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就準生 74.2% “첫 職場으로 中小企業 괜찮다” : 비즈N

就準生 74.2% “첫 職場으로 中小企業 괜찮다”

뉴시스

入力 2019-11-01 08:53 修正 2019-11-01 10:09

|
폰트
|
뉴스듣기
|
記事共有  |  
  • 페이스북
  • 트위터
就準生 55.4% "非正規職으로 就業할 醫師 있다"


大企業 就業을 위해 就業財數까지 하던 雰圍氣가 달라지고 있다. 就業準備生 10名 中 7名 以上은 ‘첫 職場으로 中小企業 就業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理由 亦是 大企業보다 알찬 中小企業들도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代表理事 윤병준)가 新入職 就業準備生 2,12名을 對象으로 ‘中小企業 就業 選好度 調査’를 進行한 結果, 設問에 參與한 就準生 74.2%가 卒業 後 첫 職場으로 中小企業에 就業할 意向이 있다’고 應答했다. ‘中小企業에 就業할 意向이 없다’는 應答은 25.8%에 不過했다. 性別로는 女性취준생들이 78.0%로 男性就準生 68.9%에 비해 9.2%P 높았다.

첫 職場으로 中小企業 就業 意向이 있는 就準生들에게 그 理由에 對해 質問한 結果(*수應答) 가장 많은 47.4%가 ▲大企業보다 알찬 中小企業들도 많기 때문이라고 應答했다. 다음으로 ▲企業 規模는 重要하지 않아서(36.2%) ▲多樣한 業務로 커리어 쌓기가 더 유리할 것 같아서(27.5%) ▲나중에 大企業으로 옮겨갈 수 있을 것 같아서(20.5%) ▲大企業보다 業務 成就感이 높을 것 같아서(19.5%) ▲企業文化가 캐주얼하고 自律的일 것 같아서(9.9%) ▲新入 時節도 일을 主導的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아서(7.4%) 等의 意見이 있었다.

反面, ‘中小企業에 就業할 意向이 없다’는 취준생들은 大企業에 비해 相對的으로 不足한 給與水準과 勤務環境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實際 잡코리아 調査結果(複數應答) ▲’月給이 적거나 福利厚生이 떨어질 것 같아서’가 응답률 50.5%로 折半 以上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첫 職場이 中小企業日 境遇 繼續 中小企業 職員으로 勤務할 것 같아서(21.8%) ▲移職을 많이 할 것 같아서(13.9%) ▲일의 專門性이 떨어지거나 배울 點이 많지 않을 것 같아서(11.8%) ▲남들에게 이야기하기가 꺼려질 것 같아서(10.9%) ▲經歷管理에 도움이 안 될 것 같아서(10.4%) 等의 理由도 있었다.

한便, 취준생들은 반드시 正規職 就業만을 固執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5.4%가 ‘卒業 後 첫 職場의 雇傭形態가 非正規職이어도 就業할 意向이 있다’고 應答한 것. 이는 女性취준생들이 59.2%로 男性就準生 50.1%에 비해 9.2%P 높았다.

非正規職이라도 就業하려는 理由로는 ▲努力하면 向後 正規職으로 轉換하거나, 正規職 일자리로 옮길 수 있을 것 같아서(36.5%) ▲長期 未就業者가 되는 것보다 나을 것 같아서(33.1%) ▲이제는 雇傭形態가 크게 重要하지 않아서(20.5%) ▲非正規職 處遇도 많이 좋아졌기 때문에(8.4%) 等의 應答도 있었다.

反面, 非正規職 就業 意向이 없는 就準生 그룹에서는 ▲雇傭의 安定性이 保障되지 않거나(36.4%), ▲처음 非正規職으로 就業되면 繼續 非正規職으로 남을 수 있어서(26.1%) ▲月給 等 處遇 隔差가 너무 크기 때문에(25.4%) ▲非正規職에 對한 社會的인 偏見과 視角(10.4%) 等의 理由로 忌避하는 것으로 調査됐다.

?【서울=뉴시스】

라이프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