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디가 살던 風景 그대로|新東亞

신성미의 달콤쌉쌀한 스위스

하이디가 살던 風景 그대로

國家의 아름다움 源泉은 傳統文化

  • 글·寫眞 신성미|在스위스 僑民 ssm0321@hanmail.net

    入力 2017-05-18 17:41:3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金融業과 機械 産業이 發達하고 수많은 國際機構가 모여 있는 現代的인 國家.
    • 그런 스위스가 누구나 가고 싶어 하는 나라가 된 것은
    • 素朴하고 淡淡하게 傳統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存在 때문이다.
    해질 녘 알프스 山脈 高地帶의 草原에서 牧童이 길이 3m가 넘는 스위스 傳統 木管樂器 알프호른(Alphorn)을 演奏한다. 平和로운 알프호른 소리가 바람을 타고 아랫마을에 다다른다. 마을 사람들은 고요한 가운데 牧童의 알프호른 소리를 들으며 저녁食事를 準備한다. 마을 한가운데서 열린 農夫들의 場터에서는 住民들이 民俗衣裳을 입고 둥글게 모여 서서 요들을 合唱한다.



    꽃 달고 行進하는 염소들

    알프스 少女 하이디에 나올 법한 이런 場面은 스위스를 想像할 때 떠오르는 典型的인 이미지다. 아름다운 自然과 어우러진 牧歌的 風景, 그리고 그 속에서 오랜 傳統을 지키며   素朴하게 살아가는 사람들. 分明 스위스의 兒童小說 ‘하이디’가 쓰인 19世紀 後半에는 그런 風景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스위스에서 살면서 나는 種種 感歎하곤 한다. 이런 風景이 正말 21世紀 現在에도 自然스럽게 눈앞에 펼쳐진다는 事實 때문이다. 世界的으로 金融業과 機械 産業이 發達하고 수많은 國際機構가 모여 있는 現代的인 모습과 함께 素朴하고 淡淡하게 傳統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共存하는 곳이 바로 스위스다.

    初여름이나 初가을에 스위스의 山岳마을을 지나다 보면 가끔 ‘家畜들을 操心하라’는 標識板과 함께 道路의 車輛들이 警察車의 指示에 따라 通行을 멈추고 5分이고 10分이고 줄지어 기다리는 光景을 마주칠 때가 있다. 或是 스위스 旅行 中에 偶然히 이런 狀況을 만났다면 참 運이 좋은 것이다. 이럴 땐 車의 始動을 끄고 잠깐 밖으로 나와 어떤 場面이 펼쳐지는지 생생하게 봐야 한다. 스위스 酪農街의 오랜 傳統을 直接 마주친 것이기 때문이다.



    알프스 地域의 酪農家에서는 初여름에 소와 염소, 羊 같은 家畜을 高地帶로 이동시켜 그곳에서 新鮮한 풀을 먹이고 날씨가 추워지기 前 初가을에 다시 마을의 農家로 내려보낸다. 家畜들의 避暑라고나 할까. 이때 農夫들과 그 子女들은 傳統衣裳을 차려입고 家畜들을 몰고, 家畜들은 華麗한 꽃裝飾을 머리에 달고 이날의 主人公이 돼 道路를 行進한다. 마을 農家에서 高原으로 올라가는 行事를 獨逸語로 알프아우프축(Alpaufzug), 高原에서 다시 마을 農家로 내려오는 行事를 알프壓縮(Alpabzug)이라고 한다.

    지난해 가을 스위스에서도 地域的 傳統이 剛하기로 소문난 아펜첼에서 알프壓縮 行事를 보았다. 얼굴이 벌겋게 그을린 투박한 모습의 農夫들이 아펜첼 傳統衣裳을 입고 아이들은 하이디와 페터 같은 服裝을 하고 自己네 農家의 家畜들을 몰고 行進했다. 動物들의 꽃裝飾度 이들이 精誠 들여 만든 것이다. 正말이지 타임머신을 타고 100年 前으로 돌아간 氣分이었다.

    내가 感歎한 것은 이들이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自發的으로 이 傳統을 이어가고 또 祝祭처럼 즐기는 모습이었다. 勿論 아펜첼 觀光廳에서도 이 行事를 弘報하고 이를 보러온 觀光客도 꽤 되는 데다 마을 中心街에서는 祝祭처럼 먹을거리를 파는 地域住民들도 있었다.



    600時間 들여 만든 傳統 帽子

    하지만 商業的이고 人爲的인 行事라는 생각은 全혀 들지 않았다. 農家들이 이 行事를 치른다고 해서 돈을 버는 것도 아닌 데다(오히려 動物들을 治粧하는 데 많은 時間과 努力이 든다) 이들은 觀光客이 구경하든 안 하든 아랑곳 않고 默默히 自身들의 傳統을 이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勿論 이렇게 해서 여름에 알프스 高地帶에서 生産된 스위스 치즈가 맛과 品質뿐 아니라 이런 傳統的인 方式으로 名聲을 떨치게 되는 건 附隨的 利益이기도 하다.

    農家의 家族들이 家畜들과 正말 한家族처럼 어우러지는 이 傳統 行事가 참 정겹고 아름다워서 나는 아펜첼의 畫廊에 들러 알프壓縮 場面을 담은 그림을 購入해 집에 걸어놓았다. 볼 때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그림이다.

    지난해 12月 31日 아펜첼 아우서로덴 樽酒(準州)의 작은 마을 터이펜(Teufen)에서 본 ‘質베스터클라우젠(Silvesterchlausen)’도 350年 넘게 이어지는 有名한 風習이다.(신동아 2017年 2月號 參照) 새해를 맞아 마을의 男子 예닐곱 名씩 한 組가 돼 獨特한 扮裝을 하고 무거운 소 방울을 몸통에 단 채 집집마다 들러 鐘소리를 시끄럽게 울려대며 惡鬼를 쫓는 傳統이다.

    이를 구경하고 온 지 얼마 안 돼 스위스 公營放送 SRF에서 흥미로운 다큐멘터리를 放映했다. 質베스터클라우젠에 參與하는 마을 男子들을 1年間 따라다니며 撮影한 다큐멘터리였다. 이들은 各自 다양한 職業이 있는 平凡한 마을 住民들인데 每年 年末과 年初에 두 番 열리는 이 行事를 위해 1年 前부터 부지런히 準備했다.

    가장 重要한 건 個性 있는 衣裳 製作인데 特히 帽子가 훌륭했다. 마스크가 달린 帽子를 各自 創意的인 아이디어를 내어 디자인한 뒤 穩全히 手工藝로 製作하는데, 이 帽子 製作에만 年間 600時間이 걸린다고 한다. 한 땀 한 땀 손으로 바느질을 하고, 좁쌀만 한 구슬을 一一이 꿰고, 帽子에 裝飾하는 動物이나 사람 等의 模型을 直接 나무를 깎아 만들어 붙인다. 帽子에는 하나의 主題를 담은 스토리를 裝飾으로 表現해 넣는데, 요들 合唱大會 參加 場面, 질베스터클라우젠의 合唱 場面 等 自身이 아끼는 追憶이 앙증맞으면서도 섬세하게 들어간다.


    地域色에 對한 自負心과 熱情

    덩치가 山처럼 크고 우락부락하게 생긴 壯丁이 집 地下에 있는 作業室에 틀어박혀 이 帽子 製作을 마친 뒤 自身의 作品을 보며 感激해 눈물을 뚝뚝 흘리는데, 내가 다 뭉클했다. 이들은 職業的으로 手工藝를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平凡한 마을 住民일 뿐이다.

    專門家 못지않은 솜씨도 놀랍지만 더 印象的인 건 이 일이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돈을 버는 일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저 自己네 고장의 傳統을 이어간다는 純粹한 熱情으로 1年을 꼬박 들여 衣裳과 裝飾을 準備하고 最大 30kg이나 나가는 소 방울을 짊어지고 質베스터클라우젠 行事에 나서는 것이다. 夫人과 아이들까지 나서서 製作을 돕고 이들을 든든하게 支援하는 모습이 사뭇 眞摯했다.

    나는 放送을 보고 이들의 熱情과 眞摯함에 깊은 感動을 받았다. 固有의 傳統과 風習을 지키려는 이런 平凡한 사람들의 努力이 모여 多彩롭고 오랜 文化가 남아 있는 나라 스위스를 만드는 건 當然한 理致다. 代替 스위스人들에게 傳統이란 무엇일까. 무엇이 이들을 이토록 意欲 넘치고 自負心 있게 만드는 걸까.

    聯邦國家인 스위스는 1291年 只今의 칸톤(週)에 該當하는 슈비츠, 우리, 운터발덴(나중에 옵발덴과 니드발덴으로 나뉨) 地域이 自身들의 自治를 威脅하는 합스부르크 王家에 맞서 함께 싸우기 위해 同盟을 맺은 데서 祈願한다. 以後 다른 칸톤들이 加勢하면서 只今은 26個 칸톤(20個 州와 6個 樽酒)李 모인 聯邦國家로 發展했다.

    스위스의 國土 面積은 韓國의 40%에 不過하지만 公式 言語가 4個(獨逸語, 프랑스語, 이탈리아語, 레토로만語)나 되고 26個 칸톤은 固有의 法과 敎育課程, 稅金 體系 等 相當한 自治權을 갖는다. 美國처럼 땅덩이가 巨大한 나라도 아닌데 이 작은 나라 안에서 地域마다 固有의 色을 維持하는 것이다. 그러니 地域마다 自身들의 慣習을 이어가는 데 높은 自負心과 熱情을 느끼는 게 아닐까 싶다.



    傳統을 북돋우는 同好會 文化

    스위스人들이 固有의 風習과 傳統을 이어가는 데 큰 動力이 되는 게 바로 同好會(Verein) 文化다. 혼자 하긴 어려워도 여럿이 함께 하면 더 쉽고 재미있는 法. 人口 800萬 名이 사는 스위스에 同好會가 10萬 個에 達할 程度로 同好會 文化는 스위스人의 DNA에 뿌리박혀 있다고들 말한다. 各種 스포츠와 文化 關聯 同好會가 많은데 特히 地域의 傳統을 이어가는 데 적지 않은 貢獻을 하는 오래된 同好會도 많다. 이를테면 民俗衣裳 同好會, 요들 同好會, 알프호른  同好會, 스위스 傳統 씨름人 슈빙엔 同好會 等이 있다.

    지난해 여름 내가 사는 小都市에서 3日에 걸쳐 스위스 北東部 요들 祝祭가 열렸다. 이른 새벽부터 各 地域의 요들 同好會 會員들이 民俗衣裳을 차려입고 背囊을 멘 채 續續 汽車驛에 내리고 있었다. 조용한 小都市가 갑자기 이렇게 많은 사람으로 북적이는 것도 신났지만 이들이 100年 前 小說에서 튀어나온 듯 아무렇지 않게 거리에서 民俗衣裳을 입고 樂器를 짊어지고 다니는 모습이 興奮을 불러일으켰다. 이들은 野外舞臺에서 요들을 부르거나 알프호른을 연주할 뿐 아니라 都市 中心의 敎會에서 열린 요들 大會에도 나가기 때문에 實力을 發揮하기에 앞서 살짝 緊張한 表情이었다.

    好奇心에 나도 敎會에 들어가 요들 大會를 參觀했는데, 同好會員들이라지만 相當한 實力과 眞摯한 모습이 印象的이었다. 우리나라로 치자면 여러 地域의 판소리 同好會員들이 모여 韓服을 입고 판소리 祝祭에 參加해 大會도 열고 구경 온 市民들도 함께 먹고 마시며 다양한 판소리를 즐기는 風景이라고 할까. 傳統이 趣味가 되고 趣味는 즐거움이 되어 日常的으로 傳承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


    總角파티에서 펼쳐진 요들 合唱

    내가 쿨하다고 느끼는 건 非但 나이 든 어르신들만이 이런 傳統을 繼承하기 위해 努力하는 게 아니라 젊은이와 靑少年들도 自身들의 傳統을 所重하게 느끼고 平常時에 이를 즐긴다는 點이다. 지난해 여름 男便의 親舊인 미하엘과 미셸 커플이 結婚式을 앞두고 마련한 總角파티, 處女파티에서 이를 다시 한 番 느꼈다.

    여러 西洋 國家처럼 스위스에도 總角파티, 處女파티 文化가 있다. 結婚式 前에 날을 잡아 神父는 女子들끼리, 新郞은 男子들끼리 밤늦도록 먹고 마시고 놀면서 싱글로서의 마지막 한때를 거나하게 즐기는 文化다. 普通 新郞 新婦의 總角파티, 處女파티는 따로 하는데 미하엘과 미셸은 낮에는 男性팀과 女性팀으로 나눠 各自 놀고 저녁에 山속의 山莊에서 만나 마치 大學生들의 MT처럼 밤을 지새우며 놀았다.

    初저녁 女性팀이 山莊에 到着했을 때 미하엘과 나의 男便을 비롯한 男子 열댓 名이 이미 모닥불을 피워놓고 우릴 기다리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스위스의 象徵이자 國花인 에델바이스 꽃이 繡놓인 하늘色 셔츠를 맞춰 입고 있었다. 이것도 스위스의 傳統 셔츠다. 그러고는 모닥불 가에 둘러서서 眞摯하게 요들을 合唱하기 始作하는 게 아닌가! 女子들을 위해 準備한 깜짝 膳物이었는데, 이를 위해 낮에 아펜첼 市內에서 團體로 요들 講座에 參與했단다. 게다가 練習으로 아펜첼 거리 한복판에서 많은 行人이 구경하는 가운데 講師의 指揮 아래 요들을 부르고 왔다는 것이다.

    勿論 韓國人이라고 다 판소리를 잘하는 게 아니듯 스위스人이라고 다 요들을 잘 부르는 건 아니며 이들은 이날 하루 요들을 배운 初步 中의 初步인지라 썩 멋진 하모니는 아니었지만 이런 깜짝 아이디어를 냈다는 것 自體가 귀엽고 感動的이었다. 20代 初盤부터 30代 初盤에 이르는 젊은이들이 總角파티에서 自己 나라의 傳統을 이렇게 新鮮하고 쿨하게 즐길 수 있다니! 이 또한 내게는 新鮮한 文化 衝擊이었다.



    數百 年 된 家屋에서  살다

     스위스人들의 傳統 사랑은 오래된 집에 對한 愛情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스위스에도 다른 유럽의 都市들처럼 100年 넘은, 格調 있는 建物이 많다. 都市뿐 아니라 마을이나 農家도 마찬가지다. 스위스를 旅行해본 사람들은 相當히 오래되어 보이면서도 깔끔하게 管理된 木造住宅에 色깔 있는 덧窓을 달고 窓가에는 제라늄 花盆으로 사랑스럽게 裝飾해 놓은 집들을 보았을 것이다. 典型的인 스위스 民家의 모습이다.

    12年 前 背囊旅行으로 처음 스위스를 찾았을 때 이런 집들을 보면서 ‘저런 집에서 사는 氣分은 어떨까, 正말 사는 게 童話 같을까’ 하는 想像을 했었다. 그러니 저런 오래된 집에 사는 知人들을 訪問할 일이 있으면 慇懃히 期待가 된다.

    內 親知인 프레니 아주머니는 4代째 내려오는 食堂을 運營하는데, 나무로 된 食堂 建物이 참 아름다운 데다 지난해 여름에는 장크트갈렌의 한 꽃집에서 開催한 ‘窓가 제라늄 꾸미기 大會’에서 堂堂히 이 地域 3位를 차지했을 程度로 窓가의 꽃 裝飾에도 精誠을 쏟는다. 이 食堂 內部의 나무 大들보에 1883이라는 數字가 새겨져 있기에 처음엔 이 建物이 1883年에 세워진 줄 알았다. 그랬더니 프레니 아주머니 말이, 1883年은 리모델링을 한 해이고 建物이 처음 세워진 건 400年 前쯤 된다는 것이다. 400年 된 建物에서 如前히 사람이 살고 食堂이 營業을 한다니!


    傳統 民家 꾸미는 데 心血

    이런 오래된 집들은 地域 文化遺産으로 指定돼 집主人 마음대로 撤去할 수 없는 건 勿論이고 增築이나 리모델링에도 嚴格한 制限을 받는다. 文化遺産이 아니더라도 스위스人들은 낡은 住宅을 撤去하고 새로 짓기보다 낡은 住宅을 뼈대라도 남기고 어떻게든 리모델링을 하는 쪽을 選好한다. 새집, 새 아파트를 選好하는 韓國人과는 完全히 다른 마인드다. 이곳에서는 數百 年 된 집들도 內部는 週期的으로 리모델링을 해서 깔끔하게 維持되는 게 普通이다.

    스위스의 투르佳友 칸톤에는 色漆한 나무로 壁을 꾸민 數百 年 된 傳統 民家가 많다. 知人의 딸이 이런 200年 된 집에서 살고 있는데 最近에 浴室 2個와 廚房을 現代式으로 리모델링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 官廳에 수많은 書類를 내고 許可를 받는 데 相當한 時間과 努力을 들인 건 勿論이고 이 工事에 들어간 돈이 12萬 스위스프랑(藥 1億3800萬 원)이나 된다고 한다! 知人의 말이, 아예 새집을 지으면 浴室 2個와 廚房을 만드는 데 이렇게 큰돈이 들어가진 않는데, 오래된 집에서 旣存의 浴室과 廚房의 資材를 조심스럽게 떼어내고 다시 짓는 過程에 더 큰돈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女의 딸은 이 집에 自負心과 愛情을 느끼며 만족스러워한다고 했다.

    나는 韓國人이라 그런지 已往이면 새집이 좋다. 오래된 집이 고즈넉하고 아름답긴 해도 修理, 保守에 많은 神經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或是 모를 安全에 對한 두려움도 있다. 그런데 無條件 새것을 選好하기보다 조금은 고지식할 程度로 오래된 것을 지키고 保存하려는 스위스人들을 보면서 손때 묻은 오래된 것들의 아름다움을 배워가고 있다. 이런 努力이 모여 아름답기로 소문난 只今의 스위스를 維持하는 것이리라.




    신성미
    서울대 社會學科를 나와 동아일보 經濟部·文化部, 東亞 비즈니스리뷰 記者로 일했다. 2015年부터 스위스人 男便과 스위스 장크트갈렌(St.Gallen) 近郊에 살면서 職場生活을 하고 있다. 틈틈이 스위스 社會, 文化에 對해 블로그(bl-og.naver.com/sociolog icus)에 글을 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