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를 쓰는 가장 좋은 道具는 眞實”|新東亞

“詩를 쓰는 가장 좋은 道具는 眞實”

정호승 詩人

  • 이소리│ 詩人, 文學in 代表 lsr21@naver.com

    入力 2012-04-19 11:0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104刷 찍은 散文集 ‘내 人生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
    • 高校 때 學校 안 가고 쓴 評論 當選…奬學金 받고 入學
    • “水道꼭지 틀면 물 나오듯 詩는 나오지 않아”
    • 나는 文學을 들고 일하는 自營業者
    • 젊은 詩人은 自意識과 表現 過剩 버려야
    • 只今은 웅덩이에 市價 고이기를 기다리는 中
    “시를 쓰는 가장 좋은 도구는 진실”
    김용택, 都鍾煥, 安度眩과 더불어 韓國 詩壇을 반짝반짝 빛내는 스타 詩人 정호승. 情 詩人은 1979年 3月 첫 詩集 ‘슬픔이 기쁨에게’로 讀者를 사로잡은 뒤 2010年 11月 10番째 新作 詩集 ‘밥값’을 펴냈다. 登壇 40年을 맞은 詩人이 2006年 3月에 펴낸 散文集 ‘내 人生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는 이미 100刷를 훌쩍 넘겨 지난 1月 27日 104刷를 찍었다. 只今도 ‘書店街 터主大監’으로 跏趺坐를 틀고 있다. 수많은 愛讀者를 거느린 情 詩人은 그러나 요즘 너무 조용하다. 어디선가 또 跏趺坐를 틀며 무슨 꿍꿍이를 하고 있을 거 같다.

    4月 3日 午後 그를 만나기 爲해 서울 대치동의 한 커피숍으로 가는 날, 初겨울 날씨처럼 손발이 오그라들었다. 차디찬 봄바람도 몹시 거칠게 불었지만 그의 첫마디에 온몸이 스르르 녹았다.

    “요즘 詩를 통 안 쓰고 있어요. 요즘 詩가 내 房에 찾아와 벌러덩 드러눕기도 하고, 슬슬 集積거리기도 해요. 市의 웅덩이에 市價 고이기를 기다리고 있어요(웃음).”

    옆구리에 노란 冊封套를 낀 詩人의 銀빛 머리카락도 봄바람에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었다. 詩人은 별을 바라보는 사람이며, 데뷔作도 ‘瞻星臺’여서 雅號(雅號)를 ‘添星(瞻星)’이라고 지었다는 詩人 정호승. 그래서인지 그날따라 詩人의 눈에서는 더 많은 별이 초롱초롱 빛나고 있었다.

    어머니 / 아무래도 제가 地獄에 한番 다녀오겠습니다 / 아무리 멀어도 / 아침에 出勤하듯이 갔다가 / 저녁에 退勤하듯이 다녀오겠습니다 / 食事 거르지 마시고 꼭꼭 씹어서 잡수시고 / 外出하실 때는 가스불 꼭 잠그시고 / 너무 念慮하지는 마세요 / 地獄도 사람 사는 곳이겠지요 / 只今이라도 밥값을 하러 地獄에 가면 / 비로소 제가 人間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밥값’ 모두

    原豆커피 한 盞을 앞에 놓고 맑은 눈웃음을 툭툭 던지는 그에게 요즘 作品 活動에 對해 물었다.

    “市로 登壇한 지 꼭 40年이고, 小說家 박범신 先生과 같아요. 2010年 11月에 10番째 詩集 ‘밥값’을 냈으니, 제가 媤집을 너무 많이 낸 것인가요?”라는 答이 돌아왔다.

    ▼ 詩人들은 普通 3年마다 詩集 한 卷씩을 내니까 조금 적게 낸 거 아닌가요. 11番째 新作 詩集은 언제쯤 볼 수 있을까요?

    “그동안 통 詩를 안 쓰고 있었어요. 여름날 냇가에 가서 모래를 罷免 처음에는 물이 안 고이는 것 같지만 조금 지나면 물이 스윽 고여 웅덩이가 되지요. 只今은 ‘밥값’ 以後 市의 웅덩이에 市價 고이기를 기다리는 時期입니다. 詩人이 詩를 찾아가는 境遇도 더러 있지만, 다른 한便으로는 詩가 저를 찾아오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이 들어요. 올해 登壇 40年이니까 詩가 나를 찾아줄 것 같다는 少年 같은 설렘도 있지요. 예쁜 少女가 그女를 끝없이 기다리는 少年을 찾아오듯이.”

    ▼ 그동안은 詩를 찾아가지 않았나요?

    “맞아요. 恒常 詩를 찾아갔죠. 제가 詩를 찾아가니까 市가 마중을 나오는 때도 있었고요. 요즘은 ‘밥값’ 以後 새로운 詩集을 構想 中입니다. 이러한 計劃들은 오늘의 問題이지 來日의 問題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우리에게 오늘만 있지 來日은 없으니까요.”

    詩人 정호승은 暫時 생각에 잠기더니 지난해 世上을 떠난 김규동(1925~2011) 先生을 떠올렸다.

    “제 나이 60이 되었을 때 先生님을 찾아뵈었는데 나이를 물으시고는 ‘詩人의 人生에서 60~65歲가 가장 좋은 詩를 쓸 때’라고 하셨어요. 只今도 그 말씀을 宏壯히 貴하게 생각하고, 이 엄청난 時機를 놓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情 詩人은 1950年生이니, 올해 우리 나이로 63歲다.

    ▼ 2006年 3月에 펴낸 散文集 ‘내 人生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는 이미 100刷를 훌쩍 넘긴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2006年 3月에 펴낸 冊이니까 햇數로 6年째지요. 제가 詩作노트에 적어두었던 좋은 말 한마디와 冊을 읽다 가슴 깊숙이 와 닿는 글句를 土臺로 삼아 쓴 散文입니다. 이 散文集은 中間쯤 쓰다가 낸 冊이어서 올해 안에 제대로 끝내기 위해 마무리作業을 하고 있어요.”

    인터넷을 뒤져보면 詩人 정호승은 1950年 1月 3日 大邱에서 태어나 大邱에서 자란 것으로 되어 있지만, 事實은 慶南 河東에서 태어나 初等學校 1學年 때 大邱로 옮겨갔다.

    “大邱가 故鄕 같은 곳”이라고 말하는 詩人은 中學校에 다닐 때까지는 큰 어려움 없이 살았다. 아버지가 大邱에서 銀行員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詩人이 熱心히 살아갈 수 있는 能力인 ‘가난의 힘’을 깨치기 始作한 것은 高等學校에 다닐 무렵. 아버지가 銀行을 그만두고 여러 事業을 하다가 잇달아 失敗하면서 家庭形便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詩人은 그때부터 서울에 있는 大學에 다녀야겠다는 꿈을 꾸기 始作한다. 활을 쏘아 명중시키려면 과녁을 멀리서 보아야 하는 것과 같은 理致란다.

    高校文藝의 省察-高敎示를 中心으로

    ▼ 高校 때 慶熙大 全國高校文藝作品募集에 當選해 1968年에 慶熙大 文藝大學生으로 入學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때 쓴 作品도 時였나요?

    “6回 大會였죠. 저는 詩를 써서 當選한 게 아니라 評論을 써서 當選했어요. 評論 當選은 그때가 처음이었지요. 題目이 ‘高校文藝의 省察-高敎示를 中心으로’였어요. 그 評論을 쓰기 위해 어머니에게 ‘學校(高校)에서 連絡 오면 아프다고 하십시오’라고 핑계를 대도록 하고, 1週日 동안 집에 틀어박혀 120枚 程度를 썼어요. 그 評論을 當選作으로 뽑아주신 분은 그때 審査委員이었던 김우종 先生님이었죠.”

    경희대에서는 只今도 全國高校文藝作品을 公募하고 있지만, 그때에도 全國 高校生들이 쓴 文藝作品을 募集해 當選한 學生에게는 1年 동안 文藝奬學金을 주었다. 在學 中에 新春文藝나 文藝誌 推薦制를 거쳐 旣成 文人이 되면 卒業할 때까지 總長 奬學金을 줬다. 詩人 정호승은 1年 동안 文藝奬學金을 받고 學校에 다니다가 1969年 休學을 한다. 1969年 ‘朝鮮日報’ 新春文藝에 應募했으나 最終審에서 떨어져 學費를 더 以上 마련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詩人은 이때 慶州에 있는 外家집인 草家 庵子에 들어가 1年 동안 考試 工夫하듯 詩를 써서 다시 新春文藝에 應募하지만 또다시 最終審에서 미끄러진다. 詩人이 1970年 그해 自願入隊를 한 것도 休學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그럼 1972年 ‘韓國日報’ 新春文藝에 同時 ‘石窟庵을 오르는 영희’와 1973年 ‘대한일보’ 新春文藝에 時 ‘瞻星臺’가 當選된 때는 軍人 身分이었군요.

    “그렇죠. 근데 참 안타까운 일은 제가 詩로 當選한 그해 ‘대한일보’가 없어졌어요. 그때가 維新 初期였는데, 大韓日報 社主인 김연준 理事長이 水災義捐金을 모아 逋脫했다는 嫌疑로 그만…. 저로서는 나자마자 엄마가 죽은 것과 같았지만, 그게 重要한 건 아니에요. 태어나게 해준 것만도 感謝한 일이지요. 登壇을 어디로 하든 태어났으면 스스로 힘으로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요즘 靑年들은 너무 父母에게 依存하고 있어 스스로의 삶이 缺如되어 있는 것 같아요. 예나 只今이나 新春文藝 當選者 가운데 折半 以上이 제대로 活動하지 못하고 있어요. 始作이 곧 끝이 되어서는 안 되죠.”

    情 詩人은 “(대한일보 廢刊으로) 엄마 젖도 못 먹어 죽어야 했지만, 40年 동안 그래도 스스로 詩를 쓰며 熱心히 살아올 수 있었던 것에 感謝할 따름”이라며 “詩를 쓰는 것은 끊임없이 努力하는 것이며, 어떤 中心(目標點)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귀띔한다. 그래서일까. 정호승 詩人이 펴낸 詩集 ‘슬픔이 기쁨에게’나 ‘서울의 예수’ ‘새벽便紙’ 等에는 都市 邊두리 삶이 많이 깃들어 있다. 詩人 스스로도 農村에서 살아본 적이 없고, 大邱나 서울에 있는 都市 邊두리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나자마자 엄마가 죽은 것

    ▼ 왜 詩를 쓰려고 했나요?

    “시를 쓰는 가장 좋은 도구는 진실”
    “初等學校에 다닐 때 ‘學院’李 唯一한 雜誌였어요. 中學校에 다닐 때에는 아버지께서 민중서관에서 나온 ‘한국문학전집’을 사놓으셨어요. 그 冊은 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兄과 누나들 읽으라고 사놓으신 거였죠. 그 冊은 깨알만한 세로글씨에 2段으로 빼곡하게 編輯해 中學生들이 읽기에는 꽤 어려웠어요. 아버지께서 特別히 그 冊을 읽으라고 强要하지도 않았지만 저는 그래도 다 읽었어요. 高校에 다닐 때부터는 用돈이 생기면 大邱 市內에 있는 헌冊房에 가서 現代文學 作品을 사서 詩, 小說, 評論 等 닥치는 대로 다 읽었어요. 이때 評論은 곧 作家論이자 文學史論, 文學爭點이라는 것을 알았어요. 경희대에 評論을 應募한 것도 이런 過程이 있었기 때문이죠.”

    “高校 때 읽은 ‘殉愛보’ 等 短篇小說이 너무 재미있었다”고 말하는 詩人의 눈에는 好奇心이 톡톡 튀었다.

    “그때 읽은 短篇小說 가운데 只今도 잊지 못하는 句節이 있어요. 어느 겨울날 娼女가 하는 말 가운데 ‘다들 불알이 탱탱 얼어붙었나? 왜 한 名도 안 오는 거야’라는 句節 말이에요. 이 句節을 읽고 當時에는 衝擊을 받았지만, 그때부터 ‘어른들이 지닌 內面의 世界’를 엿볼 수 있었어요.”

    ▼ 評論이나 小說을 더 좋아했는데, 왜 詩를 쓰게 되었나요?

    “事實 小說家가 되고 싶었어요. 제가 大邱 대륜고에 다닐 때 文藝擔當 先生님이나 文藝班 學生들이 大部分 詩를 썼기에 저도 덩달아 詩를 쓰게 된 것입니다. 1982年 조선일보 新春文藝에 短篇小說 ‘慰靈祭’가 當選된 것도 제가 小說家에 對한 꿈을 끝내 저버리지 못했기 때문이었죠.”

    詩人 정호승은 나이 41歲 때인 1991年에 멀쩡하게 잘 다니던 ‘월간조선’을 그만둔다. 마치 高校 때 詩人 아버지가 銀行員을 그만둔 것을 代물림하듯. 詩人은 職場生活을 처음 할 때부터 한 가지 目標가 있었다고 한다. 10年 뒤 職場을 그만두고 小說을 쓰겠다는 야무진 꿈, 그것이다. 10年은 1年처럼 재빨리 지나갔다. 詩人은 그때부터 6年 동안 小說에 모든 것을 건다.

    ▼ 小說이 詩보다 더 適性에 맞던가요?

    “막상 職場을 그만두고 아무런 收入도 없이 小說에 매달리니까 긴 時間과 莫大한 經濟的 損失을 堪當할 수 없었어요. 6年이라는 酷毒한 代價를 치르고 나서야 깨달았죠. 文學 장르가 여러 가지지만, 제 文學的 氣質에 맞는 장르는 結局 詩라는 것을. 그때부터 ‘아, 나는 小說이 아니다. 이러다가 時도 못 쓰겠다’ 생각하고 손을 놓았습니다. 詩人으로서 죽을 뻔하다가 겨우 살아난 셈이죠. 그해(1997)에 낸 詩集이 ‘사랑하다 죽어버려라’입니다. 그 詩集은 5個月 程度 集中的으로 쓴 詩예요. 저는 平素 떠오르는 詩想을 노트에 메모했다가 集中的으로 詩를 쓰는 스타일이에요. 그때부터 只今까지 저는 時人이지 小說家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人間은 自己를 빨리 알아야죠. 다시 말하지만 저는 詩人입니다.”

    ▼ 詩人이나 作家는 經濟的으로 매우 어렵잖아요? 文人은 어떤 職業을 가지는 게 좋다고 봅니까?

    “어떠한 職業이든지 職業을 가져야 해요. 詩나 小說을 쓰기 위해 職場을 버린다는 것은 달의 한 面만 보는 것과 같아요. 저도 일찌감치 職場을 그만두긴 했지만 恒常 잊지 않고 있는 것은 사람들 大部分이 일찍 일어나 職場으로 가기 때문에 나도 일찍 일어나 내가 만든 職場으로 出勤해야 한다는 것이죠. 아침 일찍 일어나 冊床 앞에 앉아 冊을 읽고, 企劃하고, 쓰는 것, 그게 내가 만든 職場입니다. 商號는 없지만, 文學을 들고 일하는 自營業者죠.”

    그는 구두美化員과 洗濯所를 꾸리는 사람과 比較했다. 그들은 15層 아파트 階段을 오르내리며 顧客을 한 名이라도 더 만들기 위해 목이 쉬도록 외치고 다니며 산다. 文學人도 그들처럼 自己가 만든 職場에서 熱心히 살아야 한다는 게 그의 要旨였다. 고통스럽지만 苦痛 속에 기쁨이 있다는 것이다.

    나는 文學 自營業者

    ▼ 文學 自營業者로서 힘든 點도 많죠?

    “詩는 人間을 理解해야 하고, 그들 삶과 人生을 理解하는 그 무엇입니다. 저는 人間을 理解하기 어렵습니다. 저 自身도 理解하기 어려우니까요. 讀者들은 나를 ‘70年代 詩人’이라 하지만 나는 한 時代의 苦痛과 눈물을 닦기 위해 詩를 씁니다. 人間이라는 나의 눈물조차 理解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詩를 써야 합니다. ‘죽음이 있는데 熱心히 살면 뭐하나’라는 그런 생각은 버려야죠. 只今 내가 살고 있다는 事實이 더 重要하지 않습니까? 그냥 詩를 쓰죠. 詩를 쓰고 있다는 事實이 더 重要하니까요. 詩를 써서 그 무엇을 이루고 싶은 생각은 없어요. 詩는 무엇을 이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詩人 정호승은 “詩人이 쓴 詩를 놓고 잘 쓴다, 못 쓴다, 옳다, 그르다 그렇게 보는 것은 아니다”고 못 박는다. 詩는 누구의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의 것이기 때문이다. 갑자기 다음 質問이 툭 튀어나왔다.

    ▼ 그럼 좋은 詩는 어떤 時입니까?

    “詩人은 靈魂의 樣式을 生産하고 消費하는 사람입니다. 꽃도 그러하죠. 꽃은 바라보는 사람의 것입니다. 꽃이 피어났는데 아무도 그 꽃을 바라보지 않으면 그 꽃이 얼마나 슬플까요. 아마 그 다음해에는 꽃을 피우지 않을 수도 있겠죠. 詩도 마찬가지입니다. 詩를 쓰는 사람의 立場에서 詩가 讀者에게 읽히지 않으면 그 詩人이 얼마나 가슴 아파할까요. 讀者가 靈魂의 樣式으로 詩를 맛있게 먹고 營養價를 빨아들여 健康하게 살 수 있도록 해야겠죠. 詩의 맛과 깊이, 營養價는 詩를 쓴 그 詩人에게 달려 있죠.”

    ▼ 올해는 政治의 해인데요, 詩人이 할 수 있는 役割은 뭐라고 봅니까?

    “時人으로서의 役割은 肯定的인 意味에서의 기다림입니다. 한 個人, 한 時代, 한 國家의 삶에서 무엇을 기다리느냐는 매우 重要하죠. 기다림이 없으면 希望이 없는 것과 같아요. 기다림의 힘과 勇氣, 성실한 姿勢, 方向, 態度 等에서 政治人보다 詩人이 더 所重한 役割을 해야 합니다. 기다림도 勇氣죠. 언젠가 우리는 統一의 물꼬를 틀 수 있어요. 제가 統一된 祖國을 볼 수 없다 할지라도 제 다음 世代에서는 濟州島나 外國이 아닌 白頭山으로 新婚旅行을 갈 수 있을 거라 여겨요. 이에 따른 具體的인 기다림이 있어야죠. 그런 기다림이 없으면 努力도 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 社會가 進步와 保守로 갈라져 對立한다고 할지라도 共通된 기다림이 있어야 해요. 政治人보다 時人이 그런 기다림, 希望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情 詩人은 우리 社會는 政治를 于先 色眼鏡을 끼고 본다고 斷言했다. 政治라는 말에 때가 많이 묻어 있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그는 “나는 確實하게 기다리고 있다”며 “기다림의 瞬間이 없으면 絶望만 가득할 뿐”이라고 線을 그었다.

    봄이 왔으니 꽃이 핀 것

    울지 마라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 공연히 오지 않는 電話를 기다리지 마라 /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 갈대숲에서 가슴 검은 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 /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 山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番씩 마을로 내려온다 / 鐘소리도 외로워서 울려 퍼진다 -‘수선화에게’

    詩人 정호승은 純粹文學과 參與文學 이야기가 나오자 ‘수선화에게’란 詩를 끄집어냈다. 올봄 서울 영등포 거리에서 水仙花 花盆을 산 이야기를 들려준다. 詩人은 “그 花盆에 每日 물을 주니까 꽃이 피었다”며 “水仙花 꽃을 보고 ‘봄이 왔나’ 생각했는데 그게 잘못이었다”고 告白한다. 봄이 왔으니까 꽃이 핀 것이지, 꽃이 피어서 봄이 오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 進步와 保守? 그렇다면 純粹文學과 參與文學에 對한 생각은 어떠하나요?

    “文學에서 純粹와 參與라는 對立關係는 이미 지나갔다고 봅니다. 只今은 서로 共有하는 時代죠. 純粹니 參與니 하면서 詩의 本質을 잃지 않아야 해요. 純粹와 參與는 本質과 現象 같은 거라고 생각해요. 現象의 變化에만 매달리고 本質을 보지 못하면 안 되겠지요. 詩人은 本質의 本質에 더 가까운 삶을 살아야 해요. 한때 詩의 本質이 毁損되고 缺如된 채 살아온 時代가 있었어요. 純粹와 參與가 마치 물과 기름처럼 對立하곤 했죠. 只今은 回復하는 時期예요. 커피에 牛乳를 타서 휘휘 저어서 마시듯이, 純粹와 參與도 그렇게 어우러져야겠지요.”

    ▼ 詩를 쓸 때 마음가짐은요?

    “原則은 眞實에 있습니다. 眞實이 가장 좋은 詩를 쓰게 하죠. 詩人은 純粹와 參與를 따지지 말고 眞實을 志向하는 態度를 지녀야 합니다. 人間은 眞實 덩어리가 될 수는 없지만 志向은 해야 한다는 뜻이죠. 事物을 바라볼 때도 眞實을 志向하는 마음을 지녀야 詩를 쓰는 가장 基本的인 마음이 생겨나요. 우리가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사랑의 克明한 狀態는 ‘條件 없는 사랑’입니다. 母性, 神의 사랑은 條件이 없지요. 그게 사랑의 本質, 곧 眞實입니다. 그런 사랑의 마음으로 事物과 그 事物이 이루고 있는 形象을 바라볼 줄 아는 詩人이 되어야 합니다. 어렵겠지만요.”

    詩人 정호승은 1976年 김명인, 김창완, 이동순(1집에만 參與), 金命洙 等과 함께 ‘半時(反詩)’ 同人活動을 했다. ‘半時’에 실린 序文의 核心은 “쉬운 日常의 言語로 現實的인 삶의 悲哀나 桎梏을 具體的으로 노래한다”였다. 詩人 정호승은 이러한 ‘半時’의 態度에 對해 “1960年代 詩人들이 너무 抽象的인 詩를 썼다”고 꼬집는다. 이는 곧 60年代 詩가 難解性을 지니고 있었다는 뜻이다. 詩人은 “‘半時’는 그런 難解性을 버리고 具體性을 노래하려 했다”며 “‘半時’의 ‘飯(反)’은 그런 努力의 一環”이라고 說明했다.

    그는 ‘半時’를 비롯한 ‘新春市’ ‘현대시’ 等 同人活動에 對해 “1970年代 韓國時事에 重要한 役割을 했다”며 “詩는 외로움을 견디며 쓰는 것이지만 同人活動은 于先 외롭지 않아 좋았다”고 回想했다.

    ▼ 10卷의 詩集 가운데 가장 아끼는 作品은?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잖아요? 그中에서도 媤집의 標題가 된 詩들을 아껴요. 요즘엔 내가 아끼는 作品이 앞으로 더 나오면 어떡하나 걱정해요(웃음). 사람은 언제든지 떠나요. 아침에 잠깐 ‘오늘의 重要性’을 强調한 법정 스님의 冊을 읽으면서, 법정 스님은 ‘스님으로서의 삶을 살면서 無所有를 빼고 우리에게 무엇을 주려 했을까’ 하는 생각에 잠겼어요. 스님은 오늘 이 瞬間을 熱心히 살라고 하시는 것 같아요. 우리에게 來日은 없지요. 瞬間의 重要性을 알아야 합니다. 詩人은 이 瞬間에 熱心히 詩를 쓰면서 살아야 합니다. 萬若 죽을 때 가슴속에 詩가 들어 있어, ‘이 詩를 다 못 쓰고 가면 어떡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는 안 됩니다. 가벼워지려면 빨리 쏟아내야 해요. 갈 때는 가슴속에 아무것도 남지 않아야 합니다.”

    “죽을 때 가슴에 詩가 남아 있으면 안 돼”

    룸비니에서 사온 / 흙으로 만든 부처님이 / 마룻바닥에 떨어져 散散조각이 났다 / 팔은 팔대로 다리는 다리대로 / 목은 목대로 발가락은 발가락대로 / 散散조각이 나 / 얼른 허리를 굽히고 / 무릎을 꿇고 / 서랍 속에 넣어두었던 / 瞬間接着劑를 꺼내 붙였다 / 그때 늘 부서지지 않으려고 努力하는 / 불쌍한 내 머리를 / 多情히 쓰다듬어주시면서 /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 散散조각이 나면 / 散散조각을 얻을 수 있지 / 散散조각이 나면 / 散散조각으로 살아갈 수 있지 -‘散散조각’ 모두

    詩人 정호승이 늘 가슴속 깊숙이 담고 있는 自作詩는 ‘散散조각’이다. 詩人은 인터뷰 자리에서 이 詩를 마치 글쓴이 앞에 부처님이 나타나 直接 말씀하시는 것처럼 나직하게 읊었다.

    情 詩人은 요즘 젊은 詩人들이 發表하는 詩와 그 詩에 對해 大衆歌謠처럼 本質的 抒情을 잃고 있다고 걱정했다. 全體的으로 보면 多樣性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人間의 本質은 變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人間이 지닌 喜怒哀樂은 恒常 變하지 않고 있는데, 젊은 詩人들의 詩가 먼저 變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自意識과 表現이 過剩되어 있는 것 같아요. 좋게 말하면 個性이나 發展, 變化라 할 수 있겠지만 너무 散文化되고 있어요. 自己 自身만의 自意識이 넘치다보면 詩의 本質을 잃을 수 있죠. 詩는 詩 精神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散文 精神이 바탕이 된 것 같은 憂慮가 들어요. 마치 21世紀 새로운 詩의 流行에 길든 것처럼 聯과 行 區分도 없어요. 詩의 行과 行 사이, 聯과 연 사이에는 깊은 江이 흐르고, 깊은 溪谷도 있어요. 散文 흐름 속에도 勿論 江과 溪谷이 있겠지만, 왜 詩의 本質的 形態에 기대지 않고 散文的 形態에 依存하느냐는 거죠.”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도 活用하나요?

    “變化된 時代, 變化가 ‘肯定化’되는 時代에 變化는 있을 수밖에 없어요. ‘소셜’은 個人의 삶의 形態이자 性格일 수도 있죠. 어떤 옷을 입느냐는 것과 같아요. 저는 變化는 받아들이지만 조금 消極的이에요. ‘트위터’ ‘페이스북’도 하지 않고, 홈피度 없어요. 저는 드러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홈避나 블로그度 만들지 않지요. 한番은 ‘페이스북’을 하려고 加入했다가 곧 그만두었어요. 나라는 存在가 너무 드러나기 때문이죠. 只今 인터넷에 떠도는 정호승 홈피들도 제가 만든 게 아니라 팬들이 만든 팬 페이지입니다. 그 홈避들도 問題가 많아요. 제가 쓴 멀쩡한 詩를 行과 鳶島 제멋대로 바꾸고, 市 內容이 다른 것도 꽤 많거든요. 저야 그렇다고 쳐도, ‘소셜’은 수많은 사람에게 現代的 삶에 對한 自己表現의 한 方法이라고 여겨요. 저 또한 變化無雙한 疏通의 方法을 너무 모른 척할 수 없어 앞으로는 電子冊을 읽을 생각입니다. 電子노트로 詩를 쓰려고 해요. 저는 그 便利함을 價値 있게 活用하면 된다고 봅니다. 그래도 只今까지는 노트북으로 詩를 쓰는 게 훨씬 좋아요.”

    情 詩人은 인터뷰를 마무리하면서 ‘詩로 쓴 自畫像’이라며 自作詩 ‘소년’을 直接 읊었다.

    온몸에

    함박눈을 뒤집어쓴

    하얀 瞻星臺

    瞻星臺 꼭대기에 홀로 서서

    밤새도록 별을 바라보다가

    눈사람이 된





    인터뷰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