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調和와 節度를 나타내는 社稷樂機 編鐘, 編磬|新東亞

調和와 節度를 나타내는 社稷樂機 編鐘, 編磬

  • 寫眞·박해윤 記者 글·한경심 韓國文化評論家

    入力 2014-04-23 15:0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編鐘과 編磬은 예부터 ‘社稷樂機’라 불릴 만큼 宗廟祭禮樂에 빠질 수 없는 重要한 樂器다. 종과 玉돌을 나란히 매단 編鐘과 編磬은 打樂器면서도 音律(멜로디)이 있어서 크기는 같으나 두께에 따라 音의 높낮이가 달라진다. 日帝强占期에 製作法 脈이 끊긴 두 樂器를 ‘樂學軌範’에 맞춰 새로 製作하는 데 成功한 사람이 김현곤 樂器長이다.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1 編磬의 玉돌은 色깔도 곱고 소리도 淸雅해야 한다. 이 玉돌 求하기가 만만치 않다.

    2 編鐘의 音을 맞추기 위해 내경(속)을 긁어야 한다. 섬세한 作業이다.

    3 맑고 고운 소리가 나는 勳. 오카리나의 音色과 비슷하다.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4 김현곤 樂器腸이 直接 만든 鄕琵琶(民俗樂에 쓰는 우리 琵琶)를 뚱寄稿 있다.

    5 編鐘은 구리와 朱錫, 亞鉛, 납, 人을 合金해 鑄物로 찍어낸다.



    6 우리 音의 피치를 標示한 表. 黃鐘(가온音 도)부터 12陰이고 한 옥타브 위의 夾鐘(내림 마, E b )까지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