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名譽’보다 ‘所信’ 擇한 現代 經濟學界의 良心|新東亞

‘名譽’보다 ‘所信’ 擇한 現代 經濟學界의 良心

폴 크루그먼 美 프린스턴대 敎授

  • 하정민 │東亞日報 國際部 記者 dew@donga.com

    入力 2014-04-21 14:4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우리 時代의 가장 影響力 있는 經濟學者’ ‘現存하는 經濟學者 中 最高의 毒舌家’ ‘부시 政權의 永遠한 狙擊手’ ‘參與型 知識人의 表象’…. 2008年 노벨經濟學賞 受賞者인 폴 크루그먼 美國 프린스턴대 敎授에게 쏟아진 評價다. 그는 經濟學者 中 最初로 뉴욕타임스(NYT)의 固定 칼럼니스트로 活動하며 조지 W 부시 前 美國 大統領의 減稅 政策, 이라크 戰爭 等에 날선 批判을 아끼지 않았다.
    2014年 2月 28日 폴 크루그먼(61) 美國 프린스턴대 經濟學科 敎授의 블로그(krugman. blogs.nytimes.com)에 짤막한 글이 올라왔다. “2015年 8月부터 뉴욕市立大(CUNY)에서 일할 것이다. 프린스턴이라는 最高의 大學에 不滿이 있어서가 아니다. 分配와 正義 問題를 좀 더 깊이 硏究하기 위해서다. 뉴욕타임스(NYT) 寄稿도 繼續하겠다.”

    美國 예일대를 卒業하고 매사추세츠 工大(MIT)에서 博士 學位를 딴 後 例일, 스탠퍼드, MIT, 英國 런던政經大(LSE) 敎授 等을 거쳐 프린스턴대 敎授로 오랫동안 在職해온 크루그먼은 所謂‘엄친아 中 엄친아’다. 또 프린스턴大는 經濟學 分野에서 하버드대, 시카고대와 함께 獨步的인 ‘빅3’로 꼽힌다. 一般 經濟學者도 아니고 노벨經濟學賞 受賞者가, 經濟學者라면 누구나 敎授를 하고 싶어 하는 프린스턴이라는 아이비리그 名門大를 떠나 韓國의 專門大와 類似한 커뮤니티 칼리지人 뉴욕市立大로 옮긴다는 事實이 큰 話題가 된 理由다.

    게다가 巨額의 年俸을 받고 私企業으로 옮기는 것도 아니고, 하버드나 예일처럼 프린스턴에 견줄만한 다른 名門大로 옮기는 것도 아니니 사람들의 놀라움은 더했다. ‘看板’과 ‘스펙’에 목숨 거는 나라가 아닌 美國 內에서도 이를 疑訝하게 바라보는 視線이 많았다.

    크루그먼 敎授가 새롭게 일할 뉴욕시립대의 룩셈부르크 所得硏究센터는 所得, 部, 雇傭 等 社會 不平等 問題를 專門的으로 다루는 大學院 過程을 두고 있다. “現在 美國 社會의 所得 不平等 水準이 大恐慌 直前인 1920年代 水準이다. 美國이 자랑해온 ‘中産層 神話’는 더 以上 存在하지 않는다”고 强調해온 만큼 그는 이곳에서 自身의 關心事인 分配 및 正義 問題를 더욱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재닛 高르닉 룩셈부르크 所得硏究센터 所長은 “가장 著名하고 影響力 있는 經濟學者인 크루그먼 敎授가 우리 學校에 온다는 事實에 興奮을 감출 수 없다”고 期待感을 표했다.

    一角에서는 ‘부시 狙擊手’로 불릴 程度로 조지 W 부시 行政府 및 共和黨의 減稅, 規制 緩和, 戰費 支出 等에 날선 批判을 해온 그의 履歷을 勘案할 때 뉴욕市立대로의 異跡은 豫見된 行步였다고 分析한다. 이처럼 크루그먼 敎授는 象牙塔에 갇혀 衒學的인 高談峻論을 즐기기보다는 現實의 不條理를 바꿔야 한다고 믿는 人物이다. 單純히 共和黨과 保守主義 陣營만 批判하는 것도 아니다. 민주당도 例外는 없다. 크루그먼 敎授는 버락 오바마 美國 大統領이 上院議員日 때부터 “實踐 方案이 없는 當身의 비전과 政策은 空虛하다”며 直擊彈을 날려 話題를 모았다.



    平生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산 그가 왜 分配 正義와 所得 不平等 硏究에 執着하며 美國 主流 社會와 戰爭을 벌이고 있을까. 還甲이 넘은 나이에도 지치지 않고 美國 政治權과 월街 全體에 毒舌을 퍼붓는 그의 熱情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그 背景을 探究해보자.

    ‘新貿易理論’의 誕生 背景

    크루그먼은 1953年 美國 뉴욕 州 알바니에서 폴란드系 移民者 後孫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남달리 총명했던 그는 1974年 예일대 經濟學科를 最優等으로 卒業했다. 크루그먼은 1977年 不過 24歲의 나이에 MIT에서 變動換率制度를 主題로 經濟學 博士 學位를 땄고 2年 後 名文 MIT의 敎授가 됐다. 그가 博士 課程 學生일 當時 指導敎授였던 루디 돈부시 敎授는 後날 크루그먼에게 노벨賞의 榮譽를 안긴 ‘新(新)貿易理論’의 실마리를 提供해줬다. 크루그먼 또한 돈부시 敎授를 ‘經濟學 歷史上 가장 偉大한 스승’이라고 稱頌했다.

    크루그먼이 主唱한 新貿易理論(New Trade Theory)은 19世紀 以後 國際貿易理論에서 絶對 眞理로 여겼던 比較優位 理論의 虛點을 補完한 것으로 有名하다. 英國 經濟學者 데이비드 리카르도가 提示한 比較優位 理論은 ‘國家 間 貿易이 發生하는 理由는 各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잘 만들 수 있는 商品이 있고, 이를 서로 交換하려 하기 때문’이라고 說明했다. 卽 日本처럼 技術이 發達한 나라는 自動車나 電子製品을, 南美 칠레처럼 農産物이 豐富한 나라는 農産物을 싸게 生産해 서로 交換하므로 貿易이 發生한다는 意味다.

    問題는 現實의 貿易이 반드시 比較優位로만 이뤄지지 않는다는 點이다. 實際로는 技術 水準이 비슷한 여러 나라가 技術 水準이 비슷한 同種 製品을 사고파는 去來가 훨씬 많이 일어난다. 例를 들어 美國과 獨逸은 다 自動車 强國이지만 美國 消費者도 벤츠를 사고, 獨逸 消費者 또한 제너럴모터스(GM)나 포드를 산다. 왜 그럴까.

    크루그먼은 이런 現象이 일어나는 理由로 ‘規模의 經濟’와 ‘消費者의 다양한 記號’를 들었다. 生産 規模를 늘리면 商品을 만들어내는 費用이 줄어 價格 競爭力이 생긴다. 그 때문에 規模의 經濟를 實現할 수 있는 先進國은 더 다양하고 많은 商品을 開發할 수 있고, 여러 나라에 輸出할 수 있다. 消費者의 嗜好 또한 千差萬別이기에 國産品과 輸入品 中 自身이 選好하는 商品을 고르다보면 貿易이 發生할 수밖에 없다는 論理다.

    新貿易理論을 통해 國際貿易 專門家로 急浮上한 크루그먼은 1982~1983年 로널드 레이건 大統領을 도와 白堊館 經濟諮問委員會 委員으로 活動했다. 共和黨 批判者인 크루그먼의 첫 公職 生活이 共和黨의 巨頭인 레이건 政權에서 이뤄졌다는 點도 興味롭다.

    크루그먼은 1991年 38歲의 나이로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받는다. 美國 經濟學會가 2年마다 獨步的 業績을 남긴 40歲 以下 經濟學者에게 주는 이 賞은 ‘豫備노벨經濟學賞 候補가 받는 賞’이라 불릴 程度다. 그 때문에 크루그먼 敎授의 노벨經濟學賞 受賞은 時期의 問題일 뿐이라는 意見이 大部分이었다.

    아시아 外換危機 豫測

    1994年 經濟學者 크루그먼의 名聲을 높이는 事件이 또 일어났다. 그는 같은 해 美國 外交專門誌 ‘苞鱗 어페어스’ 11~12月號에 ‘아시아 奇跡의 神話(The Myth of Asian Miracles)’라는 論文을 寄稿했다. 그는 이 글을 통해 “韓國, 싱가포르, 臺灣, 홍콩 等 所謂 ‘아시아의 네 마리 龍’李 乘勝長驅하고 있음에도 아시아 新興國家의 經濟成長이 곧 限界에 直面할 것”이라고 豫見했다.

    잘 알려진 대로 經濟成長의 3가지 要因은 勞動, 資本, 技術이다. 크루그먼은 “아시아 國家의 經濟成長은 技術 進步 없이 값싼 勞動力과 政府 主導의 大規模 資本 投入으로만 이뤄졌기 때문에 成長 限界가 분명하며 早晩間 危機를 맞을 수 있다”고 一喝했다.

    大多數 經濟學者가 아시아 新興國을 ‘第2의 日本’이라 稱頌하고 있을 때 登場한 그의 否定的 展望은 相當한 注目을 받았다. 結局 3年 後인 1997年 아시아 全域에 外換危機의 暴風이 몰아쳤고 韓國은 建國 以後 最初로 國際通貨基金(IMF)의 救濟金融을 받는 受侮를 겪어야 했다. 크루그먼 敎授는 韓國 外換危機 當時 20%에 肉薄하는 殺人的 高金利 等 IMF의 酷毒한 救濟金融 條件도 强度 높게 批判한 바 있다. 이 모두가 그가 創案해낸 新貿易理論에 따른 分析의 結果였다.

    毒舌家로 名聲을 날리다

    뛰어난 學問的 成果 못지않게 ‘毒舌’李 크루그먼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時點은 2000年 조지 부시 行政府 出帆 때부터다. 그는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서 부시 政權이 벌인 연이은 戰爭과 莫大한 財政 支出은 勿論 감세, 規制 緩和 等 친(親)기업 政策이 美國 社會의 健全性을 害치고 所得 不平等을 擴大한다고 부시 政權을 猛攻擊했다.

    그는 大型 防衛産業體, 네오콘 等 少數의 支持者에 둘러싸여 國家 政策을 左之右之하는 부시 行政府의 行態는 政權과 몇몇 財閥이 結託한 ‘緣故 資本主義(Crony Capitalism)’ 및 情實 人事의 弊害로 金融危機를 겪은 아시아나 南美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批判했다. 부시 政權의 거의 모든 政策이 ‘災殃’이라고도 一喝했다.

    特히 크루그먼은 앨런 그린스펀 全 聯邦準備制度理事會(Fed·聯準) 議長 또한 부시 大統領 못지않은 責任이 있다며 그린스펀을 ‘부시의 盲目的 追從者’ ‘歷代 最惡의 聯準 議長’이라고 둘을 싸잡아 非難했다. 그린스펀이 低金利 政策이라는 손쉬운 手段으로 景氣 浮揚에 ‘올인’하고 있다는 理由에서다.

    또 그는 2005年 美國의 莫大한 貿易赤字를 메워주던 外國人 投資 資金의 相當 部分이 美國 不動産 市場의 거품을 形成하는 데 一助하고 있으며 이것이 金融危機를 몰고 올 수 있다고 豫見했다.

    크루그먼의 直說的 言辭에 不便함을 느낀 一部 經濟學者들은 “그가 學問의 純粹性을 歪曲했다”고 批判하기도 한다. 부시 政權과 공화당에 對한 批判으로 一貫하는 그의 칼럼 또한 “明快하다”는 好評과 “均衡感覺을 잃었다”는 非難을 同時에 받는다. 英國 經濟日刊紙 ‘파이낸셜타임스(FT)’의 有名 칼럼니스트인 마틴 울프가 “크루그먼 敎授는 美國에서 가장 尊敬받는 同時에 가장 미움 받는 칼럼니스트”라고 말한 理由다.

    하지만 아시아 外換危機 豫見 때와 마찬가지로 부시 政權 및 그린스펀에 對한 그의 批判은 勿論 金融危機 豫測은 結局 事實로 드러났다. 美國은 2014年 現在까지도 부시 政權의 殘滓인 莫大한 雙둥이 赤字에 呻吟하고 있으며 金融危機의 後暴風에서 完全히 헤어나지도 못해 聯邦政府 閉鎖(셧다운)라는 極端的 狀況까지 맞은 바 있다. 在任 當時 ‘마에스트로’로 불리며 歷代 聯準 意匠 中 가장 莫强한 權力을 行使했던 그린스펀 前 議長 亦是 ‘金融危機의 主犯’으로 評價받으며 各種 輿論調査에서 가장 人氣 없는 聯準 議長으로 轉落한 狀態다.

    活潑한 寄稿와 出刊 等 크루그먼 敎授의 著述 作業 또한 그의 名聲에 날개를 달아줬다. 그는 現在까지 ‘通貨와 危機’ ‘經濟學의 饗宴’ ‘大暴露’ ‘不況 經濟學’ ‘未來를 말하다’ ‘自由主義者들의 良心’ 等 20餘 卷의 베스트셀러와 200餘 篇의 論文을 썼다. NYT는 勿論 ‘포춘’ ‘슬레이트’ 等 各種 言論에도 750餘 篇의 글을 寄稿했다. 크루그먼 敎授는 自身의 모든 著述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人物로도 有名하다. 그의 夫人 로빈 웰스 또한 經濟學者이며 크루그먼과 몇 卷의 經濟學 敎材를 共同 執筆했다.

    ‘명예’보다 ‘소신’ 택한 현대 경제학계의 양심


    準備된 노벨賞 候補의 受賞

    2008年 10月 13日 아침 크루그먼 敎授는 自身의 블로그에 “오늘 아침 내게 妙한 일이 벌어졌다”는 한 줄짜리 짤막한 文章을 올렸다. 바로 2008年 노벨經濟學賞 受賞을 알리는 文句였다.

    노벨賞 受賞者 選定을 主管하는 스웨덴 翰林院은 그의 受賞 理由로 “新貿易理論을 통해 國際貿易과 世界化의 影響을 說明했고 國際貿易에 게임理論을 椄木해 ‘戰略的 貿易’이라는 새로운 領域을 開拓했다. 또 以前에는 별다른 共通點을 찾을 수 없었던 國際貿易과 經濟地理學 分野를 統合하는 데도 寄與했다”고 밝혔다. 두세 名의 共同 受賞이 慣例로 굳어진 요즘 보기 드물게 單獨으로 노벨賞을 受賞했다는 點도 큰 話題였다. 그만큼 翰林院이 크루그먼의 業績을 認定했다는 意味로 解釋할 수 있다.

    크루그먼의 受賞 時點이 前代未聞의 金融危機가 發生한 2008年이란 事實도 相當한 意味를 지닌다. 政府 介入보다 市場의 自律性을 重視해온 所謂 新自由主義學派(시카고 學派)는 1990年代 以後 노벨經濟學賞을 獨食하다시피 했다. 하지만 金融危機 勃發 後 이들의 理論이 金融危機의 背後로 불리며 그 勢가 相當 部分 萎縮된 것도 事實이다. 市場에서의 政府 役割을 重視하는 新케인스 學派에 屬하는 크루그먼 敎授가 金融危機가 勃發한 2008年 노벨賞을 單獨 受賞했다는 點을 예사롭게 볼 수 없다.

    經濟學者의 領域을 單純히 純粹 學問 硏究뿐 아니라 칼럼니스트, 社會運動家 等으로 擴大한 點 또한 빼놓을 수 없다. 同時에 熱情的인 著述 活動 渦中에도 200餘 篇의 論文을 發表할 程度로 學問 硏究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點 또한 다른 經濟學者들에게 龜鑑이 되고 있다.

    크루그먼 敎授는 受賞 直後 NYT와 한 인터뷰에서 “언젠가 이날이 오리라는 豫感은 하고 있었다”라는 너무나도 率直한 所感을 밝혀 話題를 모았다. 다만 그 亦是 “노벨賞 受賞 消息만을 平生 기다리고 사는 經濟學者가 너무 많다. 마냥 首相을 기다리는 게 내 精神 健康에도 이롭지 않다고 생각해 그間 노벨賞에 對해서는 일부러 아무런 생각을 않고 지내왔다. 영예로운 이 賞을 받았다는 事實이 只今 當場은 나에게 삶을 바꿔놓는 經驗”이라며 至極히 人間的인 面貌를 보이기도 했다.

    特히 노벨賞 受賞 直後 프린스턴대 經濟學科 敎授 會議에 參席한 그의 손에 ‘世界 第1의 經濟學者’라는 文句가 새겨진 컵이 들려 있었다는 事實도 한동안 話題가 됐다. 天下의 크루그먼이라도 노벨賞 受賞이라는 一生一大의 事件 앞에서는 多少 幼稚한 面貌를 보인 것이다. 에드워드 글레이저 하버드대 敎授는 當時 NYT에 寄稿한 ‘폴 크루그먼을 기리며’라는 글을 통해 “노벨經濟學賞 受賞者 中 크루그먼처럼 賞을 받기도 前에 有名했던 經濟學者는 없었다”며 그의 豫見된 受賞을 祝賀했다.

    兩極化 解消 없는 美國 未來 暗鬱

    크루그먼 敎授가 바라보는 美國 社會의 現在와 未來는 매우 暗鬱하다. 그는 第2次 世界大戰 以後 美國이 唯一無二한 超强大國으로 君臨할 수 있었던 理由가 탄탄한 中産層 中心의 社會였기 때문이라고 본다. 卽 大部分의 사람이 먹고사는 問題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며 自身의 집을 所有한 채 죽을 때까지 便安한 삶을 누릴 수 있었고, 이것이 美國 繁榮의 根源이었다는 論理다.

    하지만 1970年代 以後 保守主義者들이 急浮上하면서 美國 社會의 平等을 支持하던 各種 制度가 무너졌고 上位 1%가 가진 富가 나머지 99%보다 많은 極端的 不平等 時代가 到來했다. 2008年 金融危機는 이를 잘 보여주는 證據라는 게 크루그먼의 主張이다.

    그는 크게 두 가지 理由를 꼽는다. 첫째 勞動運動의 沒落이다. 1960年代 美國勞動者 中 勞動組合에 加入한 사람들은 30%가 넘었다. 하지만 21世紀 들어 이 比率은 11%로 뚝 떨어졌다. 勞組의 沒落은 單純히 賃金 水準의 全般的 低下뿐 아니라 社會 全般의 尺度와 規範의 變化를 불러왔다는 게 그의 主張이다. 最近 美國 政治權의 話頭인 最低賃金 引上 또한 이와 無關하지 않다.

    둘째, 基督敎 根本主義의 急浮上이다. 基督敎 右派의 支援을 등에 업은 共和黨이 減稅, 規制 撤廢, 작은 政府를 부르짖으며 美國 社會를 左之右之한다는 것. 選擧 때마다 威力을 發揮하는 공화당 極右派 모임 ‘티파티’ 等이 代表的이다.

    果然 解法은 있을까. 크루그먼 敎授는 銀行의 部分 國有化 等을 包含한 政府의 强度 높은 金融圈 介入, 醫療保障制度를 包含한 社會福祉制度 改革을 擧論한다. 하지만 오바마케어 導入 論難 以後 오바마 大統領의 支持率이 下落하고 민주당 內에서도 反對 意見이 나오는 데서 보듯 制度 改革에는 極甚한 反撥과 陣痛이 따른다는 게 問題다.

    크루그먼 敎授는 現在 美國 聯準이 펼치는 量的緩和 縮小(테이퍼링) 政策에도 분명한 反對 意見을 表明했다. 2014年 1月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한 行事에 參席한 그는 “美國 연준과 유럽中央銀行(ECB)李 過度한 緊縮 政策을 편다. 特히 美國 政府의 緊縮財政 政策은 2013年 經濟成長率을 1.5~2.0%포인트 떨어뜨렸다. 美國 經濟는 아직 景氣浮揚이 必要하다. 이 問題를 解決하지 못하면 美國 經濟가 日本式 長期 不況에 빠질 수 있다”고 警告했다.

    그가 이렇게 主張하는 理由는 美國 經濟가 過去 平均 成長 趨勢에 如前히 크게 못 미치기 때문이다. 크루그먼은 “2009年 以後 4年째 國內總生産(GDP) 增加率이 2%에 못 미치는 低成長 局面이 이어지고 높은 失業率에 따른 民間 消費 現象이 如前하다”며 通貨緩和 政策을 持續해야 한다고 强調했다. 1950年代는 高金利 때문에 消費가 鈍化된 側面이 있었지만 現在는 低金利에도 消費가 늘지 않으며 이는 美國 經濟가 不振에서 벗어나는 데 豫想보다 훨씬 많은 時間이 必要하다는 點을 의미한다고 主張했다. 그는 “멍청한 ‘自己破壞的’ 政府 政策이 사라져야 美國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거듭 强調했다.

    現在로선 크루그먼 敎授의 主張이 맞을지 聯準의 行步가 맞을지 아무도 알 수 없다. 아무리 그가 影響力 있는 經濟學者라 해도 公職에 몸담지 않은 一介 自然人인 그의 主張이 政策 執行에 얼마나 影響을 미칠지도 疑問이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분명한 건 그의 毒舌엔 聖域이 없으며 그가 한 말 中 꽤 많은 部分이 後날 맞아떨어졌다는 點이다. 美國 大統領, 워싱턴의 有力 政治人, 월街 皇帝, 國際通貨基金(IMF)과 國際決濟銀行(BIS)의 高位 官僚 等 地位高下를 莫論하고 날카로운 메스를 들이대는 그가 經濟學者 兼 칼럼니스트로서의 熱情을 오랫동안 불태워주기를 바라는 理由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