.



넉넉한 땅에 뿌리내린 믿음은 또 하나의 歷史로 남다, 無量寺와 금사리聖堂


땅의 넉넉함을 닮은 사람들이
絶對者에 마음을 맡겼던 곳들에도
扶餘의 歷史가 배었다.


땅이 넉넉하고 살림살이가 풍요로우면 사람들은 먹고사는 苦悶 덜어낸 代身 마음의 餘裕를 絶對者에게 依支하곤 했다. 금사리聖堂과 無量寺에서 扶餘의 넉넉함이 새삼 떠올랐던 것도 이 때문이었나 보다. 津한 숲 香 가득하고 가을이 익으면 丹楓이 제법이겠다 싶은 山길을 暫時 걸어 만난 無量寺는 時間이 묵직하고 佛心이 든든히 내려앉은 折死다. 塔身의 이끼와 돌 무늬 틈틈이 끼어 있는 時間의 胎에 눈길이 한참 머문다.

그리고 그 너머 2層 樓閣을 올린 極樂殿의 莊嚴함과 마주한다. 나무를 자르고 다듬어 만든 節祀를 2層으로 올려야 할 만큼 큰 부처와 菩薩이 그 안에 있다는 意味다. 果然 極樂殿 안에서 만난 阿彌陀佛과 觀世音의 숨막히는 ‘큰 微笑’에 우리는 歎聲도 제대로 내뱉지 못했다. 生六臣人 梅月堂 金時習이 餘生을 보낸 곳이라는 이야기까지 들으니 휴 하는 한숨이 새어 나온다.

同行했던 이가 딱 1百10年 前에 프랑스人 司祭가 지었다고 일러준 금사리聖堂은 扶餘의 이야기가 百濟와 統一新羅의 것들뿐일 거라고 지레 넘겨짚는 이들에게 보란 듯이 붉은 甓돌과 鐘塔을 올린 異國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歷史는 두말 할 것 없고 宗敎와 文化까지, 어디에 觸角을 곤두세워도 豐富한 이야기가 풀어 헤쳐지는 곳. 附與가 元來 그렇다.



돌담과 마을과 한참을 이야기하며 걷는 길 頒敎마을


휴휴당 退마루에 앉아 쉬었다.
그렇게 쉬니 마음이 열려 웃음이 잦아진다.


마을에 들어서는 瞬間, 이 素朴하게 휘돌아 나간 돌담의 曲線에 놀라 절로 손뼉을 쳤다. 억지로 맞춰서 쌓은 것이 아닌, 언제 쌓았는지 몰라도 늘 그랬다는 듯 이렇게 自然스러운 돌담으로 마을 길을 낸 風景이 얼마 만인지. 마침 돌담 너머 대추며 감, 밤이 푸짐하게 열매를 키워가고, 돌담 위로 호박 넝쿨이 푹신한 이불처럼 덮였다. 담 아래로 질 수 없다고 野生 喇叭꽃이며 野生花가 안간힘을 쓰며 피어 있다. 애初에 워낙 돌이 많았을 頒敎마을이었고, 밭에서 돌을 고르고 캐는 고된 수고 끝에 이런 近似한 돌담이 세워졌을 텐데, 마을 風景을 보노라면 豪奢도 이런 豪奢가 없다. 前 文化財廳長이자 美術評論家 유홍준度 이 風景에 반했다. 그는 아예 親舊 승효상에게 付託해 마을 끝자락에 집을 마련했고, 農事를 지으며 살고 있으니 더 以上 말이 必要 없겠다.

돌담길 거닐면 자꾸만 돌 하나에 무슨 이야기가 담겼을지 궁금해서 말을 걸고 싶어진다. ‘넌 몇 살이나 되었니?’ 라고 물으면 몇億 年의 答이 되돌아올까 想像하며 웃어도 본다. 돌담 위에 無時로 빨래를 널어 말리던 옛 風景도 떠올려본다. 이 작은 마을에 며칠을 머물러도 괜찮을 것 같다. 그리고 그 散策 끝, 지난 1年間 일이 있든 없든 緊張을 좀체 떼어놓지 못했다는 조우종을 불러 유홍준의 쉼集인 ‘휴휴당’에서 마음 좀 놓고 가라고, 속 풀고 가라고 주저앉혔다.



긴 歷史를 만들어간 사람들의 손길을 따라 附與 體驗 旅行

附與에서의 時間을 듣던 누군가가 하루이틀 程度면 充分하냐고 묻길래 어림도 없을 거라고 웃어넘겼다. 하루동안 휘휘 둘러보고 그 1千4百 年도 훨씬 前의 歷史를 헤아리기란 於此彼 말이 안 될 법하지만, 그 理由가 아니라도 손수 해보고 둘러볼 것들이 至賤이어서다. 뭘 고르고 가리고 할 마음이 내키지 않아 다 欲心부리려면 며칠을 머물러도 턱없을 것이다.

扶餘와 益山, 群山을 오가며 近現代史의 痕跡을 모아 가득 채운 博物館과 맛깔스러운 한 床 차림이 좋았던 百濟원에서 스스로 ‘미쳤다’고 할 만큼 끈氣 있고 愚直한 한 蒐集家의 感動的인 熱情을 만났다. 누구의 도움도 없이 홀로 이 모든 걸 꾸려가며 그야말로 ‘歷史’를 남기고 있는 이였다. 如前히 발로 轆轤를 돌려 빚은 그릇을 松津 가득 품은 소나무를 때는 가마에 넣어 百濟의 검은 土器로 完成한 百濟要義 丈人도 그랬다.

歷史란 選擇받은 누군가의 巨創한 事件만 있는 게 아니라 이렇게 삶이 感動的인 한 사람 한 사람이 새끼를 꼬듯 모아낸 痕跡이구나 싶다. 그리고 百濟人들의 理想鄕을 담은 百濟金銅大香爐와 마주하고 그들의 衣服을 갖추는 동안 時間을 건너온 옛사람들의 삶과 조금 더, 또 한 番 가까워지고 있었다.



夫餘의 맛

오랜 時間을 품은 都市는 맛도 깊다. 流行을 놓치지 않음을, 技倆이 뛰어남을 자랑하는 일도 없고 언젠가 들렀을 때처럼 그냥 제 맛을 내며 그 자리에 있을 뿐이다. 그래서 正直하다. 正直하게 오래 했더니 사람들이 찾고, 절로 이름을 타게 되었다.

굳이 傳統을 따져가며 먹는 飮食이 아니어도 마찬가지다. 대충 좀 오래되었다 싶으면 30年, 40年 來歷은 일도 아닌 內功 깊은 곳들이 있어 扶餘 旅行은 놀라움과 滿足感의 즐거운 感情 起伏을 經驗하게 한다.


 帶同국수 


60年間 같은 자리에서 국수를 만들어온 은산면의 帶同국수에서 마침 麵발을 만들어 너는 날을 맞았다. 발처럼 늘어뜨린 국수를 햇살과 自然 바람에 말려 쫄깃하기 이를 데 없다고 扶餘 사람들 稱讚이 藉藉하다. 덜 마른 국수 麵발의 무게를 直接 堪當해본 조우종은 그 긴 時間 국수를 뽑고 널어온 主人 內外에게 無限한 尊敬을 보냈다.




恩惠食堂 


無量寺 一柱門 近處는 여느 이름난 寺刹들과 달리 食堂이 적어 閑寂한 便이다. 代身 30年間 山菜定食을 만들어온 恩惠食堂의 손맛이 있어 허전함을 달래준다. 直接 기른 菜蔬와 담근 場, 洞네에서 난 버섯으로 꾸린, 절로 입맛 당기는 담백한 한 床을 받았다.





나경식當 


扶餘는 높은 山은 없으나 숲이 鬱蒼하고 깨끗하다. 그런 숲은 버섯이 잘 자라고 또 香이 좋다. 夫餘의 別味 中 버섯을 主材料로 한 飮食이 적지 않은데, 버섯전골은 누구나 반길 개운한 맛이 印象的이다.




시골통닭 


세련된 맛과 模樣의 요즘 프라이드치킨이 아닌, 옛날 가마솥에서 통째로 튀겨낸 ‘통닭’ 한 마리가 접시에 올랐다. 亦是나 技巧 부리지 않고 新鮮한 닭과 菓子처럼 바삭한 튀김옷만으로 勝負를 걸었고, 사람들은 기꺼이 손을 들어줬다.




솔내음


궁남지 周邊 못을 가득 덮은 蓮잎 德分에 亦是나 扶餘의 代表 別味는 蓮잎밥이다. 궁남지 隣近, 白馬江 구드래나루터 初入, 郡廳 周邊 等마다 솔내음을 비롯해 蓮잎밥을 만들어 내는 食堂들이 櫛比하다.




百濟當 


洞네 빵집의 정겨움에 이끌려 들어갔다. 그런데 빵 맛이 만만치 않다. 촉촉하게 잘 반죽한 빵에서 오랜 솜씨를 가늠할 수 있고, 젊은 旅行者들에게 人氣 있다는 手製 쿠키度 달콤하다. 두 손 가득 빵을 담아온 代身 繼續 이 자리에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남기고 왔다.

아름다운 自然과 歷史가 살아 숨 쉬는 世界遺産都市 扶餘


1泊 2日 코스
萬壽山無量寺 → 頒敎마을 → 百濟文化團地 → 궁남지 → 宿泊 → 정림사지五層石塔 → 扶蘇山 → 國立扶餘博物館 → 陵山里古墳群

2泊 3日 코스  

萬壽山無量寺 → 頒敎마을 → 성흥山사랑나무 → 송국리遺跡地 → 宿泊 → 陵山里古墳群 → 백제원 → 百濟文化團地 → 白馬江首相觀光  → 宿泊 → 扶蘇山  → 新東엽文學觀 → 궁남지 → 國立扶餘博物館 → 定林寺址
扶餘에 對한 追加 情報


大韓民國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에서 運營하는 國內 旅行 情報 포털 사이트. 推薦 테마 旅行, 觀光 名所,交通, 宿泊, 맛집 等 地域 觀光에 對한 다양한 情報를 提供한다. korean.visitkorea.or.kr


後援


〈여성동아> 10月號 ‘江과 平原, 켜켜이 내려앉은 時間을 들추며 걸어간 길 扶餘’ 記事에 실린 私費길을 걷고 ‘두루누비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urunubi.kr)’에 後期와 認證샷을 남겨주시면 抽籤을 통해 5分께 프로스펙스 워킹靴를 드립니다. 仔細한 事項은 두루누비 페이스북을 參考하세요.



designer Kim Young Hw a writer Nam Ki Whan photographer Kim Sung Nam, Jo Young Chul video Lee Il Hoon, Yang Gab Yeol
製作支援 韓國觀光公社  取材協助 부여군청 스타일리스트 流矢 革 어시스트 이연성




  • 推薦 0
  • 댓글 0
  • 目次
  • 共有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