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이 기침은 喘息 信號?|週刊東亞

캣닥터 이영수의 세·母·高(世上의 모든 고양이)

고양이 기침은 喘息 信號?

  • 獸醫師·白山動物病院長

    vetmaster@naver.com

    入力 2019-12-2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GettyImages]

    [GettyImages]

    날씨가 추워지면서 暖房과 換氣 不足으로 室內 空氣가 무척 乾燥하다. 室內에서 生活하는 고양이는 이로 인해 呼吸器 疾患에 걸리는 境遇가 많다. 겨울철 고양이의 呼吸器 疾患 하면 허피스(헤르페스) 바이러스와 칼리시 바이러스를 떠올리기 쉽다. 콧물이나 기침 같은 症狀을 主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平素 자주 기침을 하는 고양이라면 喘息을 疑心해봐야 한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고양이 喘息도 一種의 알레르기 反應이다. 肺는 ‘肺胞’라고 하는 祈禱의 가장 끝에 자리한 작은 空氣주머니로 二酸化炭素와 酸素를 交換해 숨을 쉬게 한다. 그 사이로 空氣가 통하는 길이 있는데, 이를 機關紙라 하며 작은 길을 세기관지라 부른다. 免疫 反應에 依해 炎症이 생기면 機關紙에도 炎症이 생겨 좁아지고, 空氣가 통하지 못해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고양이 喘息은 처음에는 症狀이 거의 없다 炎症이 進行되면서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間歇的으로 기침이 始作된다. 以後 기침 回數가 增加하다 病이 더 進行되면 呼吸 困難으로 病院을 찾는 境遇가 많다. 목을 길게 빼고 嘔吐하는 것과 恰似하게 기침할 때가 大部分이라 嘔吐와 헷갈릴 수 있지만 嘔吐物이 나오지 않는다.

    기침 자주 한다면 檢査받아야

    喘息 初期에는 기침만 나타나지만 症狀이 進行되면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靑色症(혀나 입술이 파래지는 症狀)이 오기도 한다. 適切할 때 治療받지 않으면 氣管支에 炎症이 심해져 肺가 損傷되고 深刻한 合倂症으로 生命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고양이가 기침 症狀을 자주 보인다면 單純 感氣로 넘기기보다 病院에서 檢査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普通 胸部 放射線 檢査를 통해 氣管支의 炎症 有無를 確認하고 血液檢査, 心臟絲狀蟲 檢事, CT(컴퓨터斷層撮影) 檢査 等이 追加되기도 한다. 喘息이라면 사람처럼 完治는 어렵지만 症狀 緩和를 통해 2次 肺疾患을 막을 수는 있다. 于先 內科的으로 藥을 처방하거나 吸入藥을 통해 機關誌에 藥物을 直接 投與하는 方法이 一般的이다. 



    普通 하루에 1~2回 投與하며, 呼吸器 症狀이 甚한 境遇 바로 投與할 수 있다. 스프레이 形態의 吸入劑는 前身 內服藥보다 副作用이 적고 效果가 빠르다. 다만 고양이가 吸入劑에 適應하려면 時間이 必要하므로 相當 期間 練習해야 한다. 

    이와 함께 周邊 環境을 淸潔히 하고, 呼吸器 알레르기를 誘發할 수 있는 먼지와 化粧室 모래 等을 잘 管理해야 한다. 또한 집 안 濕度를 適切하게 維持하며 換氣도 자주 한다. 室內에서 保護者가 담배를 피울 境遇 喘息이 더 惡化될 수 있으니 이런 行動은 禁物이다. 

    喘息의 原因은 알레르기가 代表的이다. 喘息이 甚하다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物質(알러젠)을 檢査해 미리 避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心臟絲狀蟲은 喘息을 誘發하거나 惡化할 수 있으므로 定期的인 豫防이 꼭 必要하다. 最近 硏究에 依하면 肥滿度 喘息을 惡化하는 原因 가운데 하나이므로 體重 管理도 必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