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每日 10分 運動으로 자라목 脫出하기|신동아

每日 10分 運動으로 자라목 脫出하기

  • 글·김유림 記者 | rim@donga.com 寫眞·지호영 記者, 홍중식 記者

    入力 2014-04-23 16:3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많은 職場人이 慢性 목 筋肉 痛症을 呼訴한다. 스마트폰을 쓰느라 늘 어깨를 웅크릴 뿐 아니라 컴퓨터, TV 等 앉아서 모니터를 持續的으로 볼 때가 많다보니 慢性 목 痛症과 결림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現代人의 神(新)健康法으로 脚光받는 필라테스(pilates)는 몸의 緊張을 풀어주면서 同時에 筋肉을 强化해주는 健康美容體操다. 解剖學的 움직임을 바탕으로 脊椎 骨盤을 强化하고 均衡 잡힌 姿勢를 만들어주는 再活運動이다. △바른 姿勢 찾기 △마사지 하기 △필라테스 動作 하기 總 3段階로 進行한다. 各 動作은 10秒間 維持하며 3回씩 反復한다.
    1段階·바른 姿勢 찾기

    어깨가 구부정하고 배를 내밀고 서게 되면 목 앞 筋肉이 늘어지고 목 뒤 筋肉은 짧아져 緊張이 持續돼 痛症이 誘發될 수 있다. 목 健康을 위해 △가슴을 펴고 △視線은 正面으로 △脊椎 中央에 머리를 두고 △脊椎를 곧게 펴야 한다.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2段階·마사지 하기

    痛症이 생기는 部分을 손으로 주물러 緊張을 풀어주는 것도 重要하다.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1_ 1, 2番. 손으로 목 옆과 뒤 어깨線을 주물러준다.



    2_ 3番. 손으로 反對쪽 목과 어깨를 부드럽게 주물러준다.

    3_ 4番.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머리와 목 連結 部分을 눌러준다.

    3段階·필라테스 하기

    試演 및 監修 | 노수연 嘉泉大 運動再活福祉學科 敎授, 김근국 成均館大 스포츠科學과 博士, 전영연 大寒필라테스聯盟 필라테스 專門指導者

    앉아서 하는 動作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1_ 1, 2番 머리 뒤로 깍지를 낀 채로 10秒間 고개를 든다. 가슴이 열리면서 뒷목 筋肉은 弛緩되고 앞쪽은 强化된다.

    2_ 3, 4番 손을 反對便 어깨에 올린 後 밀어주면서 고개를 돌린다.

    볼을 利用한 全身 運動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1_ 1, 2番 家庭用 짐볼에 兩손을 올렸다가 앞으로 짐볼을 굴리며 어깨는 내린다.

    2_ 3, 4番 짐볼에 한 손을 올리고 다른 손을 交叉시킨다. 뒤쪽이 스트레칭되면서 앞쪽 筋肉이 强化된다.

    누워서 하는 動作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1_ 1, 2番 手巾을 깔고 누운 뒤 手巾 兩끝을 잡고 윗몸을 일으켜 10秒間 維持. 몸을 兩옆으로 비트는 것도 效果的.

    2_ 3, 4番 手巾을 말아 쥐고 바닥에 모로 누운 채 몸통을 일으킨다.

    밴드를 利用해 서서 하는 動作

    매일 10분 운동으로 자라목 탈출하기
    1_ 1, 2番 밴드를 兩손으로 팽팽하게 쥔 後 팔을 위아래로 올리거나 몸을 兩옆으로 기울인다.

    2_ 3, 4番 밴드를 접어 머리 뒤에 감싼 後 손으로 밴드를 당기면 목 筋肉이 講會된다.



    健康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